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778/jpkm.2011.25.3.027

A Clinical Study on the Effects of Jungjangyobup on 5 Constipation Children  

Suk, Yun-Hee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Min, Sang-Yeo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Kim, Jang-Hyu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 v.25, no.3, 2011 , pp. 27-3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clinical effects of Jungjangyobup on children's constipation. Methods: We treated the 5 case with Jungjangyobup, one of retention enema therapies with Gwakhyangjunggisan. We observed its effects since March 2010 up to November 2011. Results 4 cases out of 5 cases improved constipation and other constipation-related symptomssuch as vomiting, and abdominal pain. Conclusions: This study has shown that oriental medical treatment on children's constipation was effective. The more clinical cases like this case might be needed to confirm this effectiveness of Jungjangyobup.
Keywords
Constipation; Jungjangyobup; Gwakhyangjunggisa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신동길, 김덕곤, 이진용. 비만아 9례에 대한 藿香正氣散 가미방의 치료효과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1;15(1):183-94.
2 안정란. 가미곽정탕의 효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서울:경희대학교대학원논문. 1993.
3 김윤범, 김중호, 채병윤. 藿香正氣散과 가미방이 위장관기능 및 항알레르기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1993;14(1):9-23.
4 윤희식, 유봉하, 박동원, 유기원. 藿香正氣散과 소음인藿香正氣散의 효능에 관한 실험적 비교연구. 경희대한의대논문집. 1998;21(1):197-211.
5 김진성. 장세척의 한의학적 응용.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논문집. 1998;21(1):527-38.
6 황치원, 변일. 내과급증의 응급처치 및 투약방법에 관한 문헌적 고찰:중풍급증을 중심으로. 혜화의학. 1994;1(3):16-45.
7 전우규. 장건강 및 면역질환의 보완통합의학적 접근. Hanyang Medical Reviews. 2010;30(2):109-14.   DOI
8 배승철. 금석 황제내경 영추. 서울:성보사. 1995:300-3.
9 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수. 비계내과학. 서울:나도. 1991:75-7.
10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수. 방제학. 서울:영림사. 1999: 488-90.
11 황도연. 신증방약합편. 서울:영림사, 2002:190-1.
12 박지은, 문원, 남지현, 김낭희, 김성훈, 박무인, 박선자, 김규종. 생리식염수 관장 직후 혈성 설사로 발현한 허혈대장염 1례. 대한소화기학회지. 2007;50:126-30.
13 임준식, 문병순. 保留灌腸을 시행한 마비성 장폐색 환자 12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1999;20(1):210-21.
14 彭崩, 卲思華. 中藥灌腸劑的硏究槪. 江西中醫學院學報. 1996;8(3):46.
15 송미선, 임은미, 김윤상, 윤정문, 이태희. 강녕탕의 경구와 직장투여의 항염증효과 비교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3):147-61.
16 박무인, 신정은, 명승재, 허규찬, 최창환, 정성애, 최석채, 손정일, 최명규. 변비 치료에 관한 임상진료지침. Korean J Gastroenterol. 2011;57(2);100-14.   DOI   ScienceOn
17 신재용. 방약합편해설. 서울:성보사. 1989:108.
18 김기봉, 김덕곤, 김윤희, 김장현, 민상연, 박은정, 백정한, 유선애, 이승연, 이진용, 이해자, 장규태, 채중원, 한윤정, 한재경. 한방소아청소년의학. 서울:의성당. 2010:454-6, 460-6.
19 정기욱, 명승재. 변비의 병태생리와 진단. 대한내과학회지. 2011:80(5);505-9.
20 이광재. 과민성 장증후군의 치료.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11;80(5):499-504.
21 Jun DW, Park HY, Lee OY, et al. A population-based study on bowel habits in a Korean community: prevalence of functional constipation and self-reported constipation. 2006;51:1471-7.   DOI   ScienceOn
22 양재훈, 이준성, 홍수진, 임희혁, 황경란, 김현정, 이상호, 고봉민, 정인섭, 유창범, 김진오, 조주영, 이문성, 심찬섭, 김부성. 변비형 과민성 장증후군과 기능성 변비 환자에서 직장 감각능의 차이. 대한소화관운동학회지. 2005;11:58-65.
23 홍창의. 홍창의 소아과 9판. 서울: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7:50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