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Stress and Health Risk Behaviors among Some High School Students  

Kim, Bo-Eun (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 Chosun University)
Park, Hyun-Hee (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 Chosun University)
Kim, Eun-Hee (Graduate School of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Nambu University)
Kim, Yu-Suk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Health, Songwon University)
Lee, Seong-Jin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Health, Songwon University)
Park, Jong (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 Chosun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 v.16, no.2, 2015 , pp. 69-8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stress and health risk behaviors of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 Participants were 1134 high school student. he participants completed the following measures : Youth Risk Behavior Survey (YRBS), CES-D(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Results : The more stress score of male students is high, the score of the problem act on safety was significantly higher. The higher the score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safety risk behavior score, violent behavior, act tries to commit suicide, smoking behavior, drug use behavior, inappropriate weight loss behavior, irregular eating habit, non-physical activity behavior. The more stress score of female students is significantly high was higher safety risk behavior score, irregular eating habit, non-physical activity behavior. The more depression score of female students is high was significantly higher safety risk behavior score, irregular eating habit, non-physical activity behavior. Conclusion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stress and health risk behaviors, and helped i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improve the health management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Keywords
Depression; Health Risk Behaviors; Stres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고유경, 유일영, 강경화, 임지영, 김민정, 유현정. 중학교 청소년의 고위험 건강 행위 관련요인. 아동간호학회지 2006;12(3):341-350.
2 김기정. 고등학생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위험요인.취약요인.보호요인을 중심으로[박사 학위 논문]. 청주: 청주대학교대학원, 2009.
3 김동기, 최윤정. 청소년의 스트레스 유형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및 우울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학회지. 2012;19(6):249-268.
4 김동순, 김유숙. 우리나라 청소년의 흡연경험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련성. 한국전자통신학회지 2012;7(4):937-944.
5 김문실. 일부 여대생의 흡연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간호과학회지 1997;27(2):315-328.
6 김미선. 국내 청소년의 건강위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석사학위 논문]. 대전: 건양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3.
7 김복열. 대도시 청소년의 정신건강과 흡연 및 음주행위와의 관련성[석사학위 논문]. 화성: 수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4.
8 김성진. 고교생의 스트레스 요인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석사학위 논문]. 춘천: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9 김소야자, 공성숙, 김명아. 청소년의 약물남용 실태와 심리적 변인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2000;9(3):344-356.
10 김인규.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한 구조모형. 한국상담학회지 2006;7(4):1189-1202.
11 김원경. 청소년 음주행동 영향요인의 성별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2014;19(3):191-210.
12 김애정. 학교폭력의 사회복지적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석사학위 논문]. 오산: 한신대학교 사회복지실천대학원, 2003.
13 김종현. 청소년의 건강위험행동 실태조사[석사학위 논문]. 서울: 한양대학교대학원, 2004.
14 김태석, 김대진. 흡연과 우울증간의 관련성. 대한정신약물학회지 2007;18(6):393-398.
15 김태순, 강차연. 고등학생의 우울과 공격성. 심리치료학회지 2008;8(1):85-100.
16 남한희. 스트레스 요인이 청소년의 우울과 비행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 논문]. 군포: 한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17 박남희.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흡연 음주와 심리사회적 요인과의 관계연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5;22(4):123-136.
18 박소현. 연관성 분석을 이용한 한국인의 건강위험행위 군집현상 연구[박사학위 논문]. 수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19 박순영.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수준과 대처양식에 관한 연구[석사학위 논문]. 춘천: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20 박은옥. 지역별 청소년 건강위험행위 비교. 대한간호학회지 2010;40(1):14-23.   DOI
21 박은옥. 청소년 우울경험과 관련요인분석.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009;22(1):85-95.
22 박지은, 김성주, 조여원. 여고생의 BMI에 따른 스트레스, 우울, 폭식 및 식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09;14(2):175-181.
23 송선희, 하은혜, 송동호. 성인남성의 흡연과 관련된 심리 사회학적 변인. 한국심리학회지 2002; 7(3):447-461.
24 손은성. 고등학생의 건강위험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석사학위 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25 신현숙. 남자 청소년의 우울과 공격행동의 관계에서 부모양육행도의 조절효과. 청소년연구학회지 2012;19(2):1-27.
26 안진숙. 서울시 고등학생의 건강위험행위에 관한 연구[석사학위 논문]. 서울: 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대학원, 2003.
27 유재순. 초기 청소년의 건강위험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9;20(3):296-306.
28 유희찬, 김근향. 고등학생의 우울 및 불안이 음주동기 및 흡연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 연구학회지 2014;73:47-77.
29 윤희원. 우리나라 청소년의 건강위험행위와 자살생각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석사학위 논문]. 서울: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1.
30 이민영, 최은니, 정원균, 손정희, 장세진. 우리나라 청소년의 스트레스 인지 수준이 식습관 및 구강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학회지 2013;13(4):440-448.
31 이혜순. 청소년의 우울 및 충동성이 흡연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연구 2014;22(2):67-76.
32 이용교 외 8명. 청소년 문제와 청소년 복지. 인간과 복지, 2002.
33 이정찬, 박재산, 김귀현. 스트레스, 삶의질, 가족 관계 만족도가 흡연량 및 음주량에 미치는 영향 : 주관적 건강상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보건연구 2011;37(1):29-43.
34 이충원. 중소도시에 소재한 일개 공업계 고교생의 건강위험행동조사. 계명의대논문집 2000;19(1): 113-158.
35 임성택, 김진호, 정의석. 청소년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 대한 완벽성향의 조절효과. 청소년복지연구 2011;13(3):243-260.
36 장영숙. 실업계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 수준과 문제행동과의 관계[석사학위 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7 전겸구, 이민규. 한국판 CES-D 개발 연구 1. 한 국심리학회지 1992;11(1):65-76.
38 정혜란. 남자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흡연과의 관련성[석사학위 논문]. 대구: 영남대학교 환경대학원, 2001.
39 질병관리본부. 2014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http://www.cdc.go.kr
40 최 진, 김미예, 고등학교 청소년의 건강위험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아동간호학회지 2009; 15(2):182-189.
41 최진희. 광주지역 청소년의 식습관과 체중조절 실태에 관한 연구[석사학위 논문]. 무안: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2 한금선, 양승희, 전겸구. 스트레스 지각과 대처가 여대생의 스트레스 증상과 음주관련 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2003;8(3):565-579.
43 Breslau N, Johnson EO. Predicting smoking cessation and major depression in nicotine-dependent smoker. Am. J Public Health. 2000;90:1122-1127.   DOI
44 Drobes D.J, Concurret Alcohol and Tabacco dependent Mechanism and Treatment. 2002
45 Kaltiala-Heino, R., Frojd, S., & Mzrttunen, M. Involvement in bullying and depression in a 2-year follow-up in middle adolescence. European Child and Adolescents Psychiatry 2010;19(1):45-55.   DOI
46 Ferguson, C. J., San Miguel, C., & Hartley, R. C. A multivariate analysis of youth violence and aggression: The influence of family, peers, depression, and media violence. Criminal Justice Rev 2009;6:904-908.
47 Goodman E & Capitman J, Depressive symtom and cigarette smoking and among teens. Pediatrics 2000;106(4):748-775.   DOI
48 Holmes, R.,& Rahe, R The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1967;11:213-218.   DOI
49 Kim BG. Relationship among femily functioning, adolescent's depression, and their drinking and Smoking. Improving the youth welfare. Dongguk university. 2001
50 Martini S, Wagner FA, Anthony JC. The association of tobacco smoking and depression in adolescence : Evidence from the United States. Substance Use and Misuse 2002;37:1853-1867.   DOI
51 Pamella JB, William RB. Depression in the Adolescent Patient. Adolesc Med : State of the Art Rev 1998;9:351-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