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Variational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Mouth Parts of Gamak Bay, Southern Korea  

Park, Jong-Sick (Faculty of Marine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Yoon, Yang-Ho (Faculty of Marine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Oh, Seok-Jin (Korea Inter-University Institute of Ocean Scienc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v.27, no.2, 2009 , pp. 205-21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order to understand on the seasonal dynamics of phytoplankton in the mouth parts of Gamak Bay, Korea, we investigated from one station during June 2005 to June 2006. Samples were collected every week during the high water temperature (${\geq}20^{\circ}C$), and every two weeks during the low water temperature (${\leq}20^{\circ}C$). The phytoplankton community were composed of 76 genera, 208 species in the surface layer, and 72 genera, 186 species in the bottom layer (total: 77 genera, 214 species). The number of occurring species fluctuated greatly throughout the year from 27 species (March 15, 2006) to 121 species (Aug. 16, 2005). High number of species showed between June and September (>70 species), whereas the low number of species showed during the period of the low water temperature below $20^{\circ}C$ (ca. 40 species). The predominant species were diatom Skeletonema costatum during whole year, and two naked dinoflagellates, Cochlodinium polykrikoides and Polykrikos kofoidii during high temperature seasons. However, centric diatoms, Chaetoceros curvisetus, Chaetoceros debilis and Eucampia zodiacus were dominant species during low temperature seasons. Standing crops of dinoflagellate showed great fluctuations, which were ranged from $3.0{\times}10^5\;cells\;L^{-1}$ (April 17, 2006) to $7.3{\times}10^5\;cells\;L^{-1}$ (Aug. 2, 2005) in the surface layer and from $1.5{\times}10^3\;cells\;L^{-1}$ (Nov. 9, 2005) to $3.9{\times}10^5\;cells\;L^{-1}$ (Aug. 16, 2005) in the bottom layer, and showed high during high temperature seasons such as the number of species. The fluctuations were greater in the surface layer than in the bottom layer. Moreover, the variation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is affected by Polykrikos kofoidii grazing.
Keywords
Phytoplankton; Gamak Bay; Cochlodinium polykrikoides; Skeletonema costatum;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연식, 최휴창, 임주환, 전인성, 서지호. 2005. 동해 축산항 연안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한국조류학회지. 20:345-352
2 국립수산과학원. 2002. 2000, 2001년도 한국연안의 적조발생상황. 158pp
3 김소영, 문창호, 조현진. 2003. 한국 남해 연안 광양만 표층 적물의 와편모조류 시스트 분포 특성과 식물플랑크톤 군집과의 비교. 한국해양학회지-바다. 8:111-120
4 김재성. 2003. 한국 서∙남 연안해역에서 적조생물에 대한 원생동물플랑크톤의 포식압 연구. 군산대학교 대학원 이학박사학위논문. 230pp
5 여환구, 강 헌. 1998. 인천연안의 수질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화. 한국환경과학회지. 7:321-326
6 윤양호, 고남표. 1994. 금오열도 연안해역의 하계 미세조류(식물플랑크톤)의 분포 특성.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32:161-171
7 윤양호. 1998a. 시아해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동 특성. 환경생물. 16:403-409
8 윤양호. 1998b. 완도 신지도 연안해역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 특성. 여수대학교 논문집. 12:651-664
9 윤양호. 2000. 해창만의 생물해양학적 환경특성 1.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동 및 분포특성. 한국수산학회지. 33:41-50
10 이진환, 이은호. 1999. 득량만의 수질과 식물플랑크톤 적조. 환경생물. 17:271-278
11 이진환, 윤수미. 2000. 여자만의 수질과 식물플랑크톤군집. 한국조류학회지. 15:89-98
12 정해진, 박종규, 최현용, 양재삼, 심재형, 신윤근, 이원호, 김형섭, 조경제. 2000. 전남 고흥 해역의 유해성 적조의 발생연구 2. 1997년도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변화. 한국해양학회지-바다. 5:27-36
13 추효상. 1993. 여수해역의 해양 기상학적 특성, 여수수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보고. 2:1-13
14 추효상. 1998. 가막만 남쪽 화태도 주변의 해황 특성. 여수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보고. 7:145-157
15 Choi JK and JH Shim. 1986. The ecological study of phytoplankton in Kyeonggi Bay, Yellow Sea. III. Phytoplankton composition, standing crops, Tychopelagic palnkton. The J. Oceano. Soc. Korea 21:156-170
16 Cupp PE. 1943. Marine plankton diatoms of the west coast of North America. Bull. Scripps Inst. Oceanogr. Uni. California, La Jolla, Tech. Ser. 5, 237pp
17 Cho HJ and JB Lee. 2002. Growth rates of a heterotrophic dinoflagellates Polykrikos kofoidii and its gamete-like organism. Bull. Mar. Environ. Res. Inst. Cheju Nat. Univ. 26:1-6
18 김학균, 정창수, 임월애, 이창규, 김숙양, 윤성화, 조용철, 이삼근. 2001. 한국연안의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발생과 변천. 한국수산학회지. 34:691-696
19 Nybakken JW and MD Bertness. 2005. Marine Biology An Ecological approach (6rd ed.). Pearson Higher Education, 462pp
20 김기영. 2005. 여자만 해역의 해양환경과 식물플랑크톤 분포특성. 여수대학교 산업대학원 이학석사학위논문. 60pp
21 Matsuyama Y, M Miyamoto and Y Kotani. 1999. Grazing impacts of the heterotrophic dinoflagellates Polykrikos kofoidii on a bloom of Gymnodinium catenatum. Aquat. Microb. Ecol. 17:91-98   DOI
22 심재형, 신윤근, 이원호. 1984. 광양만 식물플랑크톤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19:172-186
23 김대일. 1999. 가막만 해양환경과 적조생물의 출현 동태. 여수대학교 대학원 이학석사학위논문. 112pp
24 이준백, 고유봉, 좌종헌. 1990. 제주도 해안선 주변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구조와 동태. 한국조류학회지. 5:159-171
25 박종식, 윤양호. 2003. 와편모조류 Cyst 분포에 의한 한국 넘서해역의 해양환경 특성 1. 가막만 와편모조류 Cyst의시ㆍ공간적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36:151-156   DOI
26 윤양호. 1995. 가막만 북부해역의 해양환경과 식물플랑크톤군집의 변동특성. 여수수산대학교 논문집. 4:1-15
27 문창호, 최혜진. 1991. 낙동강 하구 환경특성 및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26:144-154
28 박주석, 이삼근. 1990. 한국남해의 식물플랑크톤의 분포와 수괴특성. 한국수산학회지. 23:208-214
29 Tomas CR. 1997. Identifying marine phytoplankton. Academic Press, London, 858pp
30 노일현, 윤양호, 김대일, 박종식. 2006. 가막만 표층퇴적물중 유기물량의 시∙공간적 분포특성.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9:1-13
31 윤양호. 1998c. 가막만 남부 화태연안해역의 식물플랑크톤군집구조 특성. 여수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보고. 7:129-144
32 Abe TH. 1981. Studies on the family peridinidae an unfinished monograph of the armoured dinoflagellata. Academia Scientific Book Inc. Tokyo, 409pp
33 윤양호, 노홍길, 김영기. 1992. 제주북방, 성덕연안해역에 있어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동 특성. 제주대학교해양연구소 연구보고. 16:27-42
34 飯塚昭二. 1986. 植物プランクトンの調査-試料採取, 固定, 濃縮, 計數, 同定-In "日本海洋學會編, 沿岸環境マニュ アル(底質∙生物編). 恒星社厚生閣, 東京", 144-147
35 Morey-Gaines G and RH Ruse. 1980. Encystment and reproduction of the predatory dinoflagellate, Polykrikos kofoidii Chatton (Gymnodiniales). Phycologia. 19:230-232   DOI
36 Frost BW. 1991. The role of grazing in nutrient-rich areas of the open sea. Limnol. Oceanogr. 36:1616-1630   DOI   ScienceOn
37 심재형, 신윤근, 여환구. 1991. 만경, 동진강 하구 표영생태계의 무생물 환경과 일차생산자 I. 환경특성과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 한국해양학회지. 26:155-168
38 윤양호, 고남표. 1995. 거금수도내 양식어장의 해양환경특성 I. 식물플랑톤 군집의 계절변동. 한국양식학회지. 8:47-58
39 전라남도. 1993. 전남통계연보
40 조기안, 위인선, 최청일. 1994. 광양만 식물플랑크톤의 생태학적 연구. 환경생물. 12:137-150
41 Chihara M and M Murano. 1997. An illustrated guide to marine plankton in Japan. Tokai University Press. Tokyo, 1574pp. (in Japanese)
42 좌종헌, 이준백. 2000. 제주도 문섬 산호서식지 주변의 생물 생태학적 특성 I. 환경특성과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 한국해양학회지-바다. 5:59-69
43 Dodge JD. 1982. Marine dinoflagellates of the British Isles.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London, 303pp
44 Ignatiades L. 1979. The influence of water stability on the vertical structure of a phytoplankton community. Mar. Biol. 52:97-104   DOI
45 Shim JH and SJ Yoo. 1985. Phytoplankton community off the coast of Kunsan, Korea. The J. Oceano. Soc. Korea 20:31-42
46 국립수산과학원. 2004. 2002~2003년 한국연안의 적조발생현황. 273pp
47 Carreto JI, HR Benavides, RM Negri and PD Glorioso. 1986. Toxic red-tide in the Argentine Sea. Phytoplankton distribution and survival of the toxic dinoflagellate Gonyaulax eccavata in frontal area. J. Plankton Res. 8:15-28   DOI
48 오석진, 이종석, 박종식, 노일현, 윤양호. 2008. 진주만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천이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11:98-104
49 Sampayo MAM. 1998. Polykrikos kofoidii Chatton predation on Gymnodinium catenatum Graham and its effects. pp.182-183. In Harmful Algae (Reguera B, J Blanco, ML Feranadez and T Wyatt eds.). Xunta de Galicia and Intergovernmental Oceanographic Commission of UNESCO 1998, Paris
50 조현서, 최규정. 1995. 화태도 양식장 주변해역의 계절별 수질변동 특성. 여수수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보고. 4:17-30
51 Lalli CM and TR Parsons. 1993. Biological oceanography: an introduction. Pergamon Press, 301pp
52 유영두, 정해진, 심재형, 박재연, 이경재, 이원호, 권효근, 배세진, 박종규. 2002. 전북 새만금 남쪽 해역의 유해성 적조발생연규 1. 1999년도 여름-가을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변화. 한국해양학회지-바다. 7:129-139
53 강양순, 권점노, 손재경, 정창수, 홍석진, 공재열. 2003. 2002년 통영연안의 적조발생전후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특성. 한국수산학회지. 36:515-521   DOI
54 Jeong HJ, SK Kim, JS Kim, ST Kim, YE Yoo and JY Yoon. 2001. Growth and grazing rates of the heterotrophic dinoflagellates Polykrikos kofoidii on red-tide and toxic dinoflagellates. J. Eukaryot. Microbial. 48:298-308   DOI   ScienceOn
55 여환구, 허성회. 1999. 고리해역 표영환경내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변화. 환경생물. 17:71-77
56 이창규, 김형철, 이삼근, 정창수, 김학균, 임월애. 2001. 남해안 연안에서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ikoides, Gyrodinium impudicum, Gymnodinium catenatum의 출현상황과 온도, 염분, 조도 및 영양염류에 따른 성장 특성. 한국수산학회지. 34:536-544
57 임월애. 2004. 한국남해안의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발생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9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