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Effects of Maumgongbu Group Counseling on Adolescence's Physical Symptoms, Self Esteem and Self Identity  

Yang, Kyung-Hee (Department of Nursing, Wonkwang Health Science University)
Kwon, Yong-Kap (Wonkwang Digital University)
Park, Kum-Sook (Department of Nursing, Wonkwang Health Science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Purpose: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analyzed Adolescence's physical symptoms, self esteem and self identity to identify the effects and development of Maumgongbu group counseling on adolescents. Methods: There were two groups involved in this study: the group counseling team and the individual counseling group.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performed with 14 sessions, involving the students who applied for the program. Individual counseling was performed with 14 sessions through one-on-one session by students and their counselors. The data were collected three times: during the pre-treatment, post- treatment and 8 weeks after post-treatment using questionnaires. SPSS/WIN. 11.5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Group counseling prevented physical symptoms from getting worse. Self esteem improved during the pre-post treatments, and Self identity improved during the pre-8weeks after post-treatment in group counseling. Physical symptoms, Self esteem and Self identity aggravated during individual counseling groups. Conclusion: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useful for the respondent's individual development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ir Physical symptoms and establishment of their Self identities through Maumgongbu group counseling.
Keywords
Physical; Symptoms; Self esteem; Identity; Counsel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문경숙 (2003). 중학생의 스트레스와 신체증상과의 관계. 이화교육농촌, 13, 657-669.
2 박아청 (1996).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5(1), 140-162.
3 배정이 (2008). 중학생의 학교적응 관련요인의 인과적 구조분석. 한국간호과학회지, 38(3), 454-464.   과학기술학회마을
4 서윤경 (2003). 청소년의 외모 만족도와 자존감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25, 서울.
5 손보현 (1997). 중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의식 성숙도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42, 서울.
6 송준희 (2000). 청소년 성인아이들의 낮은자존감 향상 프로그램.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1-61, 대전.
7 신송희 (2006).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18, 창원.
8 김미례, 홍경자, 양승남 (2002). 고등학교 학생들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식. 청소년상담연구, 10(1), 107-125.
9 김수진, 이정숙, 양미화 (2004). 해결중심집단상담이 학교부적응청소년의 학교생활태도와 자 아존중감 및 희망에 미치는 효과.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7(2), 73-83.   과학기술학회마을
10 김진숙, 송수민, 이명우 (1999). 가족상담 기법연구 III (총서), 한국청소년상담원.
11 조영순 (1998).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애착이 대인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10, 서울.
12 Havighust, R. J. (1964). Adolescence: Robert Havighust's developmental tasks of adolescence. Retrieved January 12, 2010 from http://www.psyking.net/id183_m.htm
13 Stephen R. Covey (1989). Habits of highly effective people. Simon &, Schuster, Inc. New York. 66-80, 96-108.
14 Thomas, G., Eric, O., Daniel, O. (1988). Physical symptoms and self-images in a group of normal adolescents. Psychosom Med, 29, 73-80.   DOI   ScienceOn
15 APA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4th ed.). Washington, 515-523.
16 최정아 (2005).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진로성숙도의 관계. 순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19, 순천.
17 최호일 (2002). 청소년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외적 통제감이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중 학생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18, 광주.
18 최희영 (2005).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40, 강원.
19 Erikson, E. H. (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W. W.Norton &Co. 13-18.
20 양경희 (2009). 원불교 마음공부에 기반한 집단상담이 부부의 결혼 만족도, 자아존중감, 기분, 자기효능감, 및 통제소재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4, 전주.
21 양경희, 박복남, 이정란 (2006). 일부 남자 중학생의 스트레스요인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7(4), 542-551.   과학기술학회마을
22 유광호 (2010). 아동의 도전활동 참여가 자신감 및 내적동기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30, 인천.
23 이미숙, 최영, 유지숙 (2000). 청소년의 신체증상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39(2), 323-333.
24 이현림, 천미숙 (2003).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학교생활 적응 간의 관계분석. 청소년학 연구, 10(4), 511-5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