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700/KITLA.2011.29.1.090

Storyboard of Immortal Land in Gugok-Wonlim - A Special Reference to Goisan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Park, Joo-Sung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Sim, Woo-Kyung (Landscape Architecture Program, Korea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v.29, no.1, 2011 , pp. 90-10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d the scenic characteristics in Gugok and symbolism reflected in titles of the scenery of the season in Gugok from a perspective of Sundoism concentrated on Galeun Gugok in Goisan which is influenced most greatly by Sundoism hermit ideas in Korea, along with Seonyudong-Gugok. In addition, it suggested a measure for arrangement and narrative Storyboard of Galeun Gugok structure corresponding with promotion and propagation of Gugok cultural scenes and educational goals. According to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various Gugoks forming Galeun Gugok in terms of their titles, names engraved in surrounding elements and the coherent symbolic meanings of its scenery and place through comparison with secenery of near Seonyudong-Gugok, the result shows that Galeun Gugok comprises wishes for eternal life in the forms of Taoist hermit-related scenery of the season within the range of stream and old stories based on environmental affordance. In figurative way, it ultimately presents the Wonyung(圓融) idea which seeks a harmonious combination of God and humankind. In particular, consciousness of longevity without problems is deeply inherent in the background of eternalness of plants, divinity of animals and natural homeostasis. Also, 9 Gok Seongukam set up at visual terminal reflect noticeably that a game Go is the amusement of the immortals, which describe 9 ranks of GO figuratively. Galeun Gugok is formed in a unity structure, which is hermit-oriented Sundoism and motif, such as longevity and immortality, divinity and enjoyment of Sundoism hermit rather than used as a method to achieve taste for the arts or ethics. Given the fact, it presents eternal longevity and atmosphere of seclusion in very strong way. Development of spatial Storyboard structure based on this is interpreted as 'Entering the world of hermits(Introduction)'-'Looking the world(Development)'-'Living with hermits(Turn)'-'Becoming hermit(Conclusion).' Finally, the scenery image of Galeun Gugok presented in surface structure is based on beauty of the immortal land scenery as well as beauty of pre-achieved space in Gugokdongcheon and arranged the vertical narrative structure as divine space of 9 ranks of GO. Taking those into account, scenery story board of Galeun Gugok was suggested in accordance with a theme of 6 cuts; Gnagsun(降仙)-Sungyeong(仙境)- Sunyak(仙藥)-Sunhak(仙鶴)-Sunyu(仙遊)-Eunsun(隱仙). It is obvious that hermit which live an eternal life as a representative of Sundoism, should be the main motif of scenery planning in a filed of modem landscaping. Therefore, the most valuable component in designing Korean landscape must be the homeostasis of surrounding landscape which supports the characteristics of invariability and divinity of nature.
Keywords
Sundoism; The Immortal Hermit Idea; Galeun Gugok; Design Motif; Gugok Poem;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괴산군(2000). 괴향문화 제7집.
2 김문기(2005). 문경의 구곡원림과 구곡시가. 파주: 한국학술정보(주). pp. 71-74.
3 김영만, 박영호(2010). 무궁화 공원의 기능과 스토리텔링 방안 연구: 남양주, 김포, 대전지역 무궁화공원 조성 방안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 42: 161-186.
4 김용국(1975). 韓國圍棋史. 서울: 서문당. pp. 53-60.
5 김용권(2002). 조선시대 산수인물화에서 보이는 은일. 소요적 주제 연구. 경희대 현대미술연구소논문집. 4: 27-28.
6 김윤조(2002). 조선후기 바둑의 유행과 그 문학적 형상. 한국한문학연구. 30: 381-407.
7 김태용(2010). 我命在我不在天. 神仙. 2010한양대학교 박물관 춘계특별전. pp. 74-83.
8 남치형(2004). 바둑판 연구의 필요성. 바둑학연구. 1(1): 163-171.
9 노재현(2008a). 단종애사의 후광효과를 적용한 영월팔경의 스토리텔링 전략. 한국조경학회지. 36(3): 63-74.
10 노재현(2009a). 駬山九曲歌를 활용한 '馬耳勝景'의 스토리텔링 전략,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1): 20-34.
11 노재현(2009b). 구곡원림의 원류, 중국 武夷九曲의 텍스트성: 국내 傳承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6(6): 66-80.
12 동아출판사(1992). 한국문화상징사전. p. 68.
13 藤原成一(1994). 風流の思想.. 京都 株式會社 法藏館. pp. 245-273.
14 馬華, 陳正宏저, 姜昊範, 千賢耕역(1997). 중국은사문화. 서울: 東文選. pp. 214-219.
15 문화재청(2007). 2007년 전통명승 洞天九曲조사보고.
16 朴蘊燮(2003). 仙谷遺稿(天.地.人). 서울: 영지문화사. pp. 502-611.
17 박주성(2004). 신선사상이 한국전통조경문화에 미친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박태일(1999). 한국 근대시의 공간과 장소. 서울: 소명출판. p. 29.
19 森蘊(1957). 新版 桂離宮. 東京 創元社. pp. 275-279.
20 서신혜(2010). 조선인의 유토피아. 파주: 문학동네. pp. 49-70.
21 성기옥(1998). 士大夫詩歌에 수용된 神仙모티프의 詩的機能, 韓國古典文學會 編, 국문학과 도교. 파주: 태학사. pp. 11-49.
22 신순범(2001). 한국민화의 형이상학적 꿈과 해학적 놀이. 한중인문과학연구. 7: 192-249.
23 신정일, 정의선(2008). 관동팔경의 관광자원적 가지정립과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학회. 제62차 학술발표논문집. pp. 55-70.
24 안영이(2005). 다시 쓰는 한국 바둑사. 서울: (재)한국기원.
25 안장리(2005). 지역경관의 문화콘텐즈 개발을 위한 토대 구축. 열상고전연구. 21: 145-171.
26 양형모(1996). 영상취재 바둑문화유적 답사기 11: 충북 괴산군 선유동기국암을 찾아. 월간바둑. 30(11): 34-39.
27 오경환(2002). 조경공간의 이미지 형성에 관한 연구: 스토리텔링방법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유동환(2006). 불교문화유산의 디지털콘텐츠화 현황과 전략 연구. 동국대학교 전자불전. 8: 71-105.
29 유주희(2006). 朝鮮時代 圍棋圖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유주희(2007). 그림으로 본 조선시대 바둑문화. 한국바둑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 21-42.
31 윤석수(2007). 바둑의 기원에 관한 고찰. 한국바둑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 43-59.
32 이상원(1993). 조선중기 시조의 신선 모티프 수용과 그 역사적 의미. 어문논집. 32: 219-239.
33 이상주(2000). 葛隱九曲과 葛隱九曲詩. 한문학보. 2: 353-389.
34 이상주(2002b). 선유팔경과 갈은구곡에 관한 고찰. 한문학보. 7: 201-238.
35 이상주(2006). 조선시대 산수평론에 대한 일고찰(II). 어문논총. 20: 149-174.
36 이성구(2003). 바둑문화유적-석국을 찾아서 2: 충북 괴산군 선국암 바둑판. 월간바둑. 37(9): 24-29.
37 이상주(2007). 충북의 구곡과 구곡시. 충북학연구총서. 충북개발연구소 부설 충북학연구소. 5: 122-129.
38 이상주 편역(2008). 충북의 팔경과 팔경시. 청주: 동일.
39 이성구(1982). 羽化登仙의 十九路. 월간바둑. 16(8): 58-64.
40 이승우(1992). 청석기담 바둑이 있는 세계와 인생. 서울: 우아당. pp. 19-35.
41 이승우(2010). 바둑의 역사와 문화. 부천: 도서출판 현현각 양지. pp. 68-69.
42 이어령(2000). 공간의 기호학. 서울: 민음사.
43 이어령(2005). 소나무, 한중일문화코드읽기. 양주: 도서출판 종이나라. pp. 16-25.
44 이은창(1988). 한국유가 전통원림의 연구. 한국전통문화연구. 4: 298-304.
45 장언푸 저, 김영진 역(2008). 한 권으로 읽는 도교. 파주: 산책자. p. 379.
46 전명숙(2007).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관광콘텐츠 사례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추계종합학술대회논문집. VII-C: 777-780.
47 정민(2007). 초월의 상상. 서울: 휴머니스트.
48 정민(2010). 우리 문화 속의 도교와 신선. 神仙. 2010한양대학교 박물관 춘계특별전. pp. 68-73.
49 지봉구(2008). 동양의 관광콘텐츠: 팔경과 구곡에 대하여. 한국관광학회. 제64차 학술발표논문집. pp. 289-399.
50 최혜실(2004). 문학작품의 테마파크화 과정 연구; '소나기마을'과 '만해마을'을 중심으로. 語文硏究. 32(4): 285-305.
51 평산군지편찬위원회(1993). 평산군지. 서울: 황남인쇄소. pp. 578-582.
52 한강희(2010a). 서사 전략으로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관광 스토리보드'의 기획과 설계. 한국언어문학. 72: 519-556.
53 한강희(2010b). 스토리 스토리텔링 스토리디자인. 서울: 푸른사상.
54 허균(2001). 전통미술의 소재와 상징. 서울: 교보문고. p. 11.
55 황형식(2001). 16-17세기 사대부 시조에 나타난 도교 의식: 16세기 시조를 중심으로. 국학논총. 6: 331-354.
56 회양군민회(2002). 淮陽郡誌. 서울: 동아문화사. pp. 207-273.
57 http://ko.wikipedia.org/wiki/%EC%8A%A4%ED%86%A0%EB%A6%AC%EB%B3%B4%EB%93%9C
58 Park, Joo sung, Jae Hyun Rho and Woo Kyung Sim(2010). Taoist hermit motif in Seonyu Gukok-Wonli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d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International Edition. 8: 30-38.
59 Sim, Woo Kyung(2003). The influences of Sinsunsasang(idea of fairyland, 神仙思想)on Korean traditional garden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 36-42.
60 http://cafe.daum.net/stfour/Af7I/42?docid=1HTQM|Af7I|42|20100316201735
6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4683015
62 http://terms.naver.com/item.nhn?dirId=1507&docId=810
63 http://www.cbi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