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700/KITLA.2011.29.1.038

A Study on the Type of Sinro·Eoro in Joseon Royal Tombs - Focused on the Type of Irregular Sinro·Eoro -  

Kim, Kyu-Ye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SungKyunKwan University)
Jung, Ki-H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Choi, Jong-Hee (Division of Environmental Design & Urban Horticultural Science, PaiChai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v.29, no.1, 2011 , pp. 38-4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is foundation study to understand the Location and the composition of Joseon Royal Tombs, the purpose is to bring light on the types of Sinro Eoro in Joseon Royal Tombs. The type was grouped into Regular type and Irregular type by relations with the approach way, Hongsalmun and Jeongjagak, and the Irregular type was grouped into Curved type and Divided type. The making pattern of Sinro Eoro was divided into three period, the former period, the transition period and the latter period, by the length and the Irregular type. The Regular type was affected by the length of Geonwonreung's Sinro Eoro as the minimum standard in the former period. The result of examining the Irregular type's present condition in Jeongreung, Hyeonreung, Mokreung, Jangreung and Yeongreung, narrow topograph and the waterway were important factors to decide the type. In other words, the type of Irregular Sinro Eoro was constructed by a topography and a waterway in the length of Geonwonreung's Sinro Eoro as the minimum standard.
Keywords
Joseon Royal Tombs; Sinro; Eoro; Chamdo;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http://100.naver.com(네이버백과사전).
2 http://map.naver.com(네이버지도).
3 http://local.daum.net/map(다음지도).
4 http://royaltombs.cha.go.kr(문화재청 조선왕릉전시관).
5 http://sillok.history.go.kr(조선왕조실록).
6 http://www.chosun.com(조선일보).
7 김영모, 이선(2004). 고증을 토대로 한 서오릉 능역시설의 정비방안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1): 70-87.
8 김진태(2009). 풍수론적 해석을 통한 조선왕릉 문화에 대한 연구: 서오릉 입지 사례를 중심으로. 서경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철완(2009). 조선왕릉에 관한 풍수연구: 좌향론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흥년, 심우경, 최종희(2007). 홍유릉 일원의 입지와 공간구성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5(3): 92-104.
11 김흥년(2009). 조선왕릉 연지의 입지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대한민국(2007). 조선왕릉 세계유산 등재 신청서.
13 문화재청(2006). 한 권의 수첩 핸드북으로 만나는 조선왕릉. 문화재청.
14 문화재청(2009). 태릉.강릉 능제복원 기본계획 연구. 문화재청 보고서.
15 문화재청(2009). 서삼릉 능제복원 기본계획 연구. 문화재청 보고서.
16 문화재청(2009). 파주 장릉 능제복원 기본계획 연구. 문화재청 보고서.
17 문화재청(2009). 서오릉 능제복원 기본계획 연구. 문화재청 보고서.
18 문화재청(2009). 선릉. 정릉(貞陵, 신덕왕후)능제복원 기본계획 연구. 문화재청 보고서.
19 문화재청(2009). 파주삼릉 능제복원 기본계획 연구. 문화재청 보고서.
20 문화재청(2009). 융릉.건릉 능제복원 기본계획 연구. 문화재청 보고서.
21 문화재청(2009). 온릉 능제복원 기본계획 연구. 문화재청 보고서.
22 문화재청(2009). 조선왕릉 경관포인트 선정 및 문화컨텐츠 마련 연구 보고서. 문화재청 보고서.
23 엄지혜(2008). 조선시대 왕릉 재실의 배치 및 평면형식의 시대적 변화.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박동석, 엄태건, 표기만, 이한영, 최종희(2008). 태.강릉 일원의 입지와 공간구성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2): 61-69.
25 신광철(2005). 조선시대 왕릉의 석인.석수 조형성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심우경, 김송아, 류경민, 최종희(2007). 융건릉 일원의 입지와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4): 65-75.
27 이병유(2008). 왕에게 가다. 서울: (주)지오마케팅.
28 이선, 김영모(2004). 조선시대 능역 공간의 식생 및 관리 사실에 관한 연구: 서오릉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1): 88-101.
29 이영(1992). 조선시대 왕릉 능역의 건축과 배치형식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이재영(2010). 조선왕릉의 풍수지리적 해석과 계량적 분석 연구. 동방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1 이창환(1999). 조선시대 능역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이창환, 이상필, 정종수, 전혜원, 김규연, 최종희(2009). 조선왕릉의 능제 복원 연구: 태릉. 강릉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2): 59-71.
33 이창환, 정종수, 이원호, 최종희(2010). 조선왕릉의 능제복원 연구: 김포 장릉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2): 86-97.
34 이창환, 정종수, 이원호, 최종희(2010). 조선왕릉의 능제복원 연구: 융릉.건릉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3): 39-52.
35 임병을, 심우경, 최종희(2009). 김포 장릉 주변지역의 현상변경 실태 및 경관가시성을 고려한 경관보존. 관리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3): 18-29.
36 전나나(2009). 조선왕릉 석인상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조송래(2006). 조선왕릉 금천교에 관한 연구. 우송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조운연(2009). 조선왕릉의 능역 복원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9 최종희, 김규연, 김흥년(2008). 홍유릉의 현상변경 실태 및 경관가시성. 토지이용을 고려한 경관보존. 관리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3): 24-40.
40 한성희(2006). 여기자가 파헤친 조선왕릉의 비밀 1권. 서울: 솔지미디어.
41 한성희(2006). 여기자가 파헤친 조선왕릉의 비밀 2권. 서울: 솔지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