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Cranes(Grus japonensis) Adopted as a Traditional Factor in Landscaping and Gardening Culture  

Kim, Hai-Gyoung (Institute of Korean Landscape Studies YiRakJae)
So, Hyun-Su (Institute of Korean Landscape Studies YiRakJae)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v.30, no.3, 2012 , pp. 57-6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draws the following conclusions about the nature garden culture with crane that is a dynamic landscaping factor introduced into nature garden by analyzing the literatures on cranes written and landscapes painted in Chosun Dynasty. First, crane symbolizes such Buddhist, Taoist and Confucius media as appearance of Buddha, desire for Taoist hermit world and long life, and a solitary's life of proud loneliness. It has been recorded that crane was raised from the Three Nations Era till the Japanese occupation and Confucius scholars in Chosun Dynasty opened shows concerning crane or formed literature groups enjoying poems of it, and often using crane as their denial of going into government service. Second, in order to introduce crane to nature garden, people caught wild crane and made a fence and some kind of pond for their growth. In addition, crane was strictly managed by appointed slaves and they trained crane for dancing and then tended to allow a crane to play on the yard in terms of abstract meaning or got two cranes free in consideration of their ecology. Third, for more appreciation of crane and the expression of some symbolism matching for it, both plum and pine, which mean a solitary's life and long life respectively, were planted in nature garden. And, Confucius scholars in Chosun Dynasty also enjoyed their refined tastes with appreciation, napping, reading and playing the harp, accompanied by crane. As aforementioned, Confucius scholars in Chosun Dynasty did not only draw the meaning symbolized by cranes and write poems about such symbolic meaning, but also positively introduce crane into nature garden as a dynamic landscaping factor, so that they enjoyed synesthetic senses including looks, motions and sounds of cranes for their refined tastes.
Keywords
Long Life; Solitary; Culture of Confucius Scholars; Dynamic Landscaping Element; Release;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경상일보 2010년 2월 25일. 울산시. 학(鶴)의 복원을 심도 있게 검토하라.
2 고연희(2004). 꽃과 새. 선비의 마음. 서울:보림출판사.
3 고연희(2007). 아름다운 필묵의 정신사 조선시대 산수화. 서울:돌베개.
4 과학동아(1988). '꾹꾸루 꾹꾸구'의 대합창. 두루미. 12월호. 서울:동아사이언스.
5 국립중앙박물관(2010). 고려동경:거울에 담긴 고려 사람들의 삶. 서울:국립중앙박물관.
6 김영모(2012). 알기 쉬운 전통조경 시설 사전. 서울:동녘.
7 김호년(1988). 비사실적 송학도의 회화성. 미술세계 제34호 4월호.
8 박헌봉(1966). 창학대강. 서울:국악예술학교출판부.
9 배성환(1996). 한국에 도래하는 두루미류의 월동 현황. 경희대학교 한규조류연구소. 5(1):13-20.
10 서유구 저, 안대회 역(2006). 산수 간에 집을 짓고. 서울:돌베게.
11 송준식(2005). 학은 날아가고, 주인없는 빈집에는 대나무만 우는데. 선비문화.6.
12 송희경(2008). 조선후기 아회도. 서울:다할미디어.
13 안계복(2007). 穿池造山種花草養珍禽奇獸의 재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25(4):131-141.
14 위앤커 저, 전인초 역(1999). 중국신화전설 2. 서울:민음사.
15 유지복(2007). 조선 중기 황기로(黃耆老)초서풍(草書風)의 유행. 미술사학연구.253.
16 유홍준(2001). 화인열전 2. 서울:역사 비평사.
17 이규태(2000). 한국인의 민속문화 3. 서울:신원문화사.
18 이규태(2010). 한국인의 선비문화. 서울:신원문화사.
19 이덕무 저, 편집부 편(1967). 청장관전서VIII(국역):이목구심서. 서울: 민문고.
20 이덕수(2004). 신궁궐기행. 서울:대원사.
21 이선(2006). 우리와 함께 살아 온 나무와 꽃. 서울:수류산방중심.
22 이선옥(2011). 사군자, 매란국죽으로 피어 난 선비의 마음. 서울:돌베개.
23 이종묵(2006). 조선의 문화공간 3. 서울:휴머니스트.
24 일연 저, 이민수 역(1998). 삼국유사. 서울:을유문화사.
25 임기중(2000). 불교가사 원전연구. 서울:동국대 출판부.
26 임재해(1984). 한국구비문학대계 8. 서울:한국학중앙연구원.
27 장지성(2009). 진경산수화의 해석에 관한 고찰. 미술교육연구논총. 25.
28 정덕희(1998). 퇴계 이황의 인간형성이론:거경궁리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지.19:57-74.
29 정민(2003). 한시 속의 새, 그림 속의 새, 첫 번째. 서울:효형출판사.
30 정약용 저, 정민 역(2007). 다산어록청상. 서울:푸르메.
31 조규희(1998).조선시대의 산거도. 미술사학연구.6:29-60.
32 최종현(2007). 원림건축 형식으로서의 한국조선시대 산수화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25(4):13-36.
33 한국문화상징사전편집위원회(1996). 한국문화상징사전. 서울:두산잡 지BU.
34 허균 저, 민족문화추진회 역(1997). 한정록. 서울:솔.
35 허균(2004). 나는 오늘 옛 그림을 보았다. 서울:북폴리오.
36 황서현(2011).두루미 대체 서식지 설계 과정에 관한 연구:경기도 군남 홍수조절지를 사례로.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황호근(1983). 고려동경을 통해 본 한국문양사. 서울:열화당.
38 디지털강릉문화대전(http://gangneung.grandculture.net)
39 한국고전번역 DB(http://db.itkc.or.kr)
40 조선왕조실록(http://sillok.history.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