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wareness, Attitude and Perceived Competency abou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k, Young-Rye (Department of Nursing, Kunsan National University)
Kim, Hye-Suk (Department of Nursing, Mokpo Catholic University)
Cha, Hye-Gyeong (Department of Nursing, Woosuk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wareness, attitude and perceived competence abou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a convenience sample of 616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during September and December 2008. A self-questionnaire was used to gather the data.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x^2$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with the SPSS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Among the items relat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rtificial respiration was perceived at the highest rate (91.9%) and was followed by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hest compression and airway management. The mean score for attitude 3.51, perceived competence 3.47.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wareness, attitude and perceived competence. Attitude and awarenes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and explained 57.5% of perceived competence abou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e necessity of developing effectiv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education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Keyword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wareness; Attitude; Competence; Student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Lester, C., Donnelly, P., Weston, C., & Morgan, M. J. (1996). Teaching schoolchildr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Resuscitation, 31(1), 33-38.   DOI   ScienceOn
2 Lubrano, R., Romero, S., Scoppi, P., Cocchi, G., Baroncini, S., Elli, M., Turbacci, M., Scateni, S., Travasso, E., Benedetti, R., Cristeni, S., & Moscatelli, R. (2005). How to become an under 11 rescuer: a practical method to teach first aid to primary schoolchildren. Resuscitation, 64, 303-307.   DOI   ScienceOn
3 Lester, C. A., Weston, C. F., Donnelly, P. D., Assar, D., & Morgn, M. J. (1994). The need for wider dissemination of CPR skills: Are schools the answer? Resuscitation, 28(3), 233-237.   DOI   ScienceOn
4 Kuramoto, N., Morimoto, T., Kubota, Y., Maeda, Y., Seki, S., Takada, K., & Hiraide, A. (2008). Public perception of willingness to perform bystander CPR in Japan. Resuscitation, 79(3), 475-481.   DOI   ScienceOn
5 Axelsson, A. (2001). Bystand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Would they do it again? J Cardiovasc Nurs, 16(1), 15-20.   DOI
6 Jones, I., Whitfield, R., Colquhoun, M., Chamberlain, D., Vetter, N., & Newcombe, R. (2007). At what age can schoolchildren provide effective chest compressions? An observational study from the Heartstart UK schools training programme. BMJ. doi:10.1136/bmj.39167.459028, 1-3.
7 정성필, 조준호, 박유석, 김의중, 김찬웅, 이경룡, 이미진, 임훈, 장문준, 이진희 (2008). 학생들에 대한 심폐소생술 수업방식의 비교: CPR Anytime (R)과 Little Anne (R), 대한응급의학회지, 2007(18), 196-201.
8 통계청 (2006). 2006년 사망원인 통계연보 [Online]. Availiable: http://www.nso.go.kr.[2008, May 14]
9 홍경용, 남철현, 최상복, 위광복, 김기열 (2001). 중고등학생 응급처치 지식수준에 관한 실태조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18(3), 75-86.
10 American Heart Association (AHA, 2005). Highlights of the 2005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Supplement to Circulation 16 (4), 1-28. Retrieved Dec 20, 2005, from http://circ.ahaiournals.org/rapidaccess.shtm
11 정성필, 조준호, 김민정, 임훈, 오동진, 이한식 (2010). 초등학교 1,050학급에게 시행된 개인 마네킹을 이용한 심폐소생술 교육 효과. 대한응급의학회지, 21(3), 368-373.
12 윤영윤 (2004). 병원 전 심정지로 내원한 영아의 임상적 특성과 심폐소생술 결과의 분석: 광주권역 3개 수련병원을 대상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광주.
13 이창희, 박상섭 (2010). 일부 지역 초등학생들의 심폐소생술 지식 및 태도가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1(5), 1921-1928.   과학기술학회마을
14 전혜진 (2008). 중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조사. 여성건강, 9(2), 85-96.
15 김희정 (2008).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기본심폐소생술 교육효과 및 지속성.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충청남도.
16 보건복지부 국립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 (2006). 대국민 응급의료서비스 인지도 및 만족도 조사.
17 사단법인 보건교육포럼 (2008). 학교보건법과 보건과목 고시에 따른 학교보건 활성화 방안 토론회. http://www.gsy.or.kr/?code=infor&subp=0301&mode=&bbsid=infor0301&gbn=viewok&cate=&sw=%BA%B8%B0%C7%B1%B3%C0%B0&sp=subject&gp=1&ix=16689[2008, December 28]
18 송근정, 오동진 (2007). 심폐소생술의 국내현황. 대한내과학회지, 73(1), 4-10.
19 송은영 (2004). 서울 시내 중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인식, 교육경험 및 태도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울산.
20 김혜숙, 김미선, 박미화 (2009).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지, 16(4), 430-437.   과학기술학회마을
21 대한심폐소생협회 (2007). 서울시 심폐소생술 교육 및 홍보사업 최종보고서.
22 박성은, 정연강, 박은자 (2001). 학교의 안전사고 및 안전관리 실태. 중앙간호논문집, 5 (2), 79-88.
23 박영례, 김진아, 최경숙, 김금순 (2008). 심폐소생술 교육이 간호학과 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지각한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중환자간호학회지, 1(1), 7-17.   과학기술학회마을
24 권용선 (2006). 초등학생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본심폐소생술 교육 효과 비교.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울산.
25 박찬우, 조준휘, 옥택근, 김윤성, 최기훈, 서정열, 안희철, 안무업, 조병렬, 김용훈, 박정현 (2006).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한 심폐소생술 교육의 적절성 및 효과. 대한응급의학회지, 17(1), 1-7.
26 배정옥 (2007). 중학생의 응급처치에 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경북
27 강경희 (1998). 현장응급처치자 (First Responder)를 위한 기본인명 구조술교육의 효과에 관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8 권유진, 정상길 (2009).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응급상황 경험과 응급처치에 대한 지식 및 교육요구도. 한국응급구조학회지, 13(1), 97-114.
29 김신정, 이정은, 강경아, 송미경, 문선영, 장은영, 김성희, 이숙경 (2009). 초등학생의 응급처치 교육에 대한 인식. 아동간호학회지, 15(1), 97-107.   과학기술학회마을
30 김경미 (2007). 고등학생의 심폐소생술 관련 지식수준 및 교육실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 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