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778/jpkm.2011.25.3.046

A Study of Classifying Single-medicine Prescriptions Mentioned in Pediatric Chapter in Dong-eui-bo-gam  

Sung, Hyun-Ky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Min, Sang-Yeo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Kim, Jang-Hyu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 v.25, no.3, 2011 , pp. 46-5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apply current oriental pediatrics treatment guidelines based on a pediatric herb chapter in Dong-eui-bo-gam. Methods: We classified herbs based on the four properties, five flavors, attributive channel, a dosage form of the medicine, diagnosis, toxicity and character. Results & Conclus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there were lots of things that we have to learn - characteristics of common herbs in pediatrics and pediatric diseases and pathology. From this study, we also learn about changes of pediatric physiology and pathology. More related studies can be helpful for updating the current oriental pediatric guidelines.
Keywords
Dong-eui-bo-gam; Pediatrics; Herb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인수, 윤창열. 동의보감의 목차에 대한 연구.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05;18(3):136-71.
2 전국한의과대학 본초학교수 공편저. 本草學. 서울:영림사. 2000:60-70.
3 江蘇新醫學院. 中藥大辭典. 서울:정담. 1998:8,41,225, 431,927,997,1020,1350,1894,2261,2509,2753,3746,38 79,4419,5791,5861,5867,6104,6155,6215,6442.
4 張介賓. 景岳全書. 서울:한미의학. 2006:1889-96.
5 송점식, 김완희. 한약의 苦味, 鹹味가 혈액응고, 대사기질 및 전해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1986;7(2):184-94.
6 교재편찬위원회. 한방소아청소년의학. 서울:의성당. 2010:35,37-9.
7 錢乙. 小兒藥證直缺. 서울:여강출판사. 2002:38-9.
8 박정고, 유봉하, 박동원, 유기원. 五味에 대한 문헌고찰. 1975;12(1):112-7.
9 이영종, 윤창렬. 귀경론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1989;10(1):256-67.
10 최은영, 장규태, 김장현. 모 한방병원 소아과 외래환자의 주소증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5;19(2):197-213.
11 한재경, 김윤희. 대전대학교 부속 한방병원 소아과에 내원한 환자에 대한 실태분석.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1;15(2):209-20.
12 최민형, 김덕곤, 이진용. 경희의료원 한방소아청소년과 외래환자의 주소증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10;24(3):121-37.
13 이승연. 소아과 외래환자의 주소증에 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2;15(1):203-16.
14 김종윤, 이진용, 윤상협.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아의 위전도에 대한 內消和中湯의 效果.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2;16(2):199-213.
15 김윤영, 서영민, 김장현. 국내 시판중인 소아용 피부보습제품의 분석 및 고찰.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8;22(3):63-73.
16 윤경희,이진용,김덕곤. 한방소아과에 경련을 주증으로 내원한 환아 90례의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6;20(1):195-206.
17 이창현, 주영승. 동의보감에 수록된 한약재에 대한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1990;11(1):193-207.
18 최자영. 동,서양 접촉 이후의 근대 약초학에 보이는 실용성- 근대 서방과 우리나라 동의보감의 약효에 대한 이해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구사학. 2007;89: 291-317.
19 이상인. 동의보감을 본초학 영역에서 살펴본 특징과 끼친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1992;7(1):21-6.
20 許俊. 東醫寶鑑. 경남:동의보감출판사. 2005:951-6, 1954-62.
21 김대식, 윤창열. 동의보감 단방에 대한 연구. 대전대학교한의학연구소논문집. 2007;16(2):7-12.
22 황경식. 심신의학의 선구로서의 동의보감-동의보감의 의료철학이 지닌 미래적 가치.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09;15(1):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