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6107/JKHA.2011.22.4.121

A Study on the Model Development of Unit Plan and Cluster Housing, Modern Hanok  

Shon, Seung-Kwang (동신대학교 건축공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v.22, no.4, 2011 , pp. 121-13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Hanok with a long tradition in our country, but a significant period of modernization in the process of being cut off did not have continuity. Many of Hanok aging, according to the rapid residential development and life-changing was the subject of a complaint. Conversely, the benefits of Hanok was given to the advantages that compare to a monotonous mass housing of apartments. Despite these changes and the potential of these social needs and demands Hanok quickly did not respond: First, for the life of contemporary and traditional Hanok with a form of gap is a matter of space and style. Economy and lifestyle $20,000 for the era of Hanok was to develop a model for spatial configurations. Second, Hanok in a low density, is evaluated to aging, because increasing the economic utilization of land and tailored to their needs as a Hanok housing requires the development of a model, but this did not present a layered mod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modern residential Hanok persistence of this set to have 1)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nd modern urban life Hanok living space that meets the requirements of the degree of each other, to find sustainable elements, and 2) these demands the modern residential area type, combined with a set of Hanok 3) Korea Hanok cultural characteristics which set is created to residential housing types is to develop a basic research.
Keywords
Modern Hanok; Cluster Hanok; Hanok Model; Changing Hanok;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황남이.강만호.주석중 (2008). 한옥형 숙박시설의 건축 계획연구.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 391-396.
2 건축법시행령, http://www.lawnb.com
3 통계청 http://www.kostat.go.kr.
4 이주옥.한필원 (2010). 현대한옥설계의 경향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135-146.
5 이창재.최일 (2010). 농촌한옥의 정주성평가 및 한옥에 대한 인식도 비교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12(2), 77-85.
6 이향미.손승광 (2008). 농촌지역 보급형 현대한옥모델개발연구. 농촌건축학회논문집, 12(2), 85-94.
7 임창복.김경환.지성광 (2006). 한중일 전통도시주거의 외부공간에 관한 비교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2(2), 59-67.
8 전봉희 (2006). 한옥의 브랜드화 방안마련을 위한 기초적 연구. 국학연구 제8집, 한국국학진흥원.
9 전봉희.권용찬 (2008). 원형적 공간으로 본 한국주택평면의 통시적 고찰.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7), 181-193.
10 조성호 (2010). 하얀집 설계안. 광주: 광주공간건축.
11 박제성.송인호 (2001). 가회동과 계동 도시한옥 주거지의 도시조직 연구.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논문, 21(1), 297-300.
12 손승광 (2008). 전통한옥의 도시집합주거로 발전 가능성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9(3), 71-82.
13 손승광 (2011). 전통한옥의 현대사례. 한국주거학회지, 6(1), 28-35.
14 손승광.양우현 (1997). 나주읍성안 전통주거지역의 도시 조직 생성 및 변화과정연구(나주시 금계동 서내동의 가로망과 필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3(7), 119-128.
15 안성호 (2001). 일제강점기 주택개량운동에 나타난 문화주택의 의미. 한국주거학회지, 12(4), 185-195.
16 궈칭화 지음.윤재신 옮김 (2006). 중국목조건축의 구조. 서울: 동녘.
17 유재우.조성기 (2001). 광복이후 [도시형표준주택]의 평면 특성과 그 영향. 대한건축학회 계획계, 17(12), 77-86.
18 윤정숙.유옥순.박선희.김선중.박경옥 (2007). 한국주거와 삶. 서울: 교문사.
19 구수영.박용환 (2009). 서울의 도시한옥 LDK화에 의한 공간구성변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5(10), 161-168.
20 김병진.손승광 (2011). 고도 나주에서의 한옥집합주거모델의 형태요소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2(3), 135-144.
21 김용미 (2009). 현대건축과 한옥의 결합가능성. 건축학회지, 53(9), 30-35
22 김윤성.윤재신 (2007). 도시한옥의 재생방안에 관한 연구 (북촌지역 도시한옥의 리모델링을 통하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7(1), 485-488.
23 김지민 (2006). 지속가능한 '한옥' 평면형개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2(3), 211-218.
24 박민선.김영훈 (2003). 일본 전통도시주택 마찌야의 주동 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3(2), 87-90.
25 새로운한옥을위한건축인의모임 (2007). 한옥에 살어리랏다. 서울: 돌베개.
26 허혜림.임종엽 (2010). 현대도시거주공간으로서 도시한옥의 가능성 제안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3(5), 32-39.
27 성태원.송인호 (2002). 삼청동 35번지 도시한옥주거지의 형성과정과 형태적 특성.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2(2), 565-568.
28 강인호.한필원 (2000). 주거의 문화사적 의미. 서울: 세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