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국가기록원 (2021). 「민간분야 기록관리 활성화를 위한 정책연구 완료보고서」.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전: 국가기록원
|
2 |
김세경 (2007). 우리나라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규의 변천. 한국기록학회지, 7(1), 5-38.
|
3 |
김익한 (2010). 마을 아카이빙 시론, 기록학연구, 26, 151-172.
DOI
|
4 |
주현미 (2020). 노회찬 아카이브 기초연구, 기록학연구, 68, 244-279.
|
5 |
김지현 (2014). 미국, 캐나다, 호주 주립기록관의 민간기록물 수집정책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3), 105-126.
DOI
|
6 |
배양희, 김유승 (2017). 민간디지털 아카이브 수집정책 연구, 기록학연구, 53, 120-159.
|
7 |
손동유 (2019). 민간분야 공동체 아카이빙의 성과와 과제, 실천민속학연구, 34, 39-63.
|
8 |
이경래 (2013). 북미지역 공동체 아카이브의 거버넌스 논의와 비판적 독해, 기록학연구, 37, 226-264.
|
9 |
윤은하 (2021). 민간기록관리와 아카이브 :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역할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69, 35-62.
|
10 |
이경래, 이광석 (2013). 영국 공동체 아카이브 운동의 전개와 실천적 함의, 기록학연구, 37, 4-39.
|
11 |
이연창 (2021). 관계형 아카이브 환경모형, 기록학연구, 69, 63-91.
|
12 |
이해준 (2001). 지역기록물 관리기관의 설립과 운영방안, 역사와 담론, 30, 177-200.
|
13 |
임신영, 이혜원 (2021). 민간분야 기록관리 관련 현황 및 시사점: 기록관리이슈페이퍼 vol.30, 19-41.
|
14 |
Fisher, R. (2009). In search of a theory of private archives: The foundational writings of Jenkinson and Schellenberg revisited. Archivaria, 67, 1-24. 재인용: 김지현(2014). 미국, 캐나다, 호주 주립기록관의 민간기록물 수집정책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3), 105-126.
|
15 |
Caswell, Micheal. (2014). Defining human rights archives: introduction to the special double issue on archives and human rights, Archival Science vol. 14, 207-213.
DOI
|
16 |
Gilliland, A., & McKemmish, S. (2014). The role of participatory archives in furthering human rights, reconciliation and recovery. Atlanti: Review for Modern Archival Theory and Practice, 78-88.
|
17 |
김영선, 오효정, 이정은 (2021). 시민참여형 공모전을 활용한 민간기록물 수집 활성화 방안 : 전주 시민기록관의 기록물 수집공모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21(3), 37-60.
DO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