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tress among Adolescents  

Lee, Ju Yul (Department of Health Administration, Namseou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 v.17, no.3, 2016 , pp. 49-5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tress among adolescent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25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Dangjin city. Data were measured using self-esteem scale and 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 The data were analyzed frequencie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12.0 program. Results: Self-esteem was correlated with stress negatively among adolescents. In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elf-estee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tress. Affecting factors of the self-esteem in all schools were grades, economic status and relationship with parent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 to provide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a self-esteem management program to alleviate the stress for adolescents. The program of human relationship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to improve the self-esteem.
Keywords
Self-esteem; Stress; Adolescen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명희, 박연규.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스트레스가 통합적 관점의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2016;13(1):157-180.
2 권은영, 정현희. 초기 청소년의 스트레스 변화유형에 따른 심리사회적 적응. 청소년학연구 2011;18(6):29-54.
3 구승신, 박성현. 초등학생의 직업성숙도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2007;15(1):119-131.
4 김성경. 고등학생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보호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008;15: 381-406.
5 박제일. 대학생들의 성격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학생생활연구. 2007;15:1-22.
6 성선진, 이재신.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대처 방식과의 관계. 학교생활연구 2000;22:51-89.
7 신승배, 이주열. 일부 청소년들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요인.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2011;12(2):81-96.
8 이순희, 김신정. 대학생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와 우울 및 자아존중감.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12;26(3):453-464.   DOI
9 이은희, 최태산, 서미정. 남녀 청소년들의 우울에 미치는 학교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부모 -자녀 의사소통 및 부모의 내재적 지원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2000;12(2):69-84.
10 임광훈. 청소년의 학교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대구대학교 석사논문, 2012.
11 임지혁, 배종면, 최순식, 김성원, 황환식, 허봉렬. 외래용 스트레스량 측정도구로서 한국어판 BEPSI 설문서(수정판)의 타당성. 대한가정의학회 학회지, 1996;17(1):42-53.
12 장은영, 김춘경. 우울감소 프로그램이 아동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2004;20(2):195-216.
13 정하윤, 권정옥.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보건의료산업학회지 2013;7(4):191-204.   DOI
14 조수현, 이숙. 부모 애착과 자아탄력성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놀이치료연구 2013;17(3):23-40.
15 최미례, 이인혜.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중재효과와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2003;22(2):363-383.
16 최은정, 김금순. 대입 수험생의 스트레스반응양상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01;7(1):157-169.
17 최혜선.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부모자녀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2015;16(1): 27-38.
18 황성자.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06;12(2):205-213.
19 현명선, 남경아.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09;15(2):293-301.   DOI
20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 change. Psychology Review 1977;84(2):191-215.   DOI
21 Rosenberg, M. Self-concept from middle childhood through adolescence. In J. Suls & A. G., Greenwald(Eds.),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the self Vol.3, Hillsdale, NJ:Erlbaum, 1968.
22 Bandura, A.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1982; 37(2):122-147.   DOI
23 Cantrell, N. A., & Lupinacci, P. A predictive model of hopefulness for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2004;35:478-485.   DOI
24 Corte, C., & Zucker, R. A. Self-concept disturbance: Cognitive vulnerability for early drinking and early drunkenness in adolescents at high risk for alcohol problems. Addictive Behavior 2008;33:1282-1290.   DOI
25 Jemta, L., Fugl-Meyer, K. S., Oberg, K., & Dahl, M., Self-esteem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mobility impairment: Impact on well-being and coping strategies. Acta Padiatrica 2009;98:567-572.   DOI
26 M. Gong, Y.J. Kang,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llege Life Stresses on the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Focus on the College of Pyongtaek City,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2012;19(1):1-22.
27 Shortt, A. L., & Spence, S. H.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depression in youth. Behavior Change 2006;23:1-30.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