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Costume of Qing Dynasty in the Court Painting  

Lee, Hyun-Mee (Dept. of Stylist, Yong-In Songdam College)
Shin, Kyeong-Seob (Dept. of Clothing & Textiles, Sungshin Women's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 v.6, no.1, 2002 , pp. 71-8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rrectly understand the costume of Qing dynasty in the court painting.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was that the painting typically reflects the cultural values, social significations, costume and aesthetic outlook of that period when the paintings were done. Based on this regard, this study analyzed the costume of figure paintings in the court painting of the Qing dynasty that complied and edited by the Palace Museum. The court dress of Qing dynasty represented not only the spiritual world of Manchu tribes but also the influences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The court dresses of Kangxi and Qianloug showed definitely the luxury of life of Qing court. The everyday dress of Qing dynasty reflected the nomadic environments and it was very simple. The hunting dress of Qing dynasty was very developed and also represented horse riding and hunting activities of their traditional life. The ladies of Qing dynasty enjoyed to dress the costume of old Chinese style. The appearance of noble women was fragile and slim.
Keywords
court painting; figure painting; costuem of Qing dynasyt;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이정옥 등, 앞글, 1999, p. 24
2 이정옥 등, 앞글, 1999, p. 47
3 故宮博物院編, 淸代宮廷繪, 台北: 文物出版社, 1992
4 李賢文, 中國美術辭典, 景仁文化社, 1993
5 김원중, 중국문화사, 서울: 을유문화사, 2001
6 譚旦, 중국예술사 - 회화편, 김기주 역, 서울: 열화당, 1985
7 리처드 반하트 외, 중국회화삼천년, 정형민 역, 서울: 학고재, 1999
8 백승길 편저, 중국예술의 세계 - 회화와 서예, 서울: 열화당, 1971
9 안휘정, 고려시대의 인물상, 고고미술, 180, 1988, pp. 3-24
10 유송옥, 이은영, 황선진, 복식문화, 서울: 교문사, 1996
11 임명미, 중국의 고대복식연구(I), 서울: 경춘사, 1988
12 최병식 편저, 동양미술사전, 서울: 갑을출판사, 1989
13 관원들은 일명 花衣라고 하는 袍를 입었다. 이들의 등급은 망수와 망조수로 구분하였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龍과 의 구분은 쉽지 않다
14 권태순, 중국민속복식을 응용한 현대복식 디자인 연구 - 淸代민속복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3
15 古宮博物院編, 淸代宮廷繪畵, 台北: 文物出版社, 1992. pp. 2-3
16 이정옥, 배인숙, 장경혜, 남후선, 淸代: 服飾史, 서울: 형설출판사, 1999, p. 32
17 이동복, 동북아세아연구, 서울: 일조각, 1986에 의하면, 정복왕조 (Dynasties of Conquest) 라는 용어는 K.A. Wittfogel이 처음 사용하였다. 그는 중국사회를 전형적인 중국사회와 정복왕조로 구분하고 북위.요.금.원.淸의 다섯 왕조를 정복왕조로 보았다. 田村實造는 북아세아의 역사를 B.C. 3세기경 일어난 흉노로부터 선비.유연.둘궐.회홀에 이르는 왕조를 유목국가시대로, 요이후의 금.원.淸을 정복왕조시대로 분류하기도 하였다
18 故宮博物院編, 古宮人物畵選華, 台北: 故宮博物院, 1971
19 中國繪大觀, 24, 庚美文化社, 1981
20 오금성 외, 명말.청초 사회의 조명, 서울: 한울, 1990
21 앞에 길게 늘어뜨린 끈이다
22 김영재, 중국의 둥근깃 전래에 관한 소고, 복식, 36, 1998, p. 97-107
23 물개과에 속하는 강치 가죽
24 검은 담비 가죽
25 周飛, 高春明, 中國歷代服飾, 學林出版社, 1983, p. 269
26 김미자, 한국유고와 중국고습의 보편성과 특수성에 관한 연구, 복식, 33, 1997, pp. 73-87   과학기술학회마을
27 이택후, 유강기 편역, 중국미학사,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2
28 박춘순, 중국소수민족의 복식 연구(1) - 동북.서북지역의 소수민족을 중심으로, 복식, 26, 1995, p. 175-207
29 관 아래 써서 관이 미끌어지지 않게 하고 머리를 수발하는 것이다
30 서울대학교동양과학연구회, 강좌 중국사4, 서울: 지식문화사, 1989
31 華梅, 中國服飾史, 박성실, 이수웅 역, 서울: 경춘사, 1992
32 백승길, 앞글, 1971, p. 100
33 김민지, 인체미 인식과 복식형태의 변천 - 선사에서 淸代까지 중국여성복식을 중심으로, 복식, 32, 1997, p. 225-241
34 동아원색대세계사
35 임명미, 몽고복식, 서울: 경춘사, 1992
36 안휘정, 고려시대의 인물상, 고고미술, 180, 1988, pp. 3-24
37 古宮博物院編, 淸代宮廷繪畵, 台北: 文物出版社, 1992. pp. 12-14
38 피령 위에 가한다
39 존 K. 페어뱅크, 에드윈 O.라이샤워, 앨버트 M. 크레이그 , 동양문화사(상), 김한규 등 역, 서울:을유문화사, 1991
40 황원구, 동양문화사략 - 전근대 아시아의 사회와 문화,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3
41 周飛, 高春明, 中國歷代服飾, 上海: 學林出版社, 1983
42 古宮博物院編, 淸代宮廷繪畵, 台北: 文物出版社, 1992, p. 3
43 王宇淸, 中國服裝圖錄, 大北: 世界地理民國73, 1975
44 이정옥, 배인숙, 장경혜, 남후선, 淸代服飾史, 서울: 형설출판사, 1999
45 마이클설리반, 백승길 역, 중국예술의 세계, 열화당, 1983, p. 48
46 백승길 편저, 중국예술의 이해 - 회화와 서예, 서울: 열화당. 1971, p. 99
47 미술대사전1 - 용어편, 한국사전연구회,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