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Microcrack Orientations in Bulgugsa Granites from Southwestern Gyeongsang Basin  

Park, Deok-Won (Geological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v.17, no.4, 2008 , pp. 206-22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We have studied general orientational characteristics of microcracks distributed in Bulgugsa Granites of southwestern Gyeongsang Basin. Microcracks of 131 sets, which were developed on horizontal surfaces of II rock samples collected from Sacheon-Gosung, Geoje-si and Namhae-gun areas, were distinguished by image processing. Then, 45 sets with a distinct linear array on image were sorted out. These microcracks can be comparable with vertical grain planes. Orientations of these microcrack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vertical rift and grain planes developed in Cretaceous and Jurassic granites of Korea. In the distribution chart, the agreement of the distribution pattern between microcracks of 45 sets and above vertical planes suggests that microcrack systems developed all over the study area also occur regionally in Cretaceous and Jurassic granites of Korea. Whole domain of the directional angle-frequency chart can be divided into 20 domains in terms of the phases of the distribution of microcracks. Meanwhile, 18 domains from 45 sets of microcracks were compared with the maximum principal stress orientations suggested from previous studies. The majority of maximum principal stress orientations pertain to domain $1{\sim}2$, $5{\sim}6$, $11{\sim}15$, $17{\sim}18$ and $19{\sim}20$, and these domains are coincident with the orientation of the 1st and 2nd-frequency orders represented in a rose diagram for 45 sets of microcracks. Representative orientations of open microcrack reflect the maximum principal stress orientations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Keywords
Bulgugsa granites; image processing; open microcrack; maximum principal stress orient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7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종선, 이준동, 2000, 거제도 화강암질암의 지화학적 특성 에 의한 마그마 불균질혼합 증거. 지질학회지, 36, 19-38
2 김종선, 이준동, 윤성효, 1998, 거제도 화강암질암의 마그 마 불균질 혼합 증거: 1. 그 기재적 특성. 지질학회지,105-121
3 장기홍, 1977, 경상분지, 상부 중생계의 층서 퇴적 및 지구 조. 지질학회지, 13, 76-90
4 장태우, 정재혁, 장천중, 2007, 한반도 동남부 제3기 어일 분지 및 와읍분지의 지구조 운동. 지질공학회지, 17, 27-40   과학기술학회마을
5 Krantz, R. L., 1983, Microcracks in rocks. Tectonophysics, 100, 449-471   DOI   ScienceOn
6 Plumb, R., Engelder, T. and Yale, D., 1984, Near-surface insitu stress, 3. Correlation with microcrack fabric within the New Hampshir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89, 9350-9364   DOI
7 장기홍, 이영길, 김규한, 1989, 한국지질도(1:50,000), 남해. 서상도폭 및 설명서. 한국동력자원연구소, 28p
8 지정만, 김형식, 오인섭, 김학천, 1983, 한국지질도 (1:50,000), 삼천포도폭 및 설명서. 한국동력자원연구소, 12p
9 원종관, 지정만, 김수진, 윤선, 소칠섭, 김형식, 1980, 한국 지질도(1:50,000), 거제.율포도폭 및 설명서. 자원개발연구소, 21p
10 강지훈, 류충렬, 2004, 양산 통도사 불국사 화강암류내에 발달하는 단열계의 특성과 양산단층운동과 관련된 고응 력장 해석. 자원환경지질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332-334
11 Vollbrecht, A., Rust, S. and Weber, K., 1991, Development of microcracks in granites during cooling and uplift:examples from the Variscan basement in NE Bavaria, Germany. Jounal of Structual Geology, 13, 787-799   DOI   ScienceOn
12 장보안, 정해식, 2005, 마산 및 양산 일대의 백악기 화강암류의 아문 미세균열과 유체포유물 연구를 통한 백악기 및 신생대 고응력장 분석. 지질학회지, 41, 59-72
13 강성승, 윤건신, 김영석, 김정빈, 2007, 월성지역 단층대에 서 응력 변형사 및 단층 형태 예측. 지구시스템공학회지, 44, 95-105
14 좌용주, 1998, 경상분지 고성지역의 화성암류에 대한 암석 학적 연구 II. 미량원소 지구화학과 Rb-Sr 방사성 연대. 자원환경지질학회지, 31, 473-426
15 장기홍, 1975, 한국 동남부 백악계 층서. 지질학회지, 11, 1-23
16 최범영, 황재하, 고희재, 이병주, 김정찬, 최현일, 기원서, 김 유봉, 송교영, 최영섭, 2002, 한국지질도(1:250,000), 목포 .여수도폭 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45p
17 김건기, 김종선, 좌용주, 2005, 경상분지 남서부 와룡산 일 대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강암류에 관한 암석학적 연구: 마그마 불균질 혼합에 의한 화강암류의 조성변화. 암석학회지, 14, 12-23   과학기술학회마을
18 김영화, 장보안, 박상욱, 1996, 양산단층 지역의 화강암체 내에 분포하는 열린 미세균열과 경상분지의 고응력장. 지질학회지, 32, 367-378
19 김희남, 1992, 우리나라의 남부지역에 분포하는 생산성 심 성암체에 대한 암석지화학적 연구: 광양, 돌산, 남해 지 역을 중심으로. 지구과학회지, 13, 226-246
20 박덕원, 이창범, 2007b, 강화군 석모도 일대의 중생대 화강 암류 및 화강암질 암맥류에서 발달하는 미세균열의 분포 특성. 암석학회지, 3, 129-143   과학기술학회마을
21 장태우, 황상구, 이동우, 오인섭, 김학천, 김의홍, 1983, 한 국지질도(1:50,000), 충무도폭 및 설명서. 한국동력자원연 구소, 18p
22 Lespinasse, M., Pecher, A., 1986, Microfracturing and regional stress field:a study of the preferred orientations of fluid-inclusion planes in a granite from the Massif Central, France. Jounal of Structual Geology, 8, 169-180   DOI   ScienceOn
23 박덕원, 2007a, 국내의 중생대 화강암류에서 발달하는 수 직의 1번 및 2번 면의 방향성. 암석학회지, 16, 12-26   과학기술학회마을
24 이민주, 양석준, 최진혁, 김영석, 2008, 부산 이기대 지역의 단열발달사 해석. 지질학회지, 44, 259-271
25 Wise, D. U., 2005, Rift and grain in basement:thermally triggered snapshots of stress fields during erosional unroofing of the Rocky mountains of Montana and Wyoming. Rocky mountain geology, 40, 193-209   DOI
26 이춘희, 이상원, 1999, 거제도에 분포하는 화강암류에 대한 암석학 및 암석화학적 연구. 지구과학회지, 20, 61-79
27 황재하, 1994, 백악기초 이후 한반도 남동부에 작용한 고 응력 복원. 지질학회지, 30, 27-34
28 Choi, P. Y., Kwon, S. K., Lee, S. R., Hwang, J. H., Angelier. J., An, G. O., 2002, Late Mesozoic-Cenozoic tectonic sequence of Southeast Korea. The 1st and 2nd Symposiums on the Geology of Korea, Special Publication No. 1,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KIGAM), 5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