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Effects of Additive material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asik  

정외숙 (대구산업정보대학 조리과)
박금순 (대구가톨릭대학교 가정관리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v.18, no.2, 2002 , pp. 225-23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the texture and flavor of Dasik by adding various types of sugar (syrup, honey) and flavor ingredients (omija, chija, coffee, green tea extract) to rice powder. Dasik samples were prepared, and the sensory quality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ose were compared. The moisture content of Dasik added with syrup was higher than that of honey. Coffee Dasik with syrup was the highest (23.6) in moisture content. In sensory quality, the omija and coffee Dasik showed the highest score in flavor quality (p<.001). Omija Dasik with honey and coffee Dasik with syrup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overall acceptability (6.4, 6.2). Green tea Dasik with syrup showed the highest value in the lightness (L) of color. Omija Dasik with syrup showed the highest value in the redness (a) of color Chija Dasik was the highest in the yellowness(b) of color. In physical characteristics, the hardn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moistness, tenderness, and texture acceptability in sensory quality(p〈0.001). The cohesive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overall acceptability in sensory quality (p〈0.01). In the relation of texture characteristics and sensory quality, the higher the moisture content, the lower the hardness and springiness were, but the higher the brittleness and the cohesiveness were(p〈.001). Overall, omija and coffee Dasik appeared to have desirable flavor,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Keywords
Dasik; omija extract; coffee extract; sensory quality; physical characteristic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조신호 : 한국 과정류의 역사적 고찰(1100~1990년 문헌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2 이철호, 맹영선 : 한과류의 문헌적 고찰. 한국식문화학회지, 2(1):55, 1987
3 윤숙자 : 한국의 떡.한과.음청류. 지구문화사, p. 237, 1999
4 이성우, 조준하 : 曆酒方文. 한국생활과학연구, 창간호, p. 7, 1983
5 이효지 : 是議全書의 조리학적 고찰. 대한가정학회지, 19(3):47, 1981
6 이영순, 조신호, 이효지 : 쌀다식의 조리방법 및 보존성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연구, 제3호, 1985
7 장은희, 표영의, 안명수 : 오미자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조리과학회지, 12(3), 1996
8 배지현, 김기진 : 매실 추출물을 함유한 음료와 식중독 유발균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9(2):214, 1999
9 박지현 : 콩다식 제조시 당의 종류와 당의 양, 반죽 횟수에 따른 특성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10 송문섭, 이영조, 조신섭, 김병천 : SAS를 이용한 통계자료분석. 자유아카데미, p. 198, 1993
11 이철호, 맹영선, 안현숙 : 한과류의 관능적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문화학회지, 2(1):71, 1987
12 황금희, 김현주 : 기능성식품소재로서 생물활성 천연물의 국내 연구동향. 식품과학과 산업, 28(3):75, 1995
13 우순임, 박지현 : 콩다식 제조시 당의 종류와 당의 양, 반죽 횟수에 따른 특성 연구. 한국조리과학회지, 13(1):1, 1997
14 강인희, 조후종, 이춘자, 이효지, 조신호, 김혜영, 김종태 : 한국음식대관 제3권(떡․과정․음청). 한국문화재보호재단, p. 102, 1997
15 허준 : 동의보감. 동의보감국역위원회편, 남한당, 1989
16 김광옥, 김상숙, 성내경, 이영춘 : 관능검사방법 및 응용. 유림문화사, p. 152, 1989
17 유태종 : 식품보감. 문운당, p. 320, 1988
18 정순자 : 우리 나라 병과류에 대한 소고. 단국대학교 논문집, 제7집, p. 45, 1973
19 이윤형, 신용목, 차상훈, 최용순, 이상영 :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건강식품의 개발.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5(3):379, 1996
20 조미자 : 재료배합에 따른 송화다식의 관능적 특성검사. 한국조리과학회지, 11(3):233, 1995
21 강인희 : 한국의 떡과 과줄. 대한교과서, p. 28, 1997
22 정순애, 조신호, 이효지 : 콩가루 제조방법과 당의 종류와 양이 콩다식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과학회지, 13(3):356, 1997
23 전세열 : Dietary fiber의 기능과 질병예방. 한양여전식품영양연구지, 4:101, 1990
24 윤서석, 조후종 : 조선시대 후기의 조리서인 음식법의 해설 Ⅰ. 한국식문화학회지, 8(1):79,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