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6107/JKHA.2010.21.3.077

Satisfaction Level & Improvement Priority of Community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Concepts of Residential Complexes - The Case of The 3 Residential Complexes in Cheongju Area -  

Lee, Sang-Un (충북대학교 주거환경학과)
Park, Kyoung-Ok (충북대학교 주거환경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v.21, no.3, 2010 , pp. 77-8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reveal the differences of residents' satisfaction level & demand of community environment and recognized residents' improvement priority of community environment at 3 complexes at the big city in the provinces. The 3 residential complexes had differentiated developmental concepts; the residence-oriented complex, the residence-government mixed complex with an eco-friendly concept, and the outskirt residence-industry mixed complex.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1) The satisfaction of residents in the community environment correlates with the increasing convenience facilities after construction. In the new outskirt complexes of smaller cities, dissatisfaction occurs more with public transportation rather than the road system, so that efficient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inner and neighboring areas, is requisite. 2) Even in the residence-oriented complex, the education environment does not entirely account for satisfaction level; the green environment is also second in priority after the education environment. In the residence-government mixed complex with an eco-friendly concept, a good natural environment does not entirely account for satisfaction level; education environment is also second in priority after the natural environment. The supply of sufficient schools may be fulfilled in the ways of reform of the education zone with neighboring existing residential areas. In the outskirt residence-industry mixed complex of smaller cities, priority was placed more on the location and convenience; this explains the complex's poor access to downtown.
Keywords
Complex; Community Environment; a Stisfaction Level; Improvement Prior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한국토지공사(2005a), 토지개발사업총람 XVI: 2001년도 사업준공지구 외, 서울, 명문인쇄공사.
2 한국토지공사(2005b), 토지개발사업총람XVII: 2002년도 사업준공지구 외, 서울, 명문인쇄공사.
3 한국토지공사(2003), 청주산남3지구 택지개발사업 기본계획 및 실시설계보고서, 한국토지공사.
4 이유미.김성우(2003), 공동주택단지의 옥외환경에 대한 정성적 평가지표와 거주자만족도사이의 상관성분석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9(7), 69-78.
5 최열(1999), 근린환경 및 공공시설에 대한 주거형태간 평가 특성, 국토계획, 34(2), 79-91.
6 이춘호(2001), 수도권 신도시 거주자 주거 만족도 비교 분석, 국토계획, 36(6), 191-204.
7 이훈(1986), 아파트 주거환경의 평가를 위한 상관관계모델,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 35-42.
8 장한두(2006), 거주자 특성을 고려한 공동주택의 주거환경 평가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최열(2001), 근린주거지 선호 분석: 부산광역시 사례, 국토계획, 36(4), 1-12.
10 곽노선(1992), 중도시 아파트 거주가구의 주거만족도 및 주거이동특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권동현.이영호(2007), 아파트 거주자의 근린환경 요구에 관한 연구: 가족생활주기와 주택규모에 따른 주부들의 요구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논문집, 9(1), 89-96.
12 김유일(1988), 주거만족도에 관한 경험적 연구: 수도권 아파트 가구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박영기(1990), 공동주택의 주거환경에 대한 거주 후 평가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6(1), 41-48.
14 백금화(1990), 아파트 입주가구의 이주동기와 주거만족도 변화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안경환(1993), 공동주택환경설계를 위한 POE방법론 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9(8), 47-56.
16 안수인(1993), 주거환경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시의 대단위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양현정(2002), 신도시 아파트 거주가구의 근린환경만족도와 주거이동 계획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고권수(2008), 아파트의 환경특성이 주거만족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대학원 경영학박사학위논문.
19 이상운.박경옥(2009), 중도시 신규택지개발지구 특성에 따른 거주자의 주거이동 및 선택-청주.청원권 3개 신규택지개발지구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5(3), 187-196.
20 강인호(1993), 디자인 정보특성을 고려한 공동주택 거주후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