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Clinical Study of Lumbago patients on the Effect of Oriental Medicine treatment with $Dokhwalgisaeng-tang$($Duhuojisheng-tang$) $Gamibang$  

Park, Ok-Ju (Dep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Yim, Jung-Hoon (Dep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v.28, no.6, 2011 , pp. 177-18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s :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oriental complex therapy with $Dokhwalgisaeng-tang$($Duhuojisheng-tang$) $Gamibang$ on the lumbago patient. Methods : 13 lumbago patients were treated with $Dokhwalgisaeng-tang$($Duhuojisheng-tang$) $Gamibang$, acupunture, moxibustion, pharmacopuncture, cupping, oriental physical therapy and exercise for lumbago. ODI(Oswestry diability index), ROM(range of motion), pain self assessment were check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Results : ODI, pain self assessment and ROM were all improved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except pain self assessment($p$<0.001). Coclusions : Oriental complex therapy with $Dokhwalgisaeng-tang$($Duhuojisheng-tang$) $Gamibang$ might improve low back pain.
Keywords
Dokhwalgisaeng-tang(Duhuojisheng-tang); acupunture; moxibustion; ODI; ROM;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전국한의과대학 재활의학 교실. 한방재활의학과학. 서울 : 성원당. 1995 : 59-61.
2 최중립. 통증사냥법. 서울 : 군자출판사. 2005 : 79-89, 92-3, 97-101, 366-70, 390-3.
3 이동현, 박은주, 신정철, 나건호, 위통순, 이삼로, 류충열, 조명래, 채우석, 윤여충. 견인요법을 병용한 요통 및 요각통 환자 40례의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4 ; 21(5) : 163-77.
4 孫思邈. 備急千金要方: 宋․林亿 等 校正, 劉更生 等 点校. 千金方. 北京 : 華夏出版社. 1993 : 132.
5 문현주, 임은미. 加減獨活奇生湯이 난소적출 흰쥐 대퇴골의 형태계측학적 변화 및 골대사 관련인자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 ; 19(1) : 47-68.
6 許浚. 東醫寶鑑. 서울 : 남산당. 1986 : 303.
7 吳謙. 御纂 醫宗金鑒. 서울 : 법인문화사. 2006 : 933.
8 葉天士. 葉天士女科: 尙志大學校 韓醫科大學 第2期 卒業準備委員會 編譯. 國譯 傳靑主男女科 葉天士女科. 서울 : 대성문화사. 1995 : 357.
9 신병철, 송용선, 권영달. 獨活寄生湯加味方이 손상된 배양척수감각신경세포에 미치는 영향. 韓方再活醫學科學會誌. 2000 ; 10(2) : 69-79.
10 成輔社 編輯部. 天眞處方解說. 서울 : 成輔社. 1987 : 388-90.
11 金玷榮, 李相龍, 李光揆. 獨活寄生湯이 흰쥐의 血淸變化에 미치는 影響. 대한동의병리학회지. 1998 ; 12(2) : 99-104.
12 이영석, 김종환, 조한백, 최규섭. 獨活寄生湯이 난소적출로 골다공증이 유발된 백서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0 ; 13(2) : 104-19.
13 이상규, 원재균, 염승룡, 이수경, 송용선, 권영달. 獨 活寄生湯 및 中性瘀血藥鍼이 좌골신경 압좌손상 백서의 통증과 신경 재생에 미치는 영향. 韓方再活醫學科學會誌. 2009 ; 19(3) : 15-32.
14 주정화, 옥광휘. 근골격계의 통증치료. 서울 : 군자출판사. 1995 : 218-21, 334-7.
15 Fairbank JCT, Davia J, Couper J, O'Brien J. The Oswestry Disability Questionnaire. Physiotheraphy. 1980 ; 66 : 271-3.
16 강점덕. 요통의 보존적 치료 접근. 대한정형도수치료학회지. 2007 ; 13(2) : 79-84.
17 최용태. 침구과 영역에 있어서 요통증의 치료효과에 관한 임상적 연구. 경희대학교 30주년 기념논문집. 1979 : 883-902.
18 석세일. 척추외과학. 3판. 서울 : 최신의학사. 2011 : 280-99.
19 이중근 편역. 사지와 허리통증의 실제적 접근. 서울. 한국의학. 1996 : 115-9.
20 최호영. 임상근육학. 서울 : 대성문화사. 1999 : 40-7, 380-92.
21 朴宣東. 獨活寄生湯․大防風湯․三氣飮이 肝毒性과의 相關性에 관한 實驗的 硏究. 大韓本草學會誌. 1997 ; 12(2) : 107-29.
22 신재용. 방약합편해설. 서울 : 성보사. 1991 : 78.
23 淸․汪昻. 國譯 醫方集解. 서울 : 대성문화사. 1993 : 314.
24 박영순. 한방의 약리해설. 2판. 서울 : 2002 : 아카데미서적. 503-9.
25 李延. 新敎 編註醫學入門(下). 서울 : 대성문화사. 1996 : 675.
26 맹화섭. 방약지침강좌. 서울 : 대성의학사. 1999 : 126.
27 崔珍鳳, 宋泰元, 吳旼錫, 李哲浣. 獨活寄生湯과 猫脛骨이 免疫反應에 미치는 實驗的 硏究. 韓方再活醫學科學會誌. 1999 ; 9(2) : 178-98.
28 오원교, 김기병, 임진영, 이수경, 권영달, 염승룡, 송용선. 獨活寄生湯이 멜라닌 생성억제 및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 ; 23(1) : 63-75.
29 朴元煥. 獨活寄生湯이 galactosamine에 의한 白鼠의 肝損傷誘發에 미치는 影響. 동의병리학회지. 1997 ; 11(2) : 11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