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Consciousness of Mortgage Loan and Related Factors of Prospective Home-Buying Households  

Yang, Se-Hwa (울산대학교 주거환경학과)
Park, Hyun-Jeong (울산대학교 주거환경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v.18, no.4, 2007 , pp. 17-2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study analyzed the consciousness of mortgage loan of the prospective home-buying households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s. The sample of the survey was chosen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o be 366 prospective home-buying households in Ulsan, with the households head's age being younger than 50. These are the results. First, approximately 80% of the respondents had plans to buy a house through self-support and loan. Second, the consciousness of mortgage loan was relatively low, but the willingness to use it was very high. Third, the need for mortgage loan was relatively high, especially the need for specialists to facilitate the information circulation. Lastly, the awareness and need for mortgage loan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family and housing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including family life cycle stages, the structure of dwelling, tenure type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It is necessary to provide potential house buyers with appropriate education and information on housing financing, the change of interest rate, and the effects of various financing packages.
Keywords
Mortgage Loan; Consciousness of Mortgage Loan; Prospective Home-Buying Household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안홍찬 (2004) , 모기지론 이용실태 조사 결과. 주택금융월보, 4. 37-57
2 임기흥 (2005) , 금융환경의 변화에 따른 모기지론의 정착화 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임진자 (2005) , 주택금융공사 모기지론/역모기지론 개선방 안에 관한 연구: 주택금융공사 상품을 중심으로. 한남대학 교 사회문화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국민은행 (2005) , 2005년도 주택금융수요실태조사
5 이인태 (2005) , 우리나라 모기지 및 역모기지 도입실태 및 활성화 방안.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임갑순 (2005) , 주택저당채권 (MBS)제도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고찰. 중앙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Mottis , E. W. & Winter, M. (1978), Housing, Family, and Society. New York: John Wiley & Sons
8 이현숙 (2004) , 주택저당대출채권 유동화 제도에 관한 연구: 해외 현황 및 최근 국내 발행 사례를 통한 활성화 방안 연 구.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한국경제신문 2004. 04. 0I
10 고성수 (2004) , 모기지 시장의 원활한 정착을 위한 제언. 주택금융월보, 2 , 2-5
11 통계청 www.nso.go.kr
12 배용덕 (2005) ,주택저당채권유동화제도가시장에 미치는 영 향 및 활성화과제에 관한 연구: 모기지론을 중심으로. 중앙 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한국주택금융공사 조사부 (2004) , 최근 우리나라 주택시장 의 변화와 주택금융제도의 발전. 주택금융월보, 2, 22-43
14 한국주택금융공사 (2005) , 가계주택금융 수요조사
15 김관영 (2004),모기지론도입이후주택금융시장의 전망과과 제. 디지털경제연구, 9 , 109-131
16 홍지영 (2003) , 장기주택저당채권시장 도입에 관한 연구: 주 거복지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김용태 (2004) , 모기지론 도입의 효과와 전망. 주택도시, 81 , 75-83
18 김진문 (2004) , 장기주택담보대출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 안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19 한국개발연구원 (2004) , 주택시장분석과 정책과제연구
20 김영곤, 안상인, 오준석, 이창석, 정상철 (2002) , 부동산금융 론.서울:형설출판사
21 정송 (2005) ,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공급자와 수요자 간의 의 식차이 분석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2 한국주택금융공사 유동화기획부 (2004) , 유동화제도. 주택금융월보, 1, 8-17
23 이병관 (2003) , 미국 모기지시장의 특정 및 최근 동향. 주간국제금융통향, 12, 36, 2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