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5432/JKTO.2014.19.1.1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of Korean Medicine for Gastric Cancer  

Kim, Hyo-Rin (Department of Korean Medical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Jeong, Hye-Ryon (Department of Korean Medical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Baek, Dong-Gi (Department of Korean Medical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Won, Jin-Hee (Department of Korean Medical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Moon, Goo (Department of Korean Medical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Oncology / v.19, no.1, 2014 , pp. 1-2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clinical guidelines for gastric cancer. Methods : The literature on Western and Oriental medical treatment of gastric cancer were collected, analyzed and summarized from the Google Scholar, KIOM OASIS and PUBMED from 1993 to 2014. Results : Gastric cancer is the second most common cancer in Korea. In recent studies, applying integrative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 can suppress the tumor, improve the survival, the immune system, and the quality of life in gastric cancer. But there isn't still a unified protocol for gastric cancer treatment, so we have difficulty in clinical application.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and building systems for integrative gastric cancer treatment. Conclusion : Further studies on integrative gastric cancer treatment are needed to improve the survival of gastric cancer patients and build th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of gastric cancer.
Keywords
gastric cancer; integrative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of gastric cancer;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박재우 외 3명, 항암플러스 투여 후 호전된 진행성 위암 환자 증례보고,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19(2):153-8, 2011.
2 류성현 외 5명, 녹용약침액의 위암세포주에 대한 Oligonucleotide Chip 분석, 대한경락경혈학회지. 23(2):125-36, 2006.
3 허경 외 2명, 봉독이 위암 세포주에 미치는 효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7(1):92-98, 2013.   과학기술학회마을
4 이병훈 외 5명, 영지 약침액이 인체 위암 세포 성장억제 및 세포사멸 유발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29(2):271-89, 2012.   과학기술학회마을
5 최성권 외 2명, 말기 위암환자 위절제 수술 후 오심, 구토 완화를 위한 사관, 족삼리 자침효과와 진토제 Metoclopramide HCl 사용과의 비교를 통한 환자1례 임상 고찰, 대한경락경혈학회지. 18(2):157-66, 2001.
6 권해경 외 2명, 세계 암 보완대체의학의 현황에 대한 연구, 대한암한의학회지. 14(1):1-11, 2009.
7 국립암센터, 국가암등록사업 연례 보고서 (2011년 암등록통계), 2013.
8 국가암정보센터, 위암 2014. Avaliable from:URL:http://www.cancer.go.kr/mbs/cancer/index.jsp
9 심범상 외 1명, 胃癌에서의 辨證分型에 관한 文獻的 考察, 동의병리학회지. 8:295-303, 1993.
10 공경환 외 2명, 4기 위암환자의 증치에 관한 보고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1(5):897-902, 2000.   과학기술학회마을
11 황성연 외 2명, 위암의 한방치료 활성화를 위한 한방의료정책 보완에 관한 제안,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3(3):528-33, 2009.   과학기술학회마을
12 전국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실, 비계내 과학 1판, pp.126-36, 서울, 군자출판사, 2008.
13 김병주 외 1명, 胃癌의 東西醫學的 診治 槪況, 대한한의학회지. 17(2):100-116, 1996.
14 황충연, 胃癌의 東西醫 治療에 관한 文獻的 考察, 원광한의학회지. 7(1):10-18, 1997.
15 정진형 외 3명, 위암의 중의약 치료에 대한 문헌적 고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35(3):332-42, 2014.   과학기술학회마을
16 American cancer society, Stomach Cancer 2014. Avaliable from:URL:http://www.cancer.org/index
17 이준행 외 19명, 근거 기반 위암 진료 권고안, Korean J Gastroenterol. 63(2):66-81, 2014.   DOI
18 한국건강지식센터, 암통계 2014. Avaliable from:URL:http://blog.naver.com/khkc2014
19 S. Willis 외 4명, Endoscopic ultrasonography in the preoperative staging of gastric cancer, Surg Endosc. 14:951-4, 2000.   DOI   ScienceOn
20 Bruce E. Hillner 외 7명, Relationship between cancer type and impat of PET and PET/CT on intended management : Findings of the National Oncologic PET Registry, J Nucl Med. 49:1928-35, 2008.   DOI   ScienceOn
21 H Ono 외 8명,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for treatment of early gastric cancer, Gut. 48:225-9, 2001.   DOI   ScienceOn
22 T. De Potter 외 7명, Whole-body PET with FDG for the diagnosis of recurrent gastric cancer, Eur J Nucl Med Mol Imaging. 29:525-9, 2002.   DOI   ScienceOn
23 Kyu-Chul Kang 외 11명, Comparison of Billroth I and Billroth II reconstructions after laparoscopy-assisted distal gastrectomy: a retrospective analysis of large-scale multicenter results from Korea, Surg Endosc. 25:1953-61, 2011.   DOI   ScienceOn
24 Makoto Ishikawa 외 12명,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Comparing Billroth I and Roux-en-Y Procedures after Distal Gastrectomy for Gastric Carcinoma, World J Surg. 29:1415-20, 2005.   DOI   ScienceOn
25 The GASTRIC (Global Advanced/Adjuvant Stomach Tumor Research International Collaboration) Group, Benefit of Adjuvant Chemotherapy for Resectable Gastric Cancer, JAMA. 303(17):1729-37, 2010.   DOI   ScienceOn
26 B. Glimelius 외 10명, Randomized comparison between chemotherapy plus best supportive care with best supportive care in advanced gastric cancer, Annals of Oncology 8:163-8, 1997.   DOI   ScienceOn
27 공현식 외 3명, 위암에 대한 문헌고찰 (근래 잡지를 중심으로), 대한한방내과학회지. 15(1):210-26, 1994.
28 임성우, 噎膈, 反胃, 胃癌의 치료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15(2):209-17, 1994.
29 윤성우 외 3명, 胃癌의 東醫學 및 東西醫結合 治療에 관한 文獻的 考察, 대한한방종양학회지. 2(1):177-91, 1996.
30 서영철 외 2명, 胃癌의 處方 運用 및 化學療法 竝行 治療에 관한 小考, 대한한방종양학회지. 3(1):193-206, 1997.
31 이종인 외 5명, 위암 및 간암 환자의 치료에 있어 양한방 협진의 효과에 관한 임상시험, 대한한방종양학회지. 7(1):117-29, 2001.
32 林洪生, 通過循証建立指引,踐行指引带動規范, 第5届國際中医中西医結合腫瘤學術交流大會, 2014.7. 中國广東广州.
33 윤담희 외 8명, 진행성 위암 환자 증례를 통한 한양방 병용치료의 효용성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19(6):1681-4, 2005.   과학기술학회마을
34 박정석 외 5명, 수레바퀴암치료법을 시행 받은 진행성 위암 환자 62명에 대한 후향적 코호트 분석,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8(3):531-43, 2007.
35 정홍매 외 3명, 수레바퀴 암 치료법에 대한 근거중심적 연구, 대한암한의학회지. 17(2):1-16, 2012.
36 문구 외 3명, 암 동서의 결합치료 1권, p. 488, 익산, 원광대학교출판국, 1999.
37 Lu B 외 3명, Extract of Radix Curcumae Prevents Gastric Cancer in Rats, Digestion. 77:87-91, 2008.   DOI
38 Ai-Guang Zhao 외 6명, Effects of Wei Chang An on expression of multiple genes in human gastric cancer grafted onto nude mice, World J Gastroenterol. 14(5):693-700, 2008.   DOI
39 Zhou F 외 1명, Effects of serum containing Yiqi Xiaoji Recipe on cell line NKN-28 of gastric cancer, Journal of Chinese Integrative Medicine. 5(4):442-4, 2007.
40 Cao ND 외 2명, Survival time of advanced gastric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integrated traditional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therapy, Journal of Chinese Integrative Medicine. 8(2):116-20, 2010.   DOI
41 Zhao AG 외 11명, Survival benefit of an herbal formula for invigorating spleen for elderly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Journal of Chinese Integrative Medicine. 8(3):224-30, 2010.   DOI
42 Yan Xu, MD 외 14명, Survival Benefit of Traditional Chinese Herbal Medicine (a Herbal Formula for Invigorating Spleen) for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Integr Cancer Ther. 12(5):414-22, 2013.   DOI
43 안진영 외 2명, 건칠이 위암세포의 활성, 세포사멸 및 세포주기 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3):701-9, 2006.
44 Zhu JS 외 5명, Immunoregulation and short-term therapeutic effects of super-selective intra-arterial chemotherapy combined with traditional Chinese drugs on gastric cancer patients, Journal of Chinese Integrative Medicine. 4(5):478-81, 2006.   DOI   ScienceOn
45 Gan T 외 3명, Chinese herbal medicines for induction of remission in advanced or late gastric cancer (Review), The Cochrane Collaboration and published in The Cochrane Library. Issue 1, pp.98-100, 2010.
46 이선동 외 3명, 가시오가피 에탄올추출물의 AGS위암세포주에서 세포주기억제효과, Kor. J. Oriental Preventive Medical Society. 15(3):127-140, 2011.   과학기술학회마을
47 임보라 외 4명, 인체 위암세포에서 고삼의 세포사멸효과, Korea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18(1):85-92, 2012.   과학기술학회마을
48 송영근 외 4명, 권백이 위암세포에 미치는 영향, Korean J. Orient. Int. Med. 24(3):477-85, 2003.
49 오희라 외 1명, 목향과 차전초가 위암세포의 활성, 증식, 자기살해능 및 세포주기 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종양학회지. 7(1):1-18, 2001.
50 박재민 외 4명, 반묘 분획성분의 위암세포에 대한 사멸효과 및 작용기전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3(4):569-78, 2002.
51 임종원 외 4명, 반묘 각 부위에 따른 시험관 내 인체 위암세포에 대한 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4(3):452-64, 2003.
52 김상찬 외 3명, 백굴채가 Stomach Adenocarcinoma Cell Line의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 방제학회지. 13(1):71-83, 2005.
53 홍상선 외 4명, 사매가 위암세포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4(2):290-9, 2003.   과학기술학회마을
54 안한규 외 2명, 토복령의 기원식물별 위암 세포 SNU-1에 대한 항암효과 비교 연구, 대한본초학회지. 25(1):23-31, 2010.
55 임중화 외 4명, 사매의 KATOIII 위암세포에 대한 항암효과. 26(2):302-9, 2005.
56 김동묵 외 4명, 석웅황의 시험관내 위암세포 항암작용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4(3):426-40, 2003.
57 조유경 외 5명, 울금이 위암세포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종양학회지. 9(1):15-37, 2003.
58 Park Jeong-sook 외 2명, 야생 산삼 추출물의 조직배양 뿌리가 다양한 암세포주에 미치는 세포성장 저해 효과, Natural Product Sciences. 15(1):1-7, 2009.
59 이재은 외 5명, 보두산에 의한 사람 위암 세포주 SNU-1의 세포사멸 경로, 대한본초학회지. 21(1):33-42, 2006.   과학기술학회마을
60 정우영 외 4명, 사군자탕 및 사군자탕가반묘가 위암세포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2(4):579-87, 2001.
61 방대건 외 1명, 항암 화학요법을 시행한 말기 위암환자에 대한 抗癌調理方과 ACII 시럽의 효과에 관한 임상적 고찰, 한방성인병학회지. 6(1):232-40, 2000.
62 안지혜 외 4명, 消積正元散 및 옻나무 추출물 투여로 체중증가 및 일반활동도의 개선을 보인 진행성 위암 환자 1례, 대한암한의학회지. 14(1):21-7, 2009.
63 정성국 외 1명, 재발한 위암 환자의 오심 구토에 독활지황탕가미를 처방한 1례, J Sasang Constitut Med. 25(4):425-31, 2013.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64 서영광 외 6명, 대장 및 복강으로 전이된 위암 환자의 설사와 복통을 태음인 사상방으로 관리한 증례, 사상체질의학회지. 19(3):270-6, 2007.   과학기술학회마을
65 김혜원 외 2명, 말기위암환자의 복통에 태음인 청심연자탕을 투여한 증례, 사상체질의학회지. 12(2):195-200, 2000.   과학기술학회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