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장혜정, 안정명, 박종률, 이진호, 김산, 악설정, 이지현. 섬유근육통 환자에서의 건성안. 대한내과학회지. 2007;73(5):519-24.
|
2 |
Gregory Plaugher. Textbook of clinical chiropractic. 서울:푸른의학. 1998:346-69.
|
3 |
정택근, 이인선. 頭蓋薦骨療法의 臨床應用에 대한 韓醫學的 考察.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8;18(4):137-53.
|
4 |
권도희, 김용석. 건성안에 대한 침요법의 문헌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0;17:12, 17-9.
|
5 |
임가양. 目乾澁에 대한 문헌적 고찰. 대한외관과학회지. 1995;8:51-74.
|
6 |
이채우, 박인범, 김상우, 안창범, 송춘호, 장경전, 김철홍, 윤현민. 黃連解毒湯 약침요법을 통한 慢性 結膜炎 또는 眠球乾燥症 환자 1례에 대한 보고. 대한경락경혈학회지. 2003;20(4):77-84.
|
7 |
최은희, 전주현, 김영일. 안구 건조증 환자의 치험 3례. 대한침구학회지. 2007;24(4):237-45.
|
8 |
허준, 유선임, 서성관. 건성안 환자에서 다양한 항염증 치료에 따른 임상효과. 대한안과학회지. 2006;47(12):1901-10.
|
9 |
조재학. 마이봄선 기능이상의 평가와 이에 따른 눈물막 파괴검사 및 Schirmer test의 결과 비교. 대한안과학회지. 2000;41:73.
|
10 |
Behrens A, Doyle JJ, Stem L. Dysfunctional tear syndrome: a Delphi approach to treatment recommendation. Comea. 2006;25:900-7.
|
11 |
Lemp MA.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dry eye disease: report of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sub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dry eye workshop. Ocul Surf. 2007;5:75-92.
DOI
ScienceOn
|
12 |
김순애. 콘택트렌즈 착용자와 건성안 환자의 눈물검사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안광학회지. 2004;9:301.
|
13 |
김웅재, 김현승, 김만수. 설문조사에 의한 국내 건성안 환자의 진단 및 치료 현황. 대한안과학회지. 2007;48(12):1614-22.
|
14 |
Schafer RC, FICC DC. 동작촉진과 수기법. 서울:대한추나의학회출판사. 1998:1-18, 75-93.
|
15 |
조명제, 김동일, 박쾌환. 경추 증후군 환자에서 상부경추변위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0;17(3):188-98.
|
16 |
John E Upledger, Jon D Vrendevoogd. 두개천골치료법 II. 서울:대한추나학회출판사. 1998:57, 64-5, 69-73.
|
17 |
John E Upledger, Jon D Vrendevoogd. 두개천골치료법 I. 서울:대한추나학회출판사. 1998:17-9, 22-4, 27-30, 37, 53, 56-9, 61, 63-74, 90-3, 101, 112-4, 199, 203, 295-300.
|
18 |
박경리. 두개천골치료(cranio sacral therapy)에 대한 고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3;15(4):129-39.
|
19 |
Geoff Roberson. Pre-ocular tear film assessment. OPTICIAN. 1996;213(5596):20-6.
|
20 |
Lemp MA. Report of the national eye institute/industry workshop on clinical trials in dry eyes. CLAO J. 1995;21:221-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