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신동길, 김덕곤, 이진용. 비만아 9례에 대한 藿香正氣散 가미방의 치료효과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1;15(1):183-94.
|
2 |
안정란. 가미곽정탕의 효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서울:경희대학교대학원논문. 1993.
|
3 |
김윤범, 김중호, 채병윤. 藿香正氣散과 가미방이 위장관기능 및 항알레르기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1993;14(1):9-23.
|
4 |
윤희식, 유봉하, 박동원, 유기원. 藿香正氣散과 소음인藿香正氣散의 효능에 관한 실험적 비교연구. 경희대한의대논문집. 1998;21(1):197-211.
|
5 |
김진성. 장세척의 한의학적 응용.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논문집. 1998;21(1):527-38.
|
6 |
황치원, 변일. 내과급증의 응급처치 및 투약방법에 관한 문헌적 고찰:중풍급증을 중심으로. 혜화의학. 1994;1(3):16-45.
|
7 |
전우규. 장건강 및 면역질환의 보완통합의학적 접근. Hanyang Medical Reviews. 2010;30(2):109-14.
DOI
|
8 |
배승철. 금석 황제내경 영추. 서울:성보사. 1995:300-3.
|
9 |
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수. 비계내과학. 서울:나도. 1991:75-7.
|
10 |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수. 방제학. 서울:영림사. 1999: 488-90.
|
11 |
황도연. 신증방약합편. 서울:영림사, 2002:190-1.
|
12 |
박지은, 문원, 남지현, 김낭희, 김성훈, 박무인, 박선자, 김규종. 생리식염수 관장 직후 혈성 설사로 발현한 허혈대장염 1례. 대한소화기학회지. 2007;50:126-30.
|
13 |
임준식, 문병순. 保留灌腸을 시행한 마비성 장폐색 환자 12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1999;20(1):210-21.
|
14 |
彭崩, 卲思華. 中藥灌腸劑的硏究槪. 江西中醫學院學報. 1996;8(3):46.
|
15 |
송미선, 임은미, 김윤상, 윤정문, 이태희. 강녕탕의 경구와 직장투여의 항염증효과 비교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3):147-61.
|
16 |
박무인, 신정은, 명승재, 허규찬, 최창환, 정성애, 최석채, 손정일, 최명규. 변비 치료에 관한 임상진료지침. Korean J Gastroenterol. 2011;57(2);100-14.
DOI
ScienceOn
|
17 |
신재용. 방약합편해설. 서울:성보사. 1989:108.
|
18 |
김기봉, 김덕곤, 김윤희, 김장현, 민상연, 박은정, 백정한, 유선애, 이승연, 이진용, 이해자, 장규태, 채중원, 한윤정, 한재경. 한방소아청소년의학. 서울:의성당. 2010:454-6, 460-6.
|
19 |
정기욱, 명승재. 변비의 병태생리와 진단. 대한내과학회지. 2011:80(5);505-9.
|
20 |
이광재. 과민성 장증후군의 치료.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11;80(5):499-504.
|
21 |
Jun DW, Park HY, Lee OY, et al. A population-based study on bowel habits in a Korean community: prevalence of functional constipation and self-reported constipation. 2006;51:1471-7.
DOI
ScienceOn
|
22 |
양재훈, 이준성, 홍수진, 임희혁, 황경란, 김현정, 이상호, 고봉민, 정인섭, 유창범, 김진오, 조주영, 이문성, 심찬섭, 김부성. 변비형 과민성 장증후군과 기능성 변비 환자에서 직장 감각능의 차이. 대한소화관운동학회지. 2005;11:58-65.
|
23 |
홍창의. 홍창의 소아과 9판. 서울: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7:50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