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Byeolseo in Gyeongnam Province  

Ahn, Gye-Bo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atholic University of Deagu)
Oh, Tae-Ho (Dep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Catholic University of Deagu)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v.28, no.4, 2010 , pp. 28-3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Byeolseo(別墅)' means a kind of building that is built where is separated from main house. From the results of our field investigation, we could see that every type of the Jungja(亭子) a kind of Byeolseo-building in Gyoungnam Province. And the types of building plan found are center-focused room, eccentric room, seperated room, and the one without room. And also, we could find that the most representative location type of Byeolseo is on the hill where the cliff is on the riverside. That is, both waterscape and rockscape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composition of landscape treatment of Byeolseo in Gyoungnam Province. In waterscape, "waterfall+swamp+fast-flowing stream" structure which is connected with river or mountain stream is found prominently, and in the case of rockscape, bedrocks, boulders, and Dae(臺) that are present in nature are used prevalently rather than an artificial hill or disposing rocks on purpose. Treating and disposing landscape of Byeolseo in Gyoungnam Province, the perspective view(average perspective distance is 5.6km) and several axes of view are used.
Keywords
Location Type; Waterscape; Rockscape; Landscape Treatment;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안계복(2005). 풍류의 정원 루, 정, 대(樓, 亭, 臺).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 150-157.   과학기술학회마을
2 서명응(1759). 여지도서 上下(국사편찬위원회. 1979. 여지도서 上下)
3 한국학문헌연구소(1982). 읍지 1, 2, 3 경상도편. 서울: 아세아문화사
4 함양문화원(2001). 咸陽樓亭誌. 上-下.
5 합천문화원(2002). 陜川樓亭錄. 합천군: 세기인쇄.
6 홍광표, 이상윤, 정운익(2001). 한국의 전통수경관. 서울: 태림문화사.
7 김정호(1864). 대동지지(한양대학교 국학연구원. 대동지지. 1974. 대제각).
8 이재근(1992). 조선시대 별서정원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양병이, 박은영, 박휘(2003). 선비문화가 조선시대 별서정원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21(1): 9-20.
10 김용기, 이재근(1992). 조선시대 정자원림의 지역적 특성에 관한 연구 -영.호남의 별서정원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0(1): 15-31.
11 민경현(1991). 韓國庭苑文化: 始源과 變遷論. 서울: 예경산업사.
12 문화재청(2010). 2010 전국 별서 명승자원 지정조사 보고서.
13 안계복(1990). 樓閣 및 亭子樣式을 통한 韓國傳統庭園의 特性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밀양문화원(2008). 국역 밀양누정록.
15 박기용(1998). 거창의 누정.
16 안계복(1988). 慶北地方을 中心으로 韓國의 亭樣式形成에 미친 要因分析에 관한 硏究. 曉大論文集. 36: 471-510.
17 김용기, 홍광표, 이상윤, 심창진, 양달섭(1994). 조선시대 별서정원의 수경연출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2(1): 43-56.
18 김수진, 김태수, 심우경(2008). 이태(1483-1536)의 월연정 별서 경영과 이상향.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2): 18-30.
19 김수진, 정해준, 심우경(2006).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4): 51-61.
20 김영빈, 안계복(1985). 별서에 관한 연구. 효성여자대학교 연구논문집. 30: 1-22.
21 昌寧文化院(1995). 昌寧樓亭錄.
22 이행(1530). 신증 동국여지승람(민족문화추진회, 1971, 대한공론사)
23 임지종(1985). 용암유집. 서울: 태창사.
24 정동오(1986). 傳統的인 亭子園林에 立地特性 및 空間構成에 관한 硏究.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 25-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