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Index and Situation Naturalized Plants in the Stream of Downtown Jeonju  

Oh, Hyun-Kyung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Chonbuk National University)
Beon, Mu-Sup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v.24, no.3, 2006 , pp. 248-25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otal naturalized plant species in the streams of Jeonju were listed as 109 taxa; 24 families, 75 genera, 106 species, 3 varieties. Dividing by stream, Jeonju stream has 75 taxa; 20 families, 55 genera, 73 species, 2 varieties. Samcheon stream has 86 taxa; 19 families, 64 genera, 84 species, 2 varieties. Soyang stream has 80 taxa; 21 families, 60 genera, 77 species, 3 varieties. Urbanization Index (UI) of total streams (109 taxa) was 40.2%. UI was 27.7% in Jeonju stream (75 taxa), 31.7% in Samcheon stream (86 taxa), 29.5% in Soyang stream (80 taxa). Dividing by degree of naturalization classification, 25 taxa (9.2%) were found in class 5, 17 taxa (6.2%) in class 4, 32 taxa (11.8%) in class 3, 27 taxa (9.9%) in class 2 and 8 taxa (2.9%) in class 1. Dividing by introduction period, 48 taxa (44%) aye in period I, 19 taxa (17%) in period II, 42 taxa (39%) in period III. Dividing by growth type, 48 taxa (44%) are annuals, 25 taxa (23%) are biennials, 33 taxa (30%) are perennials. Dividing by the place of origin, 39 taxa (35%) are from Euyope, 33 taxa (30%) from North America, 11 taxa (10%) from Tropic America, 9 taxa (8%) from Europe Asia,5 taxa (5%) from South America, 5 taxa (5%) from China.
Keywords
growth type; introduction period; the place of origin; Urbanization Index;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고강석, 강인구, 서민환, 김정현, 김기대, 길지현, 전의식, 이유미. 1997. 한국에서의 귀화식물 분포. 한국자연보존협회. 한국생물상연구지. 2:139-164
2 노재현, 허 준. 2004. 버나큘라 경관상 개션을 위한 전주천변 귀화식물의 분포 특성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22:26-32
3 박수현. 1995. 한국 귀화식물 원색도감. 일조각. 서울. pp.371
4 박수현. 2001. 한국 귀화식물 원색도감(보유편). 일조각. 서울. pp.178
5 이우철, 임양재. 1978.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부록).:1-33
6 이유미, 김성식, 조동광, 정승선. 2002a. 경기도 축령산과 서리산 일대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104-123
7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pp.990
8 Graves RH. 1986. Plant invasions of Australia. pp.37-49. In Ecology of Bidogical Invasions (Grave RH and JJ Burdon,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9 유주한, 진연희, 장혜원, 조흥원, 한주환, 이철희. 2003b. 충청북도 미동산의 관속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112-122
10 Pallibin JW. 1998. 'Conspectus flarae(I)', Act. Hort. Petrop. 17:1-128
11 강병화, 심상인. 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발생상황. 한국잡초학회지. 22:207-226
12 박수현 1994. 한국의 귀화식물에 관한 연구. 한국자연보존협회. 자연보존. 85:39-50
13 변무섭, 오현경, 김영하, 김 연. 2005. 전주천일대의 관속식물상과 도시화지수.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231-245   과학기술학회마을
14 이유미, 박수현, 정승선. 2002b. 서울 중량천의 식생구성과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 16:271-286
15 양영환. 1998. 제주도의 귀화식물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자연보전협회. 자연보존. 102:47-54
16 임양재, 전의식. 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 분포. 식물학회지. 23:69-83
17 임동옥, 유윤미, 황인천. 2004b. 광주광역시 도심 대규모 하천의 귀화식물 분포 벚 환경지수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288-296
18 박선주, 김종홍, 김상민, 박홍덕, 우복주, 백기열. 2004. 손죽도의 식물상과 보전대책.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18-41
19 박수현, 신준환, 이유미, 임종환, 문정숙. 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분포. 임업연구원.국립수목원. pp.184
20 Song JS. and B Prats. 1998. Invasion of Ambrosia artemisiifolia L. (Compositae) in the Ukrainian Carpathians Mts. and the Transcartathian Plain (Central Europe). Kor. J. Biol. Sci. 2:209-216   DOI
21 고강석, 강인구, 서민환, 김정현, 김기대, 길지현, 이은복, 전의식. 1995. 귀화식물에 의한 생태계 영향 조사(1). 국립환경연구원. pp.74
22 이영노, 오용자. 1974. 한국귀화식물(1). 생활과학논총. 12:25-31
23 국립환경연구원. 2003. 한국외래식물
24 이창숙. 1995. 서울 중량천변의 환경변화에 따른 식물현황 (귀화식물과 토착식물의 비교연구). 한국자연보존협회. 자연보존연구보고서. 14:17-40
25 양권열. 1989. 서울시의 식생과 귀화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임동옥, 박양규, 유윤미. 2004a. 동복천 일대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346-359
27 이덕봉, 김연창. 1961. 美大陸 原産 植物의 渡來考. 식물학회지. 4:25-30
28 長田武正. 1976. 原色日本歸化植物固鑑. 保育社. pp.425
29 유주한, 진연희, 장혜원, 이동우, 윤희빈, 이귀용, 이철희. 2003a. 충청북도 백운산 일대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21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