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700/KITLA.2011.29.4.124

A Study on Interpreting People's Enjoyment under Cherry Blossom in Modern Times  

Kim, Hai Gyoung (Institute of Korean Cultural Landscape Studies)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v.29, no.4, 2011 , pp. 124-13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landscape architecture, plants play an important role in realizing the intention of the architect and user- behavior as well as an ecology and appearance of the space for them. However, it is true that many researches have focused 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lants, their cultivation environment and symbolic meanings in traditional terms, while relatively few for the analysis of the aspects of each period through plants. For this, cherry trees that we often see around are selected and their introduction, propagation, development and symbolism from the view of chronicle are studied and the results are followings; Firstly, three-year seedlings of 1,500 pieces of cherry tree from Osaka and Tokyo were planted for the first time in Oieseongdae, Namsan Park, Seoul. Since then, they had been widely planted at traditional sites, modern parks, newly-constructed roads for street trees, and for this,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Chosun had actively supported by its direct cultivation and selling of cherry trees. The spread of cherry trees planted raised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Prunus yedoensis is originated from Jeju Island. Secondly, such massive and artificial planting of them had become attractions over the time and mass media at that time also had actively promoted it. And such trend made the day and night picnic under the cherry blossom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cultures of enjoying spring in Seoul. Thirdly, although general people enjoyed cherry blossoms, but they had dual view and attitude for cherry trees, which were well expressed in their use of them: for example, cherry blossoms, aeng and sakura were used altogether for same meaning, but night aeng or night picnic under cherry blossoms were especially used instead of yojakura when mentioning just pleasure, which meant some saw night enjoying cherry blossoms a low culture. Fourth, symbolic space of Chosun had been transformed into the space for enjoyment and consumption. Anyone who paid entrance fee could enjoy performance of revugirl, cinema and entertainment along with enjoying cherry blossoms. The still-existing strict differentiation of enjoyment culture by social status, class and ethnicity was dismantled from that trend and brought about a kind of disorder. From this, we could find that cherry blossoms had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change of traditional enjoyment culture ov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become a popular spring enjoyment.
Keywords
Cherry Trees; Prunus yedoensis Matsumura; The Culture of Enjoying Spring; Day Picnic under Cherry Blossoms; Night Picnic under Cherry Blossom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신용, 장윤환(2004). 한국근대 도시공원사. 서울: 대왕사.
2 곤도 시로스케 저. 이언숙 역(2010). 대한민국 황실비사: 창덕궁에서 15년간 순종황제의 측근으로 이란 어느 일본 관리의 회고록. 서울: 이마고.
3 권보드래(2008). 1910년대, 풍문의 시대를 읽다. 서울: 동국대학교 출판부.
4 김수아(2011). 조선시대 와유문화의 전개와 전통조경공간의 조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2): 39-51.
5 김영희(2008). 기생엽서 속의 한국 근대 춤: 기생 100년 엽서 속의 기생읽기.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6 김현숙(2008). 창경원의 밤 벚꽃놀이와 야앵. 한국근현대미술사학. 19: 139-162.
7 노성환(2008). 일본의 하나미와 한국의 화전놀이. 비교민속학. 37: 137-161.
8 농경과 원예. 2008년 11월호. 유망한 조경수목: 왕벚나무.
9 문화재관리국(1989). 창경궁: 중건보고서. 서울: 문화재관리국.
10 박만규(1965). 한국 왕벚나무의 조사 연구사. 한국식물학회지. 8(3): 12-15.
11 박상진(2001). 궁궐의 우리나무. 서울: 눌와.
12 별건곤. 1929년 4월 제20호. 지상종람(地上縱覽)조선 각지 꽃 품평회: 요새에 피는 팔도(八道)의 꽃 이야기.
13 별건곤. 1933년 4월 제65호. 야앵 풍경(夜櫻風景).
14 송희경(2008). 조선후기 아회도. 서울: 다할미디어.
15 신명직(2003). 모던보이 경성을 거닐다. 서울: 현실문화연구.
16 안등정(1916). 경성사진화보(일주년;기념호). 경성: 조선사진통신사.
17 여성(女性). 1936년 4월 창간호. 하이킹 예찬(禮讚).
18 오창영(1993). 한국동물원 80년사: 창경원 편. 서울: 서울특별시.
19 이선(2006). 우리와 함께 살아 온 나무와 꽃. 서울: 수류산방중심.
20 이종묵(2004). 조선시대 와유문화 연구. 진단학보. 98: 81-107.
21 조선(朝鮮). 1922년 11월호. 櫻を牛耳洞に移植せし洪良浩.
22 추삼무(萩森茂: 1930). 조선의 도시(朝鮮の都市). 경성: 대륙문화사.
23 팀 에덴서 저. 박성일 역(2008). 대중문화와 일상, 그리고 민족정체성. 서울: 이후.
24 한양명(2001). 화전놀이의 축제성과 문화적 의미: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민속학회지. 33: 335-358.
25 황기원(2009). 한국 행락문화의 변천과정.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6 삼국사기 백제 진사왕 6년(390년).
27 삼국사기 백제 진사왕 7년(391년).
28 삼국사기 백제 무왕 37년(636년).
29 삼국사기 신라 문무왕 14년(674년).
30 삼국유사 제1권 기이 진한편.
31 삼국유사 제2권 기이 경덕왕 충담사 표훈대덕편.
32 순종실록 부록. 1912년 4월 7일.
33 경성일보 1933년 4월 27일 기사.
34 경성일보 1933년 4월 20일 기사.
35 동아일보 1931년 12월 2일 기사.
36 동아일보 1939년 4월 18일 기사.
37 동아일보 1935년 4월 9일 기사.
38 동아일보 1935년 4월 12일 기사.
39 동아일보 1936년 4월 29일 기사.
40 경향신문 1972년 3월 20일 기사.
41 조선일보 1926년 4월 25일 기사.
42 조선일보 1929년 4월 15일 기사.
43 조선일보 1930년 4월 12일 기사.
44 조선일보 1930년 4월 15일 기사.
45 조선일보 1934년 4월 23일 기사.
46 조선일보 1932년 4월 28일 기사.
47 조선일보 1934년 4월 17일 기사.
48 조선일보 1934년 4월 23일 기사.
49 조선일보 1936년 5월 3일 기사.
50 조선일보 1937년 4월 22일 기사.
51 조선일보 1939년 4월 19일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