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20923/kjas.2022.74.079

A Study on Classification & Description of Art Archives : Focused on "The Art Archives, Seoul Museum of Art"  

Kim, Ji Ah (서울시립미술아카이브)
Publication Information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v., no.74, 2022 , pp. 79-11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recent years, the term "art archives" has become increasingly popular, with the growing use of archives in exhibitions and program planning within domestic cultural and arts institutions. The need for art archives has been raised for reasons such as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art and culture and providing basic resources for academic research; however, they are now being recognized as a direct resource and service for users. Accordingly, research has also been conducted on the values, policies, and management practices of art archives in the archiving field. Nevertheles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management methodologies that can be applied to institutions that manage art archives. In particular, for the efficient use of art archives, classification, organization,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descriptive areas must be preceded. But, There are different methods of managing art archives depending on the type of collection, the management institu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ection resources, which, in turn, makes it difficult to apply a consistent methodology for classification and description. Based on actual cases from The Art Archives, Seoul Museum of Art, this study examined the types and categories of arts, and presented the establishment of a classification system and archival description rules.
Keywords
Art Archives; Classification; Classification System; Description; Descriptive Element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달진 (2012). 한국 미술아카이브의 분포 상황과 수집 여건과 과제 :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4, 241-284.
2 조수민 (2015). 기능 영역 기반 미술기록 메타데이터 기술 요소에 관한 연구: 대전시립미술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3 서울시립미술아카이브. AA_R1_아트아카이브 등록메타데이터 작성 매뉴얼.
4 설문원 (2011). 예술기록의 분류와 정리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2), 217-247.   DOI
5 최미령 (2021). 미술 아카이브의 자료분류 및 공간구성 분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6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법률 제 18772호.
7 서울특별시, 한국문헌정보기술(주) (2018). 평창동 미술문화복합공간 정보화전략계획(ISP) 최종보고서.
8 김민수 (2011). 미술아카이브의 기록 수집정책에 관한 연구 : 국립현대 미술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9 김인혜 (2012). 국립현대미술관의 미술 아카이브 운영 구상.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4, 301-312.
10 정공주, 박주석 (2014). 시각예술 작가 기록물 수집전략 및 기록정보 관리 연구. 기록학연구, 40, 61-93.
11 정혜린 (2008). 미술작품의 기록가치 구현을 위한 기록관리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과.
12 서울특별시, 한국문헌정보기술(주) (2018). 평창동 미술문화복합공간(가칭) 시스템 구축 사업(1단계).
13 이지은 (2015). 미술관 소장 아카이브 기술요소 제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전공.
14 황진현, 임진희 (2012). 시각예술기록정보 관리를 위한 데이터모델 설계 : KS X ISO 23081 다중 엔티티 모델의 적용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33, 155-206.
15 황동열 (2007). 예술아카이브의 현황과 도입방안 연구. 한국무용기록학회, 12,177-215.
16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디지털미술아카이브(Digital Art Archive), https://semaaa.seoul.go.kr/front/main.do/.
17 김기현 (2000).아트아카이브(Art achives)의 국내도입을 위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예술경영학과.
18 정명주 (2006). 아트아카이브(Art achives)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