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정부조직의 지식관리(KM) 활용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Yu, Hong-Rim (단국대학교)
Lee, Byeong-Gi (인천발전연구원)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 v.38, no.1, 2004 , pp. 23-7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Keywords
지식관리, 지식관리시스템, 공공조직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선아 & 김영걸.(1999). '조직지식 창출프로세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제2회 지식경영 학술심포지엄 논문집'. 한국지식경영학회
2 노나카 이쿠지로. 김형동 역.(1995). '지식창출의 경영'. 서울: 21세기북스
3 노나카 이쿠지로 & 곤노 노보루 저. 김형동 역.(1996). '지식경영'. 서울: 21세기북스
4 문신용(2000). '행정정보화와 조직운영의 혁신방안'. 한국행정연구원 연구보고서 99-06
5 삼성경제연구소.(1998). '지식관리의 실천'.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6 유홍림, 이병기.(2001). '디지털시대의 지방행정발전과 과제: IT의 도입 및 활용전략.' 대전, 충남행정학회 춘계세미나 발표논문
7 Arthur Anderson.(1996). The Knowledge Report. Highlights of the Knowledge Management Imperative Symposium
8 Bechman, T.(1999). 'A Methodology of Knowledge Management'.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for Development(IAST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I and Soft Computing Banff. Canada
9 OECD(1995). The Knowledge - Based Economy. Paris: OECD
10 Wigg, Karl M.(1997). 'Inter-grating Intellectual Capital and Knowledge Management'. Long Lange Learning. Vol. 30. No. 3
11 http://www.APQC.org/
12 행정자치부.(2000). '지식관리시스템구축 기본계획'
13 http://www.brint.com/OrgLrng.htm-Knowledge Management & Organizational Learning
14 서영길(2002). '공공부문에서의 KMS 집행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해군의 경우를 중심서영길으로.' 2002년도 한국정책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
15 정윤수.(2001). '공공부문 지식관리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정책과제,' '정보화정책'. 8(4)
16 Davenport, T. H., De Long, D. W. & Beers, M. C.(1998). 'Successful Knowledge Management Projects'. Sloan Management Review. Winter
17 Earl, M. J.(1994). 'Knowledge as Strategy Reflections on Skandina International and Shorko Films Strategic Information System: A European Perspective'. John Wiely & Sons
18 Saint-Onge, Hubert(1996). 'Tacit Knowledge: The Key to the Strategic Alignment of Intellectual Capital'. Strategy & Leadership
19 이순철.(1999). '지식경영 구축을 위한 방법론'. 제2회 지식경영 학술심포지엄 발표논문집
20 최병구 & 이희석.(1999). '비즈니스 기반 지식경영.' 제2회 지식경영 학술심포지엄 발표논문. 한국지식경영학회
21 OECD(1997). Industrial Competitiveness in Knowledge-based Economy. Paris: OECD
22 Ruggles, R.(1998). 'The state of the Notion : Knowledge Management in Practice'.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23 강구영.(1998). '지식관리의 구축방법.' '인사관리'. 7(107)
24 기획예산처.(2000). '기획예산처 지식관리시스템의 특징 및 기능'
25 Prusak, L.(1997). 'Knowledge in Organizations', Butterworth-Heinemann
26 http://www.km-forum.org/what_is.htm
27 http://www.brint.com/km/-WWW Virtual Library on Knowledge Management
28 http://www.kmworld.com/UpcomingEvents/
29 김영걸 & 이장환.(1999). '조직의 지식관리체계 및 업무프로세스 분석에 기반한 지식전략 계획수립 방법론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30 하미승.(1999). '지식행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행정학회보'. 33(3)
31 World Bank(1998). Knowledge for Development
32 박희서, 김구.(2002). '행정관리에 있어서 지식관리의 활용성 제고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행정학보'. 36(2)
33 부즈, 앨런 & 해밀턴.(1998). '한국보고서'. 서울: 매일경제신문사
34 유홍림.(1999). '행정개혁을 위한 정보기술의 성공적인 도입전략'. 서울: 한국행정연구원
35 유홍림.(1999). '행정개혁을 위한 정보기술의 성공적인 도입전략'. 서울: 한국행정연구원
36 Nonaka, I. & N. Konno(1998). 'The Concept of 'Ba': Building a Foundation for Knowledge Creation'.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40(3). pp. 3-54   DOI
37 강황선.(2002). 서울시 지식관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38 하미승.(2001). '정부지식관리시스템에 대한 평가와 확충방안.' 건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논집'25
39 하미승.(2003). '중앙 및 지방정부의 지식관리 프로토타입에 관한 평가연구.''한국행정논총'. 15(1)
40 한세억.(1999). '지식정보시대의 정부패러다임.''한국행정연구'. 7(3)
41 Sveiby, K. E.(2000). 'Intellectual Capital Knowledge Management'. www.sveiby.com
42 강황선.(2002). '서울시 지식관리시스템 도입방안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43 매일경제 지식프로젝트팀.(1998).'맥킨지 보고서: 한국 재창조의 길'. 서울: 매일경제신문사
44 김효근 & 권희영.(1999). '조직의 지식경영 준비도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제1차 지식경영 학술심포지엄 논문'
45 Nonaka, I & Takeuchi, H.(1995). The Knowledge Creating Company-How Japanese Companies Create the Dynamics of Innovation. Oxfo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