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Measures to Implements the Landscap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in the Seowon Hamyang Namgye inscribed on the World Heritage List  

Choi, Jong-Hee (Division of Horticul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PaiChai University)
Moon, Young-Suk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SungKyunKwan University)
Kim, Dong-Hyu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v.31, no.2, 2013 , pp. 128-13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suggestion that it is a way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the Namgye Seowon's heritage value based on its landscape visibility and land use; Namgye Seowon is a world heritage registration object. To do this, We had done a field investigation and a literature examination. The investigations are as following; first, setting protection zone through a comprehensive approach beyond uniform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zone is to note current intellectual situations as well as the place related to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figures of Namgye Seowon. It's to set fore seeable section of landscape by analyzing visibility focusing through on Pungyeongnu, and it consider with protection zone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land use. Especially, external view of landscape in Namgye Seowon is visualized with Baekam-san in the distance view of it and Cheonhwang-bong in Daebong-san and nearby large soundproof walls and the towers acts as an impediment factor to the view of landscape. In addition, to recover the original view of landscape of the Namgye Seowon, reckless plans focusing the authenticity of the world heritage should be limited and in case of the vegetation landscape, restoration and maintenance will be made through historical research literature. Through this study, researches on Namgye Seowon and several seowons will be done actively and its aims are to become the framework of landscap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measures to meet world heritage criteria.
Keywords
Authenticity; Protection Zone; Landscap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Measure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최종희(2007). 국가지정문화재 주변 현상변경허가기준 마련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1); 72-79.
2 최형석(1999). 역사경관보전을 위한 건축물 높이규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함양군청(2006). 함양 서원문화 관광자원화 사업 기본계획.
4 국립문화재연구소(2010). 사적지 조경정비 기준확립을 위한 기초조사 연구: 서원의 조경정비방안. 국립문화재연구소 보고서.
5 김남응(1980). 조선시대 서원건축의 배치와 외부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學術論叢. 4: 401-436.
6 김동영(1991). 조선후기 서원건축의 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11(1): 151-154.
7 김봉렬(2006). 서원건축. 서울: 대원사.
8 김봉렬(2006). 한국건축이야기 3. 서울: 돌베게.
9 김선구(2001). 돈암서원의 이건 이후 변화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은중(1991). 서원건축의 배치유형 및 변천추이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7(6): 123-128.
11 김은중(1994). 한국의 서원건축. 서울: 문운당.
12 김영모(2005). 조선시대 서원의 조경.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 132-138.
13 노송호(2006). 향교 및 서원의 공간별 상징수목과 배식유형.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1): 1-12.
14 노재현, 신상섭(2009). 치와 화의 개념으로 분석한 남계서원의 경관짜임.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7(4): 72-85.
15 노재현, 신상섭, 허준, 최종희, 김정문, 박봉주, 조운연(2009).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2): 21-90.
16 도동철(2003). 문화재 주변 건축물의 높이규제 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문화재청(2010). 서원 보존․정비 관리방안 연구보고서. 문화재보존국 보존정책과.
18 문화재청(2012). 서원 및 향교의 경관관리를 위한 공공디자인 개발.
19 박기용(2004). 도학적 이상세계를 희구한 정영창-남계서원 편. 선비문화. 2: 78-86.
20 박용재(2001). 퇴계 이황의 경사상을 통한 도산서원 건축공간의 고찰.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윤희면(2008). 경상도 함양의 남계서원 연구. 남명학회지. 26: 363-403.
22 이상윤(1982). 조선시대 서원건축의 배치형식과 그 외부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용범(1982). 조선시대 서원건축의 배치형식과 그 외부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왕기(1986). 한국 유교건축의 '경(敬)의 공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5): 37-48.
25 이상해(2003). 서원. 파주: 열화당.
26 이왕기, 이기승, 최종후, 이건호, 최봉문(1997). 역사적 문화환경의 효율적 보존계획을 위한 시민의식 조사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01: 145-156.
27 이우성(2001). 도산서원. 파주: 한길사.
28 이호일(2006). 조선의 서원. 서울: 가람기획.
29 정기철(1999). 17세기 사림의 '묘침제' 인식과 서원 영건.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정기철(2000). 남계서원의 건축사적 의미. 동양예술. 1: 393-425.
31 조우현(2001). 문화재주변의 경관지구 설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최완기(1996). 한국의 서원. 서울: 대원사.
33 최미경(2010). 영남지방 서원루의 건축계획: 자연경관 해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