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고기숙, 김순중, 오민석, 송태원, 이철완. 交通事故 後遺症의 韓方的 治療 方法과 詮例에 대한 臨床的 研究. 東醫物理療法科學會誌. 1993;3(1):107-21.
|
2 |
임평남. 우리나라 교통사고 피해와 감소방안. 대한교통의학회지. 1993;18:83-92.
|
3 |
양동원, 송태원. 도인과 운동치료의 유관성에 대한 비교연구. 한방재활의학회지. 1997;7(1):533-7.
|
4 |
한태륜, 방문석. 재활의학. 서울:군자출판사. 2008:209-10.
|
5 |
최희철, 이기남. 양생도인법과 현대운동요법의 비교 고찰. 대한기공의학회지. 1998;2(1):57-90.
|
6 |
정형웅, 이인선. 요통의 기공요법에 관한 연구. 한방재활의학회지. 1996;6(1):225-37.
|
7 |
金正澤, 申東均. STAI의 韓國標準化에 關한 硏究. 서울:最新醫學(The New medical journal). 1978;21(11):69-75.
|
8 |
OECD 회원국 교통사고 비교.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교통사고 종합분석센터. 서울. 2006:4-33.
|
9 |
양동원, 송태원. 도인과 운동치료의 유관성에 대한 비교연구. 한방재활의학회지. 1997;7(1):533-7.
|
10 |
박상호, 박명수, 전만중, 중국 도인법 중 도인안교의 현대적 재활체조로 적용을 위한 고찰. 힌국운동재활학회지. 2010;6(3):39-47.
|
11 |
이청무. 고연령 여성의 규칙적인 운동이 골밀도, 근력 및 체지방에 미치는 영향. 체질 인류학회지. 1996;9(2):149-62.
|
12 |
Eiff MP, Smith AT, Smith GE. Early mobilization versus immobilization in the treatment of lateral ankle sprains. AmJ Sports Med. 1994;22(1):83-8.
DOI
ScienceOn
|
13 |
Collins N, Teys P, Vicenzino B. The initial effects of a Mulligan's mobilization with movement technique on dorsiflexion and pain in subacute ankle sprains. Man They. 2001;9(2):77-82.
|
14 |
Green T, Refshauge K, Crosbie K, Adams 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 passive accessory joint mobilization on acute ankle inversion sprains. Phys Ther. 2001;81(4):984-94.
|
15 |
Chiu TT, Lam TH, Hedley AJ. A ramdomized controlled trial on the efficacy of exercise for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Spine. 2005;30(1):E1-7.
DOI
|
16 |
채홍재, 이성관, 이강진, 문재동. 조선소 근로자들의 근골격계 질환 양상과 중재적 보건관리 효과. 대한산업의학회지. 2002;14(4):468-77.
|
17 |
김종균, 이승주. 업무관련 근골격계 질환 중 목과 어깨의 통증에 대한 스트레칭 운동 효과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2004;43(3):656.
|
18 |
김동환, 요부근력 강화운동이 퇴행성 요부병변환자의 통증 및 요부근력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정책학과 석사학위논문. 2003:4-5.
|
19 |
김민주. 요부근력강화운동이 여성 만성요통 환자의 요부근력과 주관적 통증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운동처방 및 재활 전공 석사학위논문. 2004.
|
20 |
배윤정, 이성윤, 성봉주, 최상배, 김창규. 요통체조와 등장성 운동이 만성요통환자의 요부근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1999;8(3):383-92.
|
21 |
이영섭. 요통환자의 재활운동프로그램을 통한 근력과 통증의 변화. 명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2.
|
22 |
김나연, 이성환, 이병렬, 강재희, 이현. 운동치료가 급성요통환자의 통증감소와 근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8;25(5):117-25.
|
23 |
강현승. 정체운동요법이 어깨통증에 미치는 효과.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대체의학과 석사학위논문. 2007.
|
24 |
김이순, 김미영, 김경철, 정향미, 전은미, 정인숙. 도인기공체조가 성인여성의 어깨통증 완화에 미치는 효과. 2005;9(2):191-205.
|
25 |
윤현민, 김미영, 김이순, 임진섭. 도인기공체조가 여성의 견비통에 미치는 효과. 대한침구학회지. 2005;22(1):243-8.
|
26 |
백명화. 태극권이 퇴행성관절염 환자의 신체 기능, 통증, 우울 및 면역반응에 미치는 효과. 류마티스건강학회지. 2003;10(1):97.
|
27 |
이진우. 퇴행성 슬관절염의 동방촬영과 도인양생공 시술을 통한 기능 운동 효과. 대한운동사회 스포츠건강의학 학술지. 2006;8(2):129-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