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Canadian college of osteopathy. [cited 2010 OCT 20]:[1 screen] Available from:URL:http://www.osteopathy-canada.com.
|
2 |
Chiropractic & osteopathy [cited 2010 OCT 25]:[1 screen] Available from:URL:http://www.chiroandosteo.com/info/about.
|
3 |
홍서영, 임형호. Osteopathy의 한의학적 임상활용 방안에 관한 소고. 대한추나의학회지. 2002;3(1):85-96.
|
4 |
Eileen L DiGiovanna, Stanley Schiowitz, Dennis J Dowling. 정골의학 도수치료기법의 완성. 서울:영문출판사. 2008:89-91, 95-7, 99-101, 103-30, 136-41.
|
5 |
Robert C Ward. osteopathy 의학의 기초. 서울:대한추나의학회출판사. 1999:3-16, 741-8, 779-86, 787-860, 901-18, 931-42.
|
6 |
한국통합의학연구소. 테이블을 이용한 수기치료. 서울:신흥메드싸이언스. 2003:1-3.
|
7 |
Peterson, Bergmann. 카이로프랙틱 테크닉. 서울:척추신경추나의학회. 2007:489-96, 504-5.
|
8 |
Robert E McAtee, Jeff Charland. Facilitated stretching. Human Kinetics. 2007:3-7, 11-34.
|
9 |
Phillip Richter, Eric Hebgen. 통증유발점과 근육의 인쇄기능. 서울:군자출판사. 2008:140-7, 153-68.
|
10 |
Conarada Speece, William Thomas Crow, Steven L Simmons. 인대성 관절 스트레인. 서울:신흥메드싸이언스. 2009:23-6, 28-9.
|
11 |
Alexander S Nicholas, Evan A Nicholas. Atlas of Osteopathic Technipques. Lippincott Williams & Willkins. 2008:79-80, 115-6, 129-30, 275-6, 331-2, 347-8.
|
12 |
서동천, 최태부, 채수형. 근막이완 요법이 통증 완화에 미치는 영향-피아노 연주자의 상부 승모근을 대상으로. 대한피부미용학회지. 2010;8(2):63-9.
|
13 |
이문환, 박래준. 근막이완술과 테이핑이 경부손상 환자의 통증감소에 미치는 효과. 재활과학연구회지. 2004;22(1):81-96.
|
14 |
족저근막염에 대한 근막이완술 적용사례 연구. 대한정형도수치료학회지. 2003;9(2):93-5.
|
15 |
신정미, 강미숙, 송윤경. 경근추나를 중심으로 보존적 치료 후 호전된 요추추간판탈출증 치험례.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2008;3(1):83-94.
|
16 |
심우진, 문상현, 류한진, 정석희, 김성수, 이종수. 경근이완요법이 중풍 주관절 경직에 미치는 효과.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4;14(1):63-75.
|
17 |
정원희, 정지은, 서상경, 강준혁, 이창희. 교통사고로 유발된 경항통 환자의 근막이완술의 효과에 대한 임상적 연구.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2009;4(2):21-9.
|
18 |
서현규, 공현태, 이상용. 만성경부통증 환자에 대한 근막이완술과 경피신경 전기자극 치료가 치료기간에 따라 관절가동범위와 통증에 미치는 영향. 대한정형도수치료학회지. 2005;11(2):1-12.
|
19 |
박지환, 김봉수. 근막동통 증후군에 대한 PIR의 치료효과. 대한정형물리치료학회지. 1997;3(1):7-15.
|
20 |
공원태, 이상열, 이윤미. 경추관절가동술이 저상성인의 경부 관절가동범위와 정적근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2010;5(1):7-13.
|
21 |
형인혁, 하미숙. 동결견 환자에 대한 보존적 물리치료와 관절 가동술의 병행이 주관적 통증지수와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09;9(11):271-9.
|
22 |
이인화, 구창희, 박경리, 배성수. 관절가동기법이 급성 요통 환자의 통증과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6;18(1):41-51.
|
23 |
이영화, 권원안, 김한수, 배성수. 관절가동술이 만성 요통 환자의 가동범위와 통증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2007;2(2):113-23.
|
24 |
공원태, 마상열, 김병곤. 천장관절 가동술이 하지 근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2007;2(2):101-12.
|
25 |
오학수, 오동우. 관절가동기법과 치료적 마사지의 복합 프로그램 적용이 동결견 환자의 통증과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츠리서치학회지. 2006;7(1):43-54.
|
26 |
구성완, 채정룡, 김형준. 오십견 환자의 PNF 적용 후 견관절 가동범위와 주관적 통증변황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2004;43(3):623-31.
|
27 |
강수경, 강희권, 김민정, 김병오, 허수용. 동적, 정적 및 PNF 스트레칭이 요부 유연성에 미치는 효과.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9;4(1):43-51.
|
28 |
PNF의 수축-이완 기법과 테이핑 치료가 퇴행성 슬관절염의 통증과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 2009;7(2):27-35.
|
29 |
장현성, 장철, 배성수.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에게 적용한 PNF의 하지패턴이 통증 및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 대한건강과학학회지. 2007;4(1):87-97.
|
30 |
최원재, 김영균, 손경현. 탄력 밴드를 결합한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 상지 패턴이 편마비 환자의 신체정렬과 체중 지지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2010;5(1):113-23.
|
31 |
황인걸, 한미란, 손경현, 임재헌, 이문규.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이 편마비 환자의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 2009;7(1):1-8.
|
32 |
이문규, 이종식, 정우식, 국은주, 임재헌, 김태윤.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고유신경근촉진법학회. 2009;7(1):9-16.
|
33 |
전혜진, 이문환. 만성 요통 환자에 대한 PNF와 체간운동프로그램이 통증, 기능장매 및 균형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09;9(12):665-73.
|
34 |
이문규, 김종만, 박형기, 김원호. 고유수용성 신경근촉진법 중 하지패턴이 경부 굴곡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8;15(1):46-53.
|
35 |
문대성, 김도연.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PNF) 운동이 태권도 선수들의 유연성, 등속성 각근력 및 혈액 변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학회지. 2007;18(1):43-56.
|
36 |
정인주, 정동혁. 근에너지 기법과 치료적 마사지의 복합프로그램 적용이 동결견 환자의 통증과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학회지. 2006;16(5):161-74.
|
37 |
양정애, 윤홍일, 박현식, 신영일, 전범수. Mulligan 치료법과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이 동결견 환자의 치료에 미친 효과. 대한정형도수치료학회지. 2006;12(1):27-36.
|
38 |
김수민, 배성수. 만성 뇌졸중 환자에 대한 PNF 집단 운동프로그램의 효과.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 2005;3(1):1-15.
|
39 |
박기훈, 김병완, 김창환. 카이로프랙틱과 근에너지기법(MET)이 만성 목통증 환자의 관절가동범위와 통증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학회지. 2007;18(6):789-800.
|
40 |
최용훈, 윤일지. 한방치료와 근에너지기법(MET)을 적용한 이상근 증후군 치료 1례.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0;20(2):209-17.
|
41 |
임상훈, 손정민, 박동수, 정수현, 김순종. 슬괵근 유연성 증가에 대한 근에너지기법(MET)과 스트레칭 운동의 효과 비교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9;19(1):201-11.
|
42 |
전태동, 이한길, 홍서영, 허동석, 윤일지. 교통사고로 유발된 경항통 환자의 근에너지기법(MET)의 효과에 대한 임상적 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9;19(1):125-34.
|
43 |
박현호, 정지은, 정원희, 김민철, 박희진. 근에너지 기법과 침치료를 병행한 경련성 사경 치험 2례.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8;18(4):231-42.
|
44 |
엄태웅, 문태웅, 강명진, 공덕현, 조태영, 이기하, 유다형. 근에너지기법(muscle energy techniques)과 침치료를 이용한 특발성 요추부 척추측만증 치험 3례.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8;18(3):173-85.
|
45 |
Burns DK, Wells MR. Gross range of motion in the cervical spine: the effects of osteopathic muscle energy technique in asympomatic subjects. J Am Osteopath Assoc. 2006Mar;106(3):137-42.
|
46 |
Jacobson EC, Lockwood MD, Hoefner VC Jr, Dickey JL, Kuchchera WL. Shoulder pain and repetition strain injury to the supraspinatus muscle: etiology and manipulative treatment. J Am Osteopath Assoc. 1989Aug;89(8):1037-40, 1043-5.
|
47 |
Radjieski JM, Lumley MA, Cantieri MS. Effect of osteophathic manipulative treatment of length of stay for pancreatitis: a randomized pilot study. Journal Am Osteopath Assoc. 1998May;98(5):264-72.
|
48 |
Robert N Pedowitz. Use of Osteopathic manipulative treatment for Iliotibial band friction syndrome. JAOA. 2005Dec;105(11):563-7.
|
49 |
조현철, 홍서영, 송윤경, 임형호. 상지경근의 임상적 응용을 위한 기능적인 움직임 분석에 대한 고찰. 대한추나의학회지. 2004;5(1):251-62.
|
50 |
김성욱, 이종수, 정석희. 경락과 근막의 상관성에 대한 비교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1;12(4):129-41.
|
51 |
황용상. 중국침구학술사대강. 서울:법인문화사. 2005;595-607.
|
52 |
이상민, 이종수. 국내의 경근 연구동향에 대한 고찰. 척추신경추나의학회. 2009;4(2):211-23.
|
53 |
송윤경, 임형호. 기능적인 움직임 치료를 위한 경근의 임상활용에 대한 연구. 대한추나의학회지. 2002;3(1):65-83.
|
54 |
송중근, 임윤경. 족양명경근의 근육학적 고찰. 대한경락경혈학회지. 2006;23(2):39-46.
|
55 |
이명선, 홍승원, 이상룡. 족삼양경근의 근육학적 고찰. 대한경락경혈학회지. 2008;25(2):1-32.
|
56 |
조태영, 홍서영, 송윤경, 임형호. 하지경근의 임상적 응용을 위한 동작분석에 대한 고찰. 대한추나의학회지. 2004;5(1):117-33.
|
57 |
박성호, 송윤경, 임형호. 체간의 기능적인 움직임 분석을 통한 근육 및 경근에 대한 고찰. 대한추나의학회지. 2004;5(1):223-35.
|
58 |
김우영, 이재영, 한상엽, 공덕현, 박재영, 이현종. 경근추나 치료 후 호전된 발음성 고관절 환자 치험례.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2010;5(2):43-8.
|
59 |
김경석, 이종수. 추나요법과 경근첩대요법이 내반슬 교정치료에 미치는 효과.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0;20(3):93-107.
|
60 |
남기봉, 정석희, 김성수. 점진적 근육이완법이 건강인의 경근전도와 자율신경계.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8;18(1):125-40.
|
61 |
박종민, 윤문식, 우인, 박원상, 윤유석, 정성엽, 김성용, 이종수. 족관절 염좌에 대한 경근 첩대요법의 치료방법에 따른 무작위대조 임상 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6;16(1):63-71.
|
62 |
허수영, 최진만, 서해경. 경근요법을 통한 근원성 신경 포착 증후군의 치료. 대한추나의학회지. 2001;2(1):43-50.
|
63 |
송호섭, 강미정, 임정은, 권순정, 강미숙, 이성노, 변임정, 황현서, 김기현. 요부 경근의 급성 염좌에 경근자침 및 경근이완요법이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1;18(6):1-13.
|
64 |
허수영, 김소연, 김은하. 경근이론에 근거한 한방재활요법의 사경증 치료. 동서의학회지. 2000;25(3):1-11.
|
65 |
Robert I Cantu, Alan J Grodin. Myofascial manipulation. Aspen publication. 2001:27.
|
66 |
이주강역. 두개천골치료법(I). 서울:대한추나학회출판사. 1998:21.
|
67 |
Thomas W. Myers. Anatomy trains. London:Harcourt. 2001.
|
68 |
전국한의과대학 침구경혈학교실. 침구학(상). 서울:집문당. 1993:159.
|
69 |
한무규, 서후영, 김성진. 근막통증후군과 경근이론의 관련성에 대한 고찰. 동서의학회지. 2000;25(2):39-48.
|
70 |
김선엽. 관절가동운동(mobilization)이 관절 감수기(joint receptors)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996;3(2):95-105.
|
71 |
이중근, 송윤경, 임형호. 경근 치료방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2006;1(2):31-40.
|
72 |
신병철, 신준식, 이종수, 임형호. 정형추나의학. 척추신경추나의학회. 2006:44-9.
|
73 |
윤종태, 임형호. 경근추나의 한의학 문헌적 고찰. 대한추나의학회지. 2001;2(1):1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