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700/KITLA.2013.31.4.095

A Time Sequential Research on Changes in Jangchungdan Park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Kim, Hai-Gyoung (Institute of Korean Landscape Studies YiRakJae)
Choui, Hyun-Im (The University of Tokyo)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v.31, no.4, 2013 , pp. 95-11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Jangchungdan Park is now perceived as a mere park at the foot of Namsan mountain, but originally it was created to commemorate soldiers of Korean Empire on a site which name was Namsoyeong(南小營) during Joseon Dynasty.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it was transformed into a park due to the rapidly changing circumstances, so the components expressing the validity of the colonial rule were introduced into the park. This paper examines the time sequential changes of Jangchungdan Park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conclusions can be summarized as given below. Firstly, the park originally was a space to commemorate the soldiers who fought for the Korean Empire. It was built on formerly restricted area at the foot of Namsan Mountain in 1900, and it was arranged putting the ceremonial shrine Dansa (壇祠) as a central building and the annexes in the surroundings of it. The memorial ceremonies were held regularly in spring and autumn until 1909. Secondly, it became a city park for citizens of Gyeongseong-bu(the name of Seoul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authorities of Gyeongseong-bu reorganized Jangchungdan as a park in 1919, prohibited the performance of memorial ceremonies, and the existing buildings except the ceremonial shrine Dansa began to be used as park management facilities. Resting areas and amenities were supplemented for the usage of people from various backgrounds, and the large scale planting of cherry trees made the park a famous place to enjoy cherry-blossoms and other flowers in spring. Thirdly, it was reconstructed as a space to honor the influential personalities of Japanese colonial system. In 1932, Bankmun temple (博文寺) to commemorate Ito Hirobumi was constructed at a location that made it possible for a number of people to overlook Jangchungdan area. During that time, the buildings of traditional Joseon architecture were removed and reconstructed to serve as annexes to Bankmun temple. Due to the strategy to make Jangchungdan park a tourist attraction, Bankmun temple was included into the Gyeongseong sightseeing course, since the wide panorama of Jangchungdan Park and the whole city of Gyeongseong was opening from the temple. Various different components were introduced into Jangchungdan Park due to the rapidly changing circumstances; therefore the nature of the park was either altered or reproduced. Hopefully, the park rearrangement works will be executed paying respects to the memories of the past hereafter.
Keywords
A Modern Park; Place of Honor; Past Memorie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신용, 장윤환(2004). 한국근대 도시공원사. 서울: 대왕사.
2 권기봉(2008). 서울의 거닐며 사라져 가는 역사를 만나다. 서울: 알마.
3 권보드래(2008). 1910년대, 풍문의 시대를 열다.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4 김해경(2011). 벚꽃을 통해 본 근대 행락문화의 해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4): 124-136.
5 서울시사편찬위원회(2005). 사진으로 보는 서울. 서울: 서울특별시.
6 서울역사박물관(2007). 서울지도.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7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1987). 서울육백년사: 문학사적편. 서울: 서울특별시.
8 안종철(2009). 식민지 후기 박문사의 건립, 활용과 해방 후 처리. 동국사학. 46: 67-93.
9 이상배(2005). 장충단의 설립과 장충단제.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10 이성환(2010) 역 이토 유키오 편저. 한국과 이토 히로부미. 서울: 선인 ("미즈노 나오키(2009): 식민기 조선에서의 이토 히로부미의 기억")
11 장규식(2004). 서울 공간으로 본 역사. 서울: 혜안.
12 전우용(2013). 서울은 깊다. 서울: 돌베게.
13 고종실록 37년 5월 31일조.
14 고종실록 37년 6월 25일조.
15 고종실록 37년 11월 11일조.
16 개벽 1922년 8월호.
17 경성일보 1932년 10월 24일 기사.
18 경성일보 1933년 1월 16일 기사.
19 경향신문 1988년 4월 15일 기사
20 대한매일신보 1909년 5월 6일 기사.
21 대한제국 관보 1908년 7월 27일 칙령 제50호.
22 동아일보 1921년 4월 28일 기사.
23 동아일보 1921년 7월 16일 기사.
24 동아일보 1921년 8월 22일 기사.
25 동아일보 1921년 9월 7일 기사.
26 동아일보 1922년 4월 21일 기사.
27 동아일보 1922년 9월 20일 기사.
28 동아일보 1923년 4월 4일 기사.
29 동아일보 1923년 4월 13일 기사.
30 동아일보 1923년 4월 29일 기사.
31 동아일보 1923년 5월 25일 기사.
32 동아일보 1923년 7월 28일 기사.
33 동아일보 1925년 6월 30일 기사.
34 동아일보 1932년 10월 3일 기사.
35 동아일보 1935년 1월 1일 기사.
36 동아일보 1935년 3월 9일 기사.
37 동아일보 1939년 10월 6일 기사.
38 매일경제 1969년 7월 5일 기사.
39 매일신보 1913년 1월 23일 기사.
40 매일신보 1912년 7월 5일 기사.
41 매일신보 1917년 6월 19일 기사.
42 매일신보 1919년 6월 21일 기사.
43 매일신보 1920년 2월 6일 기사.
44 매일신보 1920년 12월 1일 기사.
45 매일신보 1922년 4월 10일 기사.
46 매일신보 1925년 12월 26일 기사.
47 매일신보 1929년 7월 22일 기사.
48 매일신보 1930년 4월 17일 기사.
49 매일신보 1930년 12월 18일 기사.
50 매일신보 1931년 12월 8일 기사.
51 매일신보 1932년 10월 14일 기사.
52 매일신보 1933년 5월 5일 기사.
53 매일신보 1935년 3월 23일 기사.
54 별건곤 1929년 20호.
55 삼천리 1936년 8권 6호.
56 朝鮮. 1926年5月103號. 京城: 朝鮮總督府.
57 조선일보 1921년 5월 27일 기사.
58 황성신문 1900년 11월 12일 기사.
59 황성신문 1901년 4월 22일 기사.
60 황성신문 1901년 5월 9일 기사.
61 황성신문 1901년 10월 21일 기사.
62 황성신문 1902년 4월 24일 기사.
63 황성신문 1902년 10월 22일 기사.
64 황성신문 1903년 4월 8일 기사.
65 황성신문 1906년 10월 30일 기사.
66 황성신문 1905년 4월 19일 기사.
67 황성신문 1905년 10월 20일 기사.
68 황성신문 1906년 4월 12일 기사.
69 황성신문 1907년 4월 29일 기사.
70 황성신문 1907년 6월 12일 기사.
71 황성신문 1907년 10월 26일 기사.
72 황성신문 1908년 4년 9일 기사.
73 황성신문 1908년 5월 8일 기사.
74 황성신문 1908년 10월 10일 기사.
75 황성신문 1909년 3월 18일 기사.
76 황성신문 1909년 10월 15일 기사.
77 京城府(1908). 日本觀光記念寫眞帖. 京城:日出上行.
78 京城府(1934). 京城府史. 京城: 朝鮮總督府.
79 伊東博士作品集刊行會(1941). 伊東忠太建築作品. 城南書院.
80 朝鮮總督府(1940). 朝鮮施政三十年史. 京城: 朝鮮總督府.
81 朝鮮と建築. 1932年11券11號. 京城: 朝鮮建築會.
82 朝鮮と建築. 1933年12券11號. 京城: 朝鮮建築會.
83 朝鮮と建築. 1934年13券2號. 京城: 朝鮮建築會.
84 萩森茂(1930). 朝鮮の都市. 京城: 六陸情報社.
85 국가기록원(www.archives.go.kr).
86 규장각(kyujanggak.snu.ac.kr).
87 황성신문 1904년 10월 21일 기사.
88 매일경제 1969년 7월 5일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