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Cases of the R & D of the Apparel industry - Focus on Brand Developments in the Japanese Apparel Corporation -  

Shin, Jae-Yong (Dept. of Fashion Design, Sejong University)
Chun, Tae-Yoo (AGMP Program Sejong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 v.6, no.5, 2002 , pp. 112-12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Japanese apparel industries have deployed the activities of plannings, production & sellings by brand marketings. Owing to it, they satisfied customers and accomplished the goal of corporation objective market advantage. All through this process it is very essential to establish the concept of produc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brand development in Japanese total apparel corporation; 1) it accesses synthetically to acquire sales and target benefit by active marketing based on the analysis of market environment; 2) on relation with customer, it comes close to customer in the process of buying and consuming product and provides a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process of those. All the way of the process above and the precedent, it is to complete the goal of corporation. The development of the brand in Japanese apparel corporation depends on the corporate's customeroriented marketing. Due to it, Japanese apparel corporation perceives the differentiation that the consuming pattern of customer is its life style so that Japanese apparel corporation provides the product that can satisfy customer needs.
Keywords
brand marketing; customer-orientation; differentiation; japanese apparel;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합성섬유기업의 가공 및 유통경로 조직화 등 마케팅 전개는 東レ株式會社(1977), 東レ50年史, pp. 116-118. 日本化學纖維協會(1974), 日本化學 纖維産業史, pp. 506-508
2 디자이너 & 캐릭터 어패럴 기업은 백화점이나 전문점의 판매경로 확보가 곤란한 경우가 있었기 때문에 직영전문점을 개설하기도 했다. 물론이에 따른 리스크는 있지만 고수익의 확보가 가능한 체제가 구축되었다고 할 수도 있다. 坂口昌章(1989), ポストDC時代ファッション産業, 日本經濟新聞社, pp. 34-37. 또한 디자이너 브랜드란 발표되지 않은 고유의 창조성이 작품에 포함되어있는 것을 말하며, 캐릭터 브랜드는 창조성 보다 오히려 감성, 즉 대상 고객의 감성에 적합한 것인가를 더욱 중요시하는 브랜드를 말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디자이너 & 캐릭터 브랜드란 소량생산, 감성을 중시한 브랜드를 지칭한다. 纖硏新聞社編集局(1999), よくわかるア パレル業界(新版), 日本實業出版社, p. 243
3 矢野經濟硏究所(1988年版), 日本マ-ケットシェ ア事典
4 矢野經濟硏究所(1988), 日本マ-ケットシェア事 典, 어패럴 대기업의 1987년 매출액은 레나운2109억엔, 온와드카시야마 1785억엔, 월드 1430억엔, 군제 1427억엔, 이토킨 1104억엔, 와코루 1076억엔, 산요1035억엔, 다반 557억엔 이었다
5 (株)レナウン社內資料(1983),レナウン物語
6 예를 들면 신사복 톱브랜드인 다반(1989년 매출액 367억엔)은 백화점의 보급품 및 고급품에 속한다.
7 中小企業事業團中小企業情報センタ-(1988),需 要動向調査報告書(1)衣生活編, p. 41
8 日本通商産業省産業局·纖維工業構造改善事業 協會編(1977), 新しい纖維産業の在り方에 어패럴 산업을 중심으로 한 섬유산업의 수직적 연계가 제창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9 90년초 버블경제 붕괴 및 장기불황의 여파로 일본 어패럴 산업은 1997년 12조6000억엔의 시장규모로 91년에 비해 1조8000억엔(12%)이 감소했다. 품목별 차이가 있지만 아동복, 남자양복, 숙녀복 순으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소득의 감소와 고용불안 등이 소비를 억제하고 있다는 것이 중론이다. 日本經濟企劃廳(1999), 國民經濟計算年報, 總務廳(1999),家計調査
10 인구통계학적인 방법과는 반대로 일종의 사이코그래픽(psychographic)에 의한 시장세분화의 기법을 볼 수 있다. 우선 마이너리티로 동일한 감정을 갖는 소수의 고객을 타깃으로 하다가 동일 행동에 공감하는 다수를 확보함으로서 메이저로 부상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시장을 세분화해 가는 것이다
11 이쿠시즈 브랜드 개발에 관해서는 石川弘義監 修(1986), ヤングマ-ケット白書, pp. 701-711
12 스크럼블드 머천다이징(scrambled merchandising) 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어느 특정 소매점이 취급상품을 새로운 품종과 결합시키는 머천다이징을 의미한다. 이 기법이 도입된 배경은 소매업자가 지금까지의 상품 외에 가족 전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상품구성으로 상품 회전율을 높이고 이익률을 증가시키며 원 스톱 쇼핑이 가능하게 된 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13 椎塚武(1977), アパレル産業未來戰略, ビジネス 社, p. 170
14 纖維工業構造改善事業協會(1984),アパレル販賣 戰略,p. 61
15 通産省生活産業局(1997), 纖維需給表
16 신사복의 가격대는 1990년 기준 저가격품은 5만엔 전후, 백화점 보급품은 6~8만엔, 고급품 8~10만엔, 초고급품은 10만엔 이상이었다. 流 通經濟新聞, 1991年3月7日
17 (주)온와드 카시야마가 이와 같은 계획을 세울수 있었던 것은 대기업으로서 백화점이나 전문점에 어느 정도 매장면적을 확보했다는 사실에 기인한다는 것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18 이쿠시즈 브랜드 개발에 관해서는 石川弘義監 修(1986), ヤングマ-ケット白書, p. 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