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35133/kssche.20220228.02

Relation between School Adjustment and Future Time Perspective or Sponsor Support of Children in Institutional Care  

Cho, Kang Hyun (Arts in Social Welfare,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 v.23, no.1, 2022 , pp. 17-2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s: This longitudinal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school adjustment and sponsor support or future time perspective and the differences of these 3 variables between 1st and 2nd survey of children having Didimseed account in institutional care. Methods: Participants were 25 elementary fourth to sixth grade children who are living on one facility that located in G. metropolitan area at 1st survey and 2nd survey was done at five-year intervals.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012 to September 2017 and were analyzed using t-test, paired t-test, ANOVA, post-hoc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The level of school adjustment knowledge was not different significantly according to grade, gender and admission period at 1st survey. At 2nd survey, the level of school adjustment was different significantly according to grade only. The level of school adjustment was associated with positive future time perspective(r=.74) and negative future time perspective(r=-.54) at 1st survey, and that was associated with negative future time perspective(r=-.49) and meeting frequency of sponsor(r=-.43) at 2nd survey. The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school adjustment and future time perspective variables between both surveys. But meeting frequency of sponsor at 2nd survey was lower significantly than that at 1st survey.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ould be necessary to prepare the policies that could have their positive future time perspective to increase school adjustment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Also the effective strategies to increase not only Didimseed account support but emotional support through qualified meeting with sponsors should be developed.
Keywords
Children in institutional care; Future time perspective; School adjustment; Sponsor support;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방을 위한 일 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2 노명숙. (2005). 일반아동과 시설아동의 우울성향. 자아존중감. 학교적응에 관한 비교연구[석사학위논문]. 춘천: 춘천교육대학교 대학원.
3 노병일, 유호석. (2018). 다양한 수준에서의 사회적지지가 시설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 논문지, 8(3), 115-125.
4 김효선. (2020). 아동양육시설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석사학위논문]. 대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5 박경진. (2011). 시설보호아동의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대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6 성미영, 이순형, 이강이. (2001). 시설 아동과 일반 아동의 초기학교적응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155, 53-64.
7 신미영. (2011). 시설보호아동의 역할모델과 학교적응 및 미래관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8 이연갑. (1988) 아동의 미래관과 자아개념, 학업성적 및 사회 측정적 지위와의 관계연구[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9 홍영미. (2010). 시설보호아동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및 자아존중감과 행동문제와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7(12), 187-209. Retrived from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661655
10 Conger JJ. Petersen AC. (1984). Adolescence and youth. NY: Harper & Row.
11 신미영, 강현아. (2012). 시설보호아동의 역할모델에 따른 학교적응 및 미래관의 차이. 대한가정학회지, 50(4), 73-87. Retrived from http://dx.doi.org/10.6115/khea.2012.50.4.073   DOI
12 서영숙. (1988). 초등학교 아동의 미래전망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논문집, 29, 73-91.
13 유지선, 유계숙. (2007). 청소년의 미래지향이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 학업성적, 성 허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4), 1-16. Retrived from.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096798
14 배정이. (2009). 중학생의 학교적응관련요인의 인과적 구조분석. 대한간호학회지, 38(3), 454-464..   DOI
15 박경진, 박영준. (2014). 시설입소 피학대아동의 사회적지지와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46, 205-238. Retrived from http://www.dbpia.co.kr/Article/NODE07113810
16 성미영. (2006). 시설보호 여부에 따른 아동의 정서성 발달과 내면화 및 외현화 행동문제. 한국생활과학회지, 15(1), 17-29.
17 신건호, 구본용. (2004.). 부모자녀관계 유형이 부모의 자녀성적에 대한 반응과 자녀의 자아개념 및 미래기대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 상담연구. 32(2), 30-41.
18 오유정, 문혁준. (2014). 시설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아동의 자아존중감, 정서지능, 시설의 심리적 양육환경 및 지역사회와의 교류를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21(3), 69-87.
19 유안진, 민하영, 권기남. (2001). 시설아동의 자아 정체감과 심리 사회적 적응: 학령기 아동과 청소년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9(3), 135-149.
20 유호석. (2018). 시설보호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박사학위논문]. 대전: 대전대학교 대학원.
21 디딤씨앗통장 (2007). Retrived from https://www.ncrc.or.kr/ncrc/cm/cntnts/cntntsView.do?mi1035&cntntsId=1142]
22 이석영. (2016). 양육시설 청소년의 우울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서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3 진정순. (1988). 아동의 미래관과 어머니의 자녀 미래관과의 관련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4 최수진. (2018), 시설 아동의 시설 내 사회적 자본과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 한남대학교 대학원.
25 Chubb NH. Fetman CL, Ross JL. (1997). Adolescent esteem and locus of control: A longitudinal study of gender and age differences. Adolescences, 23(125), 113-129.
26 Fischer M. Leitenberg H. (1986). Optimism and pessimism in elementary school-aged children. Child development, 57. 241-248.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