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f Iljiam Tea Garden of Daeheung-sa at Mt. Dooryun -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Poetry and Current State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v.30, no.3, 2012 , pp. 97-11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considering the original shape of Iljiam Tea Garden at Mt. Daedun. In order to accomplish our goal, we tried to strengthen the authenticity of construction of Iljiam by comparing its space structure depicted in the poetry of Choeui(艸衣) the monk with its current restored state. According to the clues and situation in the poetry along with symbolic words like 'Choeui' and 'Ilji(一枝)', Iljiam seemed to be a tea garden with elegant and celestial beauties, and with a nice view where Choeui the famous monk searched for the highest state of enlightenment by enjoying and living in nature. When we compared the plural aspects of Iljiam like Dacheon(茶泉), Dajo, Mulhwak, Darim(茶林), Chaewon(菜園), and Yeonji(蓮池) with those of Dasan Tea Garden[茶山草堂], we could see that the basic components of tea-culture space of both gardens are the same, showing the organizational principle of the top and bottom area to stress reading and studying. When it is restored, the authenticity of Iljiam should be pursued by linking spatial, historical, and landscaping characteristics as the space of which Choeui the monk carried out Zen meditation and mastered tea. However, the recent grand scale Buddhist business like the expansion of access road and construction of Buddhist sanctuary and Seolimdang became the biggest threat to the authenticity. Especially, it was emphasized many times in various poetry that the view from Iljiam and its surroundings is extraordinary, so it is critical to get rid of obstacles to the view from Iljiam and its surroundings in order to restore Iljiam as its genuine form. The current Iljiam should be re-made because it is like a leaf-roofed garden, not like a hermitage. However, the opinion that Jawoohongryeon-sa(紫芋紅蓮社) is somewhat a Taoistic and Taoist hermit space with a special shape adopted the pattern of building of the Joseon period rather than a Buddhist building can be accepted as long as other convincing historical evidences are found out, considering the ideology of uniting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the spirit of Taoist hermit found out from poetry of Choeui and his friends. In conclusion, the restoration of Iljiam in 1979 was carried out to restore the place of Iljiam rather than to restore the originality of Iljiam by combining and referring domestic cases of tea gardens. However, there is not much material for restoration even though the main frame of Iljiam was distorted. Nevertheless, the top and bottom ponds should be constructed as a rectangle shape. In addition, it can be improved much in terms of plants and trees. It is necessary to restore bamboo forest, which was razed in order to make a tea plantation around Seolimdang, to set vines of arbors above the upper limbs, to plant pine trees and willow trees inside of the garden, and to put Dajeolgu under the corner of the eaves. Especially, the bamboo forest emphasized in poetry and took care of by Choeui himself should be restored inside of the garden.
Keywords
Top and Bottom Pond; Leaf-roofed Garden; Tea-Culture Space; Original Form; Authentic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승수(2012). 한국의 차생활 공간에 관한 연구:다산, 초의,효당을 중심으로. 한국국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영조, 김영란(1991). 한국 팔경의 형식과 입지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9(2):27-36.
3 곽의진(2008). 해남의 차 문화. (사)해남다인회. pp.29-95.
4 권태철(1999). 한국 전통사찰에서 나타나는 인공지(人工池)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명배 역주(1992). 草衣全集. 제1집. 茶論. 草衣文化祭執行委員會. pp.177-178.
6 김미선(1999). 초의선사의 자연시. 청주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교육과학연구. 13:99-119.
7 김미선(2007). 초의의 유불불이(儒佛不二)사상. 동양철학연구. 52: 221-249.
8 김미숙, 박화문(2011). 초의선사의 다도정신에 나타난 점염실진(點染失 眞). 초등특수교육연구. 13(1):1-21.
9 김서현(2011). 일본 전다도(煎茶道)와 한국 다도의 대조 :다도의 정신문화 中心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석태(2010). 범해각안(梵海覺岸)의 두륜산 한시. 한국언어문학. 제73집: 113-134.
11 김성아(1997). 시화를 통해 본 한국 다정의 원형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성아, 백난영,김용기(1997). 다시를 통해 본 한국 다정(茶庭)원형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5(2):71-84.
13 김연수(1995).초의선사의 시세계. 개신어문연구. 제12집:151-173.
14 김영호 편역(1976). 소치실록. 파주:서문당. pp.15-106.
15 김영희(2004). 초의선사의 다도관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노재현, 신상섭, 박율진(2008). 다산도(茶山圖)에 표현된 다산초당의 원형경관 탐색.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2):31-41.
17 류건집(2009). 동다송 주해. 서울:이른아침. p.109.
18 류정호(2011). 초의선사의 생명관 연구: <동다송>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민경현(1991). 한국정원문화:시원과 변천론. 서울:예경산업사. pp. 239-241.
20 민족문화추진회(1985). 신증동국여지승람 해남현.
21 박동춘(2010). 치원 황상과 초의선사의 차를 통한 교유. 다산과 현대. 제3호. 연세대학교 강진 다산실학연구원. p.278.
22 박동춘(2011). 초의선사의 차문화 중흥의 의미와 그 영향. 정토학연구. 제16권:339-370.
23 배규범(2002). 불가의 음다풍(飮茶風)과 초의선사 다시의 전개 양상.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 한국의 민속과 문화. 16:53-79.
24 안계복, 이경은(2009). 변동계수를 밑바탕으로 한 전통연못의 굴곡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2):43-50.
25 양흥식(2011). 다선일미의 융화사상 연구:이규보와 초의선사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윤우, 혜장, 의순(1823). 대둔사지. 서울대학교 규장각.
27 오구균(1994). 두륜산 상록활엽수림의 식물군집구조. 응용생태연구 8(1):43-57.
28 유홍숙(2012). 치원(卮園)황상(黃裳)의 차생활과 교유(交遊).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윤도심(2008). 조선시대 차 문화의 일고찰. 한일어문논집. 12:209-223.
30 이경미(2009). 조선후기 다문화에 나타난 미의식:초의선사의 동다 송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일희(2004). 생태적 관점에서 본 차문화 공간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이정필(2011). 한국 차문화 발전에 있어서 불교의 역할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종찬 역(2010). 동국대역경원, 초의시고. pp.77-380.
34 장봉혁(1998). 학역종술(學易綜述)-차문화. 역(易)의 이치를 배우는 자의 종합적인 서술. 도서출판 학고방. pp.121-123.
35 정동오(1978). 한국정원의 지당형태 및 구성에 대하여. 한국조경학회지 16(1):1-16.
36 정동오(1982). 강진지방에 있어서의 조선시대의 원림. 호남문화연구. 12:193-216.
37 정민(2010). 정민의 세설신어,53 이택(麗澤). 조선일보 2010년 5월 6일 자.12면.
38 정민(2011). 새로 쓰는 조선의 차 문화:다산 추사 초의가 빚은 아름다운 차의 시대. 서울:김영사. pp.431-433.
39 조태성(2003). 초의선사의 시문학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0 초의문화제집행위원회편(1975). 초의전집 제5집.pp.175-177.
41 최범술(1973). 한국의 다도. 보련각. pp.116-117.
42 한국학문헌연구소(1980). 대둔사지. 성남:아세아문화사.
43 한기두(1970).초의의 사변만어(四辨漫語). 원광대학교 논문집. 5:5.
44 현영조(2000). 한국전통차문화 공간에 관한 사적 고찰:고문헌 중심으로. 한국차학회지. 6(3):71-81.
45 현영조(2001). 조선시대 대표적 지식인의 차문화공간 연구 :고산, 다산, 초의를 사례로. 한국차학회지. 7(3):1-13.
46 현영조(2002). 동양의 전통적 다문화 공간 연구 :한국,일본,중국을 사례로. 한국차학회지. 8(3):63-82.
47 뉴스1코리아 2012년 9월 17일 기사 "전남 강진 전라병영성 발굴 29일 현장설명회"
48 현영조(2004). 차(茶)의 성지:일지암. 한국.월간 빌딩문화. Vol.2 (2004년 2월호). 서울:(주)정성D&M. pp.44-49.
49 현영조(2006). 차문화와 건축:동양의 전통적 차문화 공간. 서울:요철요. pp.152-163.
50 현영조(2008). 전통적 차문화 공간의 현대화:한․일․중 차문화와 그 공간의 특성. 천태다도학연구. 제1집:203-213.
51 네이버 어학사전(http://dic.search.naver.com).
52 해남 다인회 홈페이지(http://hntea.kr/zbxe/t4a1).
53 http://people.aks.ac.kr/front/tabCon/ppl/pplView.aks?pplId=PPL_ 6JOc_A1820_1_0000012
54 http://blog.daum.net/samhang61/17050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