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743/kiss.2011.10.1.026

The Survey of Construction Workers' Preference for Introducing the Emotional Safety in School Facility Construction - Focused on Emotional Safety Sensor and Emotional Facilities -  

Kim, Gwang-Hee (경기대학교 건축공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v.10, no.1, 2011 , pp. 26-3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deaths caused by industrial accidents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mortality rate is considerably higher than in other industries. To prevent such a disaster workers and to minimize unsafe behavior measures to be drawn, and construction companies recently to stimulate the emotions of the workers to participate in voluntary activities are safe. In this study, the construction workers can stimulate emotions and activities on the environment by examining the preferences of the workers on-site management will want to take advantage.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construction workers prefer the incentive most and then working environment.
Keywords
Emotional Safety Sensor; Emotional Safety Facilities; School Facility Construc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0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성미, 공간디자인의 감성에 대한 개념정리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7권, 제1호,pp.102-109, 2008.02.
2 이재섭, 김만장, 최기훈, 가설시설물의 재해발생 메커니즘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안전관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제26권, 11호, pp.129-136, 2010.11.
3 고용노동부, 2010년 산업재해 발생현황, 2011.01.
4 권영국, 산업안전공학, 형설출판사, 2002.
5 김주헌 외 3인, 복합형 센서를 이용한 추락재해 예방 장비의 효용성 실험,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7권, 제1호, 27.10
6 김준호, 근로자의 감성안전문화조성에 의한 작업 능률 향상 및 재해 예방,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473-477, 2006. 11.
7 김창섭, 윤석현, 건설안전사고의 유형별 분석 및 예방을 위한 개선 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전국대학생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6.11
8 문경 외 3인, 재해예방․자율 안전 관리의 대안-감성 안전 경영, 건설저널, 제82권, pp.39-40, 2008.02.
9 심운준, 서형석, 안용선, 철근콘크리트 공사의 효율적 안전관리를 위한 체크리스트 제안에 관한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지, 제10권, 제6호, pp. 7-17, 2010.12.
10 신한우 외 4인, 센서를 활용한 건설현장 감성안전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지, 제10권, 제4호, pp.59-65, 2010.08.
11 정형원, 나건, 감성 평가를 위한 감성의 의미 재 정립과 어휘 체계에 관한 연구, 대한인간공학회지, 제26권, 제3호, pp.17-25, 2007.8.
12 안홍섭, 건설공사 안전관리체제 개선 방안,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제21권, 제9호, 2005.9
13 이구형, 감성공학의 개념과 연구 및 응용방법, 대한인간공학회지, 제17권, 제1호, pp.91-102, 1998.04.
14 이규진, 중소규모 건설현장 재해원인 분석 및 제도적 개선방안, 한국건축시공학회지, 제9권, 제3호, pp.59-64, 2009.6.
15 M. Adberrahim, E. Garcia, R. Diez, & C. Balaguer, A mechatronics security system for the construction site, Automation in Construction, Vol. 14, No. 4, 2005.
16 Nagamachi, Mitsuo, Kansei Engineering : A new ergonomic consumer-oriented technology for product develop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Vol.15, No. 1, pp.3-11, 1995.01.   DOI   ScienceOn
17 이주성 외 2인, 건설현장 안전관리 성공요인 분석을 통한 자율안전관리활동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제8권 5호, pp.109-117, 2008. 10.
18 임지연, 이준성, 건설업 자율안전관리 정착 및 활성화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463-468, 2009.11
19 이현수 외 4인, 건설현장 위험영향요소 기반의 위험도 산정 방법론,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0권, 6호, pp.117-126, 2009. 11.
20 이현철 외 2인, 건설근로자 안전의식 분석을 통한 안전관리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제9권 제3호 pp.51-58, 2009. 06.
21 정현원, 감성의 개념 및 어휘체계 정립을 통한 공감각 디자인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22 홍정석, 배대권, 김재준, 건설현장 안전관리 성공 요인 분석을 통한 안전관리활동 개선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6권, 제5호, 2005.10
23 Chi C. F., Chang T. C., and Ting H. I., "Accident patterns and prevention measures for fatal occupational fall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pplied Ergonomics, 36, pp 391-400, 2005.   DOI   ScienceOn
24 Huang X. and Hinze J., "Analysis of Construction Worker Fall Accidents", J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129, No. 3, pp.262-271, 2003.   DOI   Scienc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