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20923/kjas.2020.65.321

'Cultural Archiving' of Everyday Life in North Korea  

Seol, Moon-won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v., no.65, 2020 , pp. 321-36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roughout the 70 years of division, cultural heterogeneity between the two Koreas is accelerating.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archive of the everyday life of North Koreans could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North. Here, everyday life is defined as social space where various practices and actions of individuals intersect with the social structure including institutions, social control, norms, and ord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pply this concept of everyday life to design an archive-building model rich in evidence and memories of everyday life in North Korea. To this end, a methodology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everyday life is needed, which is called 'cultural archiving'. By applying the 'cultural archiving' methodology, a model that includes the principles and procedures for building everyday life archives in North Korea is proposed. This also investigates how each building process could be applied through actual example(a database of life, culture, and history in North Korea). In addition, the actual case ("Database of Living History and Culture in North Korea for the Foundation of Unified Korea") is investigated as to how each construction procedure could be applied.
Keywords
North Korea; everyday life; everyday life archives; cultural archiving; living cultur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7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박순성.고유환.홍민. 2015. 북한 일상생활 연구의 방법론적 모색, 북한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관점, 방법론, 연구방법. 서울: 한울, 138-169.
2 베커, 하워드 S.저, 서정아 역. 2020. 증거의 오류. 서울: 책세상.
3 북한연구학회. 2015.북한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관점, 방법론, 연구방법. 서울: 한울.
4 설문원. 2012a. 로컬리티 기록콘텐츠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2), 317-342.   DOI
5 설문원.2012b. 공간 중심의 로컬리티 기록화 모형의 설계,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4), 437-455.   DOI
6 설문원. 2012c. 로컬리티 기록화를 위한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32, 3-44.   DOI
7 설문원. 2014. 환경갈등의 기록화를 위한 내러티브 설 : 밀양 송전탑 건설 갈등을 사례로, 기록학연구, 42, 287-326.   DOI
8 양문수. 2015. 북한 문헌, 어떻게 읽을 것인가: <경제연구>의 사례,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관점, 방법론, 연구방법. 서울: 한울, 2015, 109-137.
9 이진경. 2002. 근대적 시공간의 탄생. 서울 : 푸른숲.
10 이화연.윤순진. 2013. 밀양 고압 송전선로 건설 갈등에 대한 일간지 보도 분석: 환경정의 관점에서, 경제와 사회, 98, 40-76.
11 조정아. 2015. 구술자료를 활용한 북한도시 연구: 이론적 자원과 방법, 북한연구학회편, 북한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 관점, 방법론, 연구방법. 서울: 한울, 170-197.
12 조정아. 2010. 북한 교육일상연구: 과제와 접근방법, 동국대학교 일상생활연구센터 편, 북한의 일상생활세계: 외침과 속삭임. 서울: 한울, 397-431.
13 최효진.임진희. 2015. 개인 일기의 연구 자료로서의 가치와 전망 : "5월 12일 일기컬렉션"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46, 95-152.   DOI
14 황진태. 2019. 북한도시연구방법론으로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활용에 관한 시론 :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공간과 사회, 29(4), 118-156.
15 Anderson, Kimberly. 2013. The Footprint and the Stepping Foot: Archival Records, Evidence, and Time, Archival Science, 13, 2013, 349-371.   DOI
16 Bastian, Jeannette. 2009. 'Play Mas': Carnival in the Archives and the Archives in Carnival: Records and Community Identity in the US Virgin Islands, Archival Science, 9, 113-125.   DOI
17 Hedstrom, Margaret. 2010. Archives and Collective Memory: More than a Metaphor, Less than an Analogy, Terry Eastwood and Heather MacNeil, eds., Currents of Archival Thinking, Libraries Unlimited, 2010, 163-180.
18 Millar, Laura. 2019. A Matter of Facts: The Value of Evidence in an Information Age, ALA Neal-Schuman.
19 Shilton, Katie and Srinivasan, Ramesh. 2007. Participatory Appraisal and Arrangement for Multicultural Archival Collections, Archivaria, 63, 87-101.
20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2003. 북한연구방법론. 서울: 한울.
21 고유환. 2015. 북한연구방법론의 현황과 과제, 북한연구학회 편, 북한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관점, 방법론, 연구방법. 서울: 한울, 2015, 27-49.
22 김종욱. 2010. 북한 관료들의 일상생활세계: 회색의 아우라, 동국대학교 일상생활연구센터 편, 북한의 일상생활세계: 외침과 속삭임, 248-291.
23 김주관. 2006. 문화자료와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축: 20세기민중생활사연구단의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문화학회, 지방사와 지방문화 9(2), 447-483.
24 남근우. 2014. 북한 시장에 대한 문화론적 접근: 대항문화인가, 하위문화인가, 통일인문학 58, 163-194.
25 동국대학교 일상생활연구센터. 2010. 북한의 일상생활세계: 외침과 속삭임. 서울: 한울.
26 류길재. 2003. 김일성.김정일의 문헌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북한연구방법론. 서울: 한울, 46-70.
27 류은영. 2009. 내러티브와 스토리텔링: 문학에서 문화콘텐츠로, 인문콘텐츠학회 14, 229-262.
28 설문원. 2015. 로컬리티와 지방기록관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4), 151-172.   DOI
29 오경환. 2002. 조경공간의 이미지 형성에 관한 연구: 스토리텔링 방법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30 오웰, 조지 저, 박경서 역. 2003. 코끼리를 쏘다: 조지 오웰 산문선. 서울: 실천문학사.
31 오창은. 2018. 북한 연구에서 북한 문화연구로, 문학과학, 96, 38-56.
32 윤은하.김유승. 2016. 노근리 사건의 사회적 기억과 기록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2), 57-79.   DOI
33 지머슨, 랜달 C. 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역. 2016. 기록의 힘: 기억, 설명책임성, 사회정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34 Cunningham, Adrian. 2000. Dynamic Descriptions: Recent Developments in Standards for Archival Description and Medadata, Canadian Journal of Information and Library Science, 25(4), 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