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700/KITLA.2021.39.4.085

A Diachronic Study on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of Songhyeon-dong, Seoul  

Kang, Jae-Ung (Graduate School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University of Seoul)
So, Hyun-Su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University of Seoul)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v.39, no.4, 2021 , pp. 85-9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accordance with planning to construct culture park on Songhyeon-dong (district) near Gyeongbokgung Palace, This study analyzed literature and drawings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o today for the district, known as 'Songhyeon (pine hill)' to identify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during essential time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irst, the owners of significant lots were identified, and land use and landscape components were extracted for a diachronic examination of the landscape of the whole area of Songhyeon-dong. Songhyeon district had been regarded as the 'Inner Blue Dragon (Spot) of Gyeongbokgung Palace' in terms of geomancy since the foundation of Joseon in 1392 in that the government created and managed a 'pine forest' in the district. A state warehouse called 'bungam' was constructed, and small fruit stores, 'ujeon,' opened due to the complete reformation and urban planning led by King Taejong in 1410. From the 19th century, mansions of the upper class, such as 'Gaseonggak', 'Changnyeongwuigung' and 'Byeoksugeosajeong' were in the district. A prominent official residential complex called 'Sigeun Sataek' was constructed in 1919 after Chosen Siksan Bank purchased the site. Later, it was transferred to America in 1948 and used as the 'US Embassy Staff Quarters'. Second, the changes in the site view, associated with the aspects of society by the times, were examined by estimating the location and the time the landscape components lasted in each period extracted and identifying the physical entity. The pine forest, regarded as the 'Inner Blue Dragon' that guards the left side of the palace within the geomantic world view, was located in the highlands in the west of the site. In the same period, the flat area in the east was regarded as the 'commoner's district', the streets adjacent to various government facilities and the market, packed with people from different walks of life. From the 19th century, the gardens of the aristocrats of the capital city were created in the pine forest, turning the place into the forest in the middle of the city. The whole area of Songhyeon-dong, which existed as a large lot in the city center for a long time, was developed by Japanese imperialists in the 20th century based on the concept of 'Ideal Healthy Land,' which interrupted the placeness of Songhyeon-dong that had adhered to the traditional geomatic view of the Joseon Dynasty.
Keywords
Commoner's District; Culture Park; Owner; Site View; Urban Forest;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박철상(2008). 경화세족과 심상규의 가성각. 국회도서관보.
2 국립현대미술관(2018). 대한제국의 미술: 빛의 길을 꿈꾸다.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전시도록.
3 강민경(2021). 金澤榮의 1909년 歸國과 安中植 筆 '碧樹居士亭圖'. 미술자료. 99(-): 30-49.
4 김해경(2016). 벽수산장으로 본 근대정원의 조영기법 해석. 서울학연구. 62(-): 59-93.
5 한강문화재연구원(2012). 서울 송현동 유적. 유적조사보고 31.
6 국립중앙박물관 e-뮤지엄(https://www.emuseum.go.kr).
7 서울역사박물관(2019). 북촌, 열한 집의 오래된 기억. 서울역사박물관전시도록.
8 김명숙(2003). 일제시기 경성부 소재 총독부 관사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조준범, 최찬환(2003). 필지 분합을 통해 본 서울 북촌 도시조직의 변화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9(2): 125-132.
10 국토지리정보원(https://www.ngii.go.kr).
11 김현욱(2008). 조선시대 한성5부의 금산 및 금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3): 87-92.
12 문일평, "화하만필", 조선일보 1934. 06. 01.
13 이영남, 정재정(2017). 일제하 서울의 대단위 철도관사단지의 조성과 소멸. 서울과 역사. 97(-): 215-256.
14 "산뎡으로 이亽", 대한매일신보 1910. 02. 12.
15 이지희, 홍원화, 이수호(2015). 조선시대 창고 건축물의 방재대책 및 화재 특성.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31(7): 127-134.
16 강명관(1996). 조선후기 서적의 수입.유통과 장서가의 출현-18, 19세기 京華世族. 민족문학사연구. 9(-): 171-194.
17 서울역사편찬원(https://history.seoul.go.k).
18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https://newslibrary.naver.com).
19 이경아(2019). 경성의 주택지: 인구 폭증 시대 경성의 주택지 개발. 서울: 도서출판 집.
20 서울역사아카이브(https://museum.seoul.go.kr/archive).
21 국립중앙도서관 대한민국 신문 아카이브(https://www.nl.go.kr/newspaper).
22 남권희(1986). 架閣庫考. 서지학연구. 1(-): 129-156.
23 김웅래, 서붕교(2020). 공공성을 고려한 체류형 문화시설 계획에 관한 연구-서울시 종로구 송현동 부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40(2): 663-664.
24 장림, 양유선, 성종상(2019). "한정우기 '종식부'를 통해 본 식물의 상징성과 완상 방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7(2): 30-39.   DOI
25 국가기록원 (https://www.archives.go.kr).
26 정정남(2011). 漢城府의 '統戶番圖' 제작과정을 통해 본 大韓帝國期觀光坊 대형필지의 변화양상. 건축역사연구. 20(1): 7-22.
27 "윤후작저화재", 조선일보 1934. 03. 27.
28 서울특별시(2020). 도시관리계획(북촌지구단위계획) 결정(변경)(안) - 구)미대사관직원숙소부지 일대 공원(문화공원) 결정.
29 박대한(2013). 서울시 대한항공부지 공원화 설계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데이터베이스(http://db.history.go.kr).
31 서울특별시(2015). 국역 경성부사 1. 서울: 휴먼컬처아리랑.
32 이장우(1988). 朝鮮初期 軍資監에 대한 一考察. 역사학보. 118(-): 31-69.
33 허영록(1995). 조선시대 도시계획의 기본요소로서 시전에 대한 연구. 서울학연구. 6(-): 67-98.
34 정승호, 김수진(2015). 관광산업활성화를 위한 정책결정의 우선순위-광화문 대한항공소유 관광호텔부지 규제완화와 관련하여.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학술발표논문집. 6(-): 729-748.
35 정정남(2015). 18세기 이후 한성부 북부 6방(坊)의 주거 정체적 구조. 서울학연구 61(-): 113-156.
36 문화재청(2006). 사진으로 보는 경복궁. 대전: 문화재청.
37 국사편찬위원회(2005). 한국문화사 3 : 거상, 상권을 장악하다.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38 이규목(2001). 서울 근대도시경관 읽기-서울 20세기 공간변천사.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39 최정민, 서영애(2015). 정원 조영의 주체로서 조선후기 경화세족의 문화와 정원관.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1(2): 77-87.   DOI
40 이종묵(2008). 조선후기 경화세족의 주거문화와 四宜堂. 한문학보. 19(-): 567-592.
41 김동현(2015). 조선후기 경화세족의 원림특성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서유구 저, 안대회 편(2005). 산수간에 집을 짓고. 파주: 돌베개.
43 대통령경호실(2007). 청와대와 주변 역사.문화유산. 서울: 대통령경호실.
44 주남철(2003). 궁집(宮家). 파주: 일지사.
45 김정화(2017). 우리나라 식물원의 기원과 진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6 "내동리 명물 송현동 식은촌", 「동아일보」, 1924. 06.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