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Characteristics of Separation Color Coordination In Current Women's Fashion collections of Paris, Milan, N.Y, London from 2004 SS - 2008 A W - centering on the types of color scheme, color harmony, separation color -  

Kwon, Hae-Sook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Sang Myung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 v.12, no.5, 2008 , pp. 94-11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eparation color coordination of contemporary female fashion through the analysis of 'pre-a-porter Collections' of four collections (i. e. cities) - Paris, Milan, New York, London - from the periods of 2004 S/S to 2008/9 A/W. The data collection of 265 was done by reviewing 'pre-a-porter Collections' magazine and total 265 observations were made. Statistical analysis of frequency and also qualitative interpretation of separation color coordination characteristics were completed. The main findings were; (1) In separation color coordination of contemporary women's fashion collections, there were three main types of color scheme which were classified into seven detailed categories of color combination. First was the achromatic color & one chromatic separation color scheme which was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of - black & white, black & grey, white & grey, and grey & grey - color combination. Second was the chromatic colors & one achromatic separation color scheme which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of achromatic & chromatic color & one achromatic separation color combination, and chromatic colors & one achromatic separation color combination. Third was chromatic colors and one chromatic separation color combination. (2) The achromatic colors and one chromatic separation color scheme showed two phases of reinforcing the strong and modern image, or softening the hard and dull image of achromatic color combination. In color schemes which used more than two chromatic colors, the separation color frequently converted the tedious and monotonous fashion image, which caused by identical or similarity in color or tone harmony, into more attractive and interesting. (3) In conclusion, through the various use and coordination of various color schemes, color harmony and separation colors, the separation color coordination in contemporary female fashion has been suggested the effective way of color combination which can lead the visual pleasure and the vitality along with the unity and the harmony. This characteristics can create various images and visual diversity for fashion. The types and the use of color scheme and separation color showed different trends in four collections.
Keywords
Separation color coordination; Color harmony; Separation color; Color scheme;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유태순 外(2000), 색채학-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성화, p.94-111
2 유금화(2002), "여성정장의 2색 배색에 의한 이미지 지각",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 권혜숙 . 심은아(2004), "현대 여성 패션에 나타난 색채 코디네이션의 유형과 유형별 특성 분석",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6(3), pp.139-152
4 조기여 外(2000), 색채학 -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성화, p.19
5 조필교 . 정혜민(1998), 패션 디자인과 색채, 전원문화사, p.25
6 조필교 . 정혜민(1998), 패션 디자인과 색채, 전원문화사, p.26
7 전선정 外(2000), 토털 코디네이션, 청구 문화사, p.97
8 박필재 . 백숙자(2001), 컬러 코디네이트를 위한 색채학 입문, 형설 출판사, p.95
9 라사라(1999), 컬러 코디네이션. 신미문화정보, p.112
10 Collections, 04 S/S, I,II,III' 04'05 A/W I,II,III., '05 S/S I,II,III., 05/06 A/W I,II,III. 06 S/S I,II,III., 06/07 A/W I,II,III. 07 S/S I,II,III., 07/08 A/W I,II,III. 08 S/S I,II,III, 08/09 A/W I,II,III
11 Collections, 05 SS, III, Paris, P.138
12 Collections, 08 SS, III, Paris, P.144
13 Collections, 04/05 AW, III, Paris,.P.359
14 Collections, 08 SS, II, Milan, P.27
15 이기연(2007, 5, 25), "색의 조화론", 자료검색일 2008, 5, 21. 자료출처 http://kallery.net / i ndex. php?g_cl ss=f or um&g_pr css=thrd&g_tmplt=&g_brd=21&g_thrd=756
16 우시우스옹(1999), 색채 다자인의 원리. 유관호(역), 도서출판 청우, p.49
17 신윤희(2001),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와 컬러코디네이션의 상관성 분석 연구 - '90년대 여성의 패션을 중심으로 -",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정해정(2003), 컬러코디네이션, 도서출판 국제, p.33
19 Collections, 07 SS, III, Paris, P.326
20 장보경(1998), "한국 패션의 유행색 정보기획 사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5
21 Collections, 04/05 AW, III, Paris, P.84
22 이홍규(1999), 칼라 이미지 사전, 도서출판 조형사, p.100
23 조필교 . 정혜민(1998), 패션 디자인과 색채, 전원문화사, p.113-114
24 Collections 08/09 AW, I, N.Y, P.359
25 김수윤(2001), "1990년대 전반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색채의 특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김하니(2001), "1990년대 후반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색채의 특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전선정 外(2000), 토털 코디네이션, 청구 문화사, p.113
28 Collections, 04/05 AW,III, Paris, P.18
29 이송림(1999), 샤넬이미지를 통한 패션 코디네이션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신상옥 外(2001), 현대 패션과 의생활, 교문사, p.135
31 Collections, 07 SS, III, Paris, P.155
32 양리나 . 최나영(2000), 패션 연출, 문왕사, PP.61-62
33 조필교 . 정혜민(1998), 패션 디자인과 색채, 전원문화사, p.113
34 박정훈(1990), "코디네이션의 연출에 관한 연구 - 개성연출을 위한 토털패션으로서의 메이크업을 중심으로 -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Collections, 04 SS, II, Milan, P.147
36 이호정(1987), 복식디자인, 교학연구사, p.77
37 Collections, 07/08 AW, III, Paris, P.76
38 송금옥(2000), "패션색채계획을 위한 검정색의 색채 특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Collections, 08/09 AW, I, N.Y, P.146
40 Collections, 08/09 AW, III, Paris, P.30
41 Collections, 04 SS, II, Milan, P.142
42 유태순 外(2000), 색채학-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성화, p.111
43 Grandis, Ligina De(1986), Theory and Use of Colour, NY; Harry N. Abrams, Inc., p.35
44 임경순(1999), "현대 패션코오디네이션 연구 - 샤넬과 스키아파렐리의 작품을 중심으로 -",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다나 후이지(1991), 패션 코디네이트와 이미지 칼라진단, 임경숙(역), (주)그래픽 사, p.9
46 전선정 外(2000), 토털 코디네이션, 청구 문화사, p.121
47 전선정 外(2000), 토털 코디네이션, 청구 문화사, p.114
48 장애란 . 안명숙 . 박우미(2000), 패션 코디네이션, 예학사, P.52
49 Collections, 05 SS, III, Pairs, P.35
50 오희선 . 박화순(2000), 아름다운 여성을 위한 패션코디, 경춘사 p.30
51 조필교 . 정혜민(1998), 패션 디자인과 색채, 전원문화사, p.100
52 신상옥 外(2001), 현대 패션과 의생활, 교문사, p.128
53 박필재 . 백숙자(2001), 컬러 코디네이트를 위한 색채학 입문, 형설 출판사, p.39
54 johannes itten(1983), 색채의 예술, 김수석(역), 지구문화사. p.25
55 장보경(1998), "한국 패션의 유행색 정보기획 사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