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20923/kjas.2022.72.033

Discussion on Local Archives Based on the Ideology of Educational Autonomy : Focused on the Need to Amend Article 11 of the Public Records Act  

Jeong, SangMyung (경기도군포의왕교육지원청)
Publication Information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v., no.72, 2022 , pp. 33-8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Recently, following the opening of the Gyeongsangnam-do Archives and the Seoul Archives, work to establish local archives management institutions in cities and provinces is being actively carried out. In this process, there is an institution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ed by the records management work following the emergence of metropolitan·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s. Article 11 of the current Public Archives Act is centered on cities and provinces, such as giving only the mayor and provincial governor the duty to establish a local record management institution. When a management agency is established, only the obligation to transfer the records with a retention period of 30 years or more among the records under its jurisdiction is specified. This is not appropriate when considering that each metropolitan·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each metropolitan·provincial perform their own duties and roles at the metropolitan·provincial level in accordance with the Constitution and laws. Therefore, in this study, legally, institutionally and historically, the fact that metropolitan·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metropolitan ·provincial are the core institutions that realize local educational autonomy and local autonomy, and are equivalent administrative agencies independently in charge of their own affairs in their respective jurisdictions. We compared and examined the need to revise Article 11 of the current Public Archives Act, which is overly composed of cities and provinces, and presented the expected effects of the establishment of local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s by cities and provinces of education.
Keywords
Educational autonomy; local education autonomy; local autonomy; metropolitan.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metropolitan.provincial superintendent of education; local record management institu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지훈, 최찬호 (2021).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립동향. 기록관리 이슈페이퍼(32), 국가기록원.
2 지방자치법 전부개정법률안. 의안번호2114153호.
3 김용완 (2022. 1. 19.). 시도의회의장협, 지방의회법 제정촉구 건의. 노컷뉴스. 출처: https://www.nocutnews.co.kr/news/5692998
4 이연정 (2021. 12. 12.). 사학진흥재단, 대학 폐교 지원 조직 꾸린다. 매일신문. 출처: https://news.imaeil.com/page/view/2021121115562923282
5 고 전 (2021). 지방분권법상 국가의 교육자치와 지방자치 통합 노력 의무 규정등의 타당성과 입법 과제. 교육행정학연구, 39, 131-155.
6 구성완 (2021. 1. 31.). '황재은 도의원 '경남도교육청 기록물 관리 조례' 제정 토론회 열어. 뉴스경남. 출처: http://www.newsgn.com/298770
7 우지원 (2015). 통합형 지방교육기록물관리기관 설립 방안 :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2), 153-180.
8 이영학 (2010). 기록문화와 지방자치. 기록학연구, 26, 63-93.   DOI
9 이기우 (2007). 한국지방교육자치제도의 개정과 향후 과제. 지방자치법연구, 7(2), 27-53.   DOI
10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 의안번호2112799호.
11 이영학 (2019). 한국 현대 기록관리의 사적 추이. 한국학연구, 54, 457-483.
12 임희연 (2018). 기록관의 새로운 모델, 통합기록관 : 교육청 기록관 체계의 재편성. 기록학연구, 58, 31-64.   DOI
13 지수걸 (2009).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립의 방향과 방법. 기록학연구, 21, 247-281.   DOI
14 국가기록원 (2008). 2007 국가기록백서.
15 나민주, 고전, 이현국, 차지철, 유호준 (2019). 지방교육자치 법령 연구. 충북대학교 한국지방교육연구소 연구보고서, 충북대학교 한국지방교육연구소.
16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2008). 국가기록관리 혁신.
17 법제처 (2021). 2021 법령입안심사기준.
18 교육기본법. 법률 제5437호.
19 지방자치법. 법률 제18661호.
20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법률 제17893호.
21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법률 제16661호.
22 강정만 (2021. 12. 7.). "허술한 기록물 관리 안돼" 강성민 제주도의원 조례안 발의. newsis. 출처: https://newsis.com/view/?id=NISX20211207_0001678998&cID=10813&pID=10800
23 배문숙 (2022. 1. 13.). 인구 100만 이상 '특례시' 출범...새 지방자치법 시행. 해럴드 경제. 출처: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20113000005
24 송봉준 (2021. 9. 1.). 경남도의회 교육위원회의 쓴소리..."조례도 없이 행정행위, 편법". 노컷뉴스. 출처: https://www.nocutnews.co.kr/news/5617677
25 김재순 (1999). 기록물관리법 제정과 학계의 협력과제. 역사와 현실, 31, 5-21.
26 진현권 (2021. 8. 28.). 경기도청 광교 이전, 경기도기록원 첫발...실시설계 착수. new1. 출처: https://www.news1.kr/articles/?4417159
27 이종수 (2009). 행정학사전. 경기도: 대영문화사.
28 pmg 지식엔진연구소 (2020). 시사상식사전. 서울: 박문각.
29 최기영 (2021. 12. 2.). 강원도 新행정복합타운 춘천 우두동에 조성 착수. 강원일보. 출처: http://www.kwnews.co.kr/nview.asp?aid=221120100150
30 고 전 (2017). 한국의 지방교육자치 입법정신에 관한 교육법학적 논의. 교육법학연구, 26(1), 1-30.   DOI
31 백종인 (2016). 지방자치제도 개혁 25년의 평가와 과제. 지방자치법 연구, 16(3), 73-102.
32 설문원 (2015). 로컬리티와 지방기록관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4), 151-171.   DOI
33 안성호 (2014). 참여정부 지방분권정책의 평가와 교훈.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5(3), 3-25.
34 이영학 (2002). 한국근현대사와 국가기록물 관리. 기록학연구, 6, 265-278.   DOI
35 이원규 (2010). 지방 공공기록관리의 정책과제. 기록학연구, 26, 95-102.   DOI
36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2008). 참여정부 정책보고서 (3-17).
37 하윤수 (2019). 교육법의 발전방향과 과제. 동아법학, 82, 101-131.
38 하우동설 (2011). 교육학 용어사전. 서울: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39 제헌헌법. 헌법 제1호.
40 공공기관의 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대통령령 제17050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