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5266/KEREA.2020.29.2.293

코로나19 경기 대응을 위한 환경 분야 재정지출 확대의 유효성: 그린뉴딜의 경제학  

Kim, Ho-Seok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지속가능전략연구본부)
Publication Information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v.29, no.2, 2020 , pp. 293-312 More about this Journal
Keywords
코로나19;재정정책;환경정책;그린뉴딜;한국판 뉴딜;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관계부처 합동, 2020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 제6차 비상경제회의 1호 안건, 2020. 6. 1.
2 국회예산정책처, NABO 경제.산업동향&이슈, 2020년 4월호 통권 제4호, 2020.
3 기획재정부 외,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녹색 New Deal 사업 추진방안, 국무회의 보고자료, 2009. 1. 6.
4 김호석, "제8장 그린뉴딜의 개념과 추진전략", 전환적 뉴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9.
5 김호석, "포스트 코비드19 시대 지속가능발전: 그린뉴딜의 필요성과 기대효과", 제4차 기후환경포럼, 포용국가 포럼, 2020. 4. 28.
6 유종일, "제1장 전환적 뉴딜의 개념과 추진전략", 전환적 뉴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9.
7 이강구․ 조은영․ 신동진, 재정지출의 분야별 경제적 효과분석 모형 연구, 국회예산정책처, 2016.
8 정책기획위원회 그린뉴딜기획단, 기후.경제 위기극복을 위한 한국형 그린뉴딜 추진방안, 2020.6.8.
9 Batini, N., L. Eyraud, L. Forni, and A. Weber, Fiscal Mutipliers: Size, Determinants, and Use in Macroeconomic Projections, Fiscal Affairs Department, IMF, 2014.
10 Green New Deal Group, A Green New Deal, New Economics Foundation, 2008.
11 IEA, Global Energy Review 2020, IEA, 2020a.
12 IEA, Sustainable Recovery, IEA, 2020b.
13 UNEP, Global Green New Deal: An Update for the G20 Pittsburgh Summit, 2009.
14 IMF, "2019년 IMF-한국 연례협의 마무리", 보도자료, 2019.3.11. https://www.imf.org/ko/News/Articles/2019/03/11/korea-pr1975-imf-staff-concludes-2019-article-iv-mission-to-korea.
15 OECD, Economic Outlook, Volume 2020 Issue 1, OECD,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