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6107/JKHA.2011.22.1.075

A Study on Inhabitant's Mental and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of Old Residential Area in Pohang  

Kwon, Yong-Il (대구한의대학교 리조트개발학과)
Han, Sang-Hoon (경주대학교 경찰법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v.22, no.1, 2011 , pp. 75-8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degree of inhabitant's mental against to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which was developed within the boundary of Haedo Dong in Pohang City during the 1970s and the early of 1980s and currently designated as programed site for Urban Maintenance Project. Finding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s of household occupied by lessee were greater than the numbers of household occupied by homeowner. Second, most of the lessee was living in single family household. Third, although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was not so good in general perspectives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long term residents for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others. Fourth,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their neighborhood was the most while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public facilities such as parks was the least. Fifth, Urban maintenance project shall be proceeded to raise re-settlement ratio of residents, to enforce a business by steps, to lead positively participation of a resident and to enlarge role of administration.
Keywords
Urban Maintenance; Residential Environment; Inhabitant Mental; Residential Satisfac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정석 (1999). 마을단위 도시계획 실형 기본방향(I) -주민참여형 마을 만들기 사례연구.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 조득환 (2010). 대구시 기반시설양호 주택지의 주민의식과 환경 개선 방향.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1(2), 111-122.
3 최상동.정진수 (2008). 저층집합주택단지의 주거환경요소에 따른 거주후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4(12), 111-122.
4 김희철 (2004). 주택재개발사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관악구 사례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서울.
5 송빛나.주서령 (2007). 단지형 도시근교주거의 현황 및 선호 조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8(6) 83-91.
6 윤옥경 (2008). 도시지역 마을만들기의 사례와 시사점: 대구 삼덕동을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4(5), 466-479.
7 이근희.박희석.조용성 (2010). 친환경 공동주택 인증단 지의 주거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1(4), 121-128.
8 이창호.서수정.배웅규 (2007). 현지개량사업 활성화를 위한 일본 노후주거지 정비수법 분석 연구. 국토계획, 42(7), 109-124.
9 오주용 (2006). 개발밀도에 따른 주거만족도 변화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원대학교, 성남.
10 이창무.김미경 (2009). 뉴타운사업에 대한 재진단. 주택연구, 17(2), 283-308.
11 김명섭 (2008). 주택재개발사업의 개선방안.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수원.
12 김주현.문지원 (2010). 도시단독주택지 가로공간계획을 위한 거주자 만족도 분석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1(4), 129-138.
13 김미희.박병규.노세희 (2010). 영구임대아파트 거주자 주거지 정비 수요조사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1(1), 43-52.
14 김영호 (2008). 부산시 주택재개발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석사학위논문, 동의대학교, 부산.
15 김윤이 (2004). 주민을 중시한 사회통합형 주거지 정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서울.
16 김철수.정병두.이원수 (2007).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주거만족도 분석. 국토연구, 53, 277-294.
17 김항집.이창호.배웅규.이동환.서수정 (2010, 6). 거점형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추진현황과 발전방안. 도시정보, 339, 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