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3.383

Comparison of Marital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International Married Woman Migrants and Korean Man  

Park, Yoon-Ji (Department of Nursing, Daejeon University)
Jun, Myunghee (Department of Nursing, Daejeon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 v.18, no.3, 2012 , pp. 383-39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the quality of life for women and men who live in a rural area in Korea through an international marriage.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research design was used. Ninety-one women and 56 men were surveyed from May 1st., 2007 to April 6th., 2008.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Fisher's exact test. Two types of questionnaires were used: Marital satisfaction scale (MSS) and WHO quality of life-brief (WHOQOL-BREF). Result: There is a gap between men's age and women's in the average of their marriage ; 37 vs 24. In addition, men's marital satisfaction was much higher than women's (t =2.16, p=.032) and quality of life was also higher than women's (t=-0.85, p=.005). According to this survey, therefore, it has been shown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the quality of life (r =.435, p<.001).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marital satisfaction should be promoted by practical family nursing programs and it is necessary for the internationally married women to be continuously provided with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al awareness.
Keywords
International marriage; Marital relationship; Quality of life; Marital satisfac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최성도 (2011). 지방자치단체의 결혼이민자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결혼이민자 상담사례 중심으로. 대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구.
2 최지명 (2007). 국제결혼 부부(한국인 남편, 외국인 아내)의 의사소통 방식, 정서적의사소통,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진주.
3 통계청 (2010). 혼인.이혼통계. 대전: 통계청.
4 B.N. Subodh, A. Avasthi, S. Chakrabarti. (2008). Psychosocial impact of dysthymia: A study among married patient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09 (2008), 199-204.   DOI   ScienceOn
5 Lewis, Robert A., and Graham B. Spanier. (1979). Theorizing about the Quality and Stability of Marriage. 268-294 in W. R. Burr, R. Hill, F.I. Nye, and I. L. Reiss(eds.). Contemporary Theories about the Family vol. I. N. Y: The Free Press.
6 Roach, A. J., Frazier, L, O. & Bowden, S.T. (1981). The marital satisfaction scale : Development of a measure for intervention research.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3, 537-546.   DOI   ScienceOn
7 WHO. (1993). WHOQOL study protocol. Genova: WHO.
8 Woelz-Stirling, N., Manderson, L., Kelaher, M., & Gorden, S. (2000). Marital conflict and finances among Filipians in Australia.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24, 791-805.   DOI   ScienceOn
9 김미경 (2010). 결혼이주여성의 고부갈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백석대학교 사회복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천안.
10 강은령 (1989). 부부의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취업주부/비취업주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11 김미숙 (1989). 도시부부의 결혼안정성 및 그 관련변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12 김성철 (2010).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성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양.
13 류명옥 (2007). 문경지역 결혼이민자의 삶의 실태와 복지 대책. 대전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전.
14 민성길, 이창일, 김광일, 서신영, 김동기 (2000).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39(3), 571-579.
15 박윤지 (2008). 일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만족도와 삶의 질- 대전.충청지역 거주자를 중심으로-. 대전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전.
16 방인하 (2010). 국제 결혼 부부의 가족주의 가치관과 결혼 만족도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공주.
17 방활란 (1991). 혈액투석 환자의 삶의 질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18 신미진 (2011). 학부모로서 필요한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여성 결혼 이민자의 한국어 교재 연구 : 학습자 요구를 반영한 읽기 텍스트 개발 방안을 중심으로.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부산.
19 여성가족부 (2007). 결혼이민자가족 실태조사 및 향후 추진계획 발표. 과천: 여성가족부.
20 엄동춘 (2010). 결혼 이민자 부부 간의 발마사지가 부부의 의사소통, 친밀감, 갈등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40(4), 493-502.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21 여정희 (2004). 중년 여성의 폐경관리와 결혼만족도, 삶의질과의 관계. 대한간호학회지, 34(2), 261-269.
22 이동원 (1988). 도시부부의 결혼의 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23 이언숙 (2008). 여성 결혼 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문화 교육 요구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24 이영분, 이유경 (2009). 여성 결혼 이민자의 자아분화에 따른 결혼 만족도 연구. 한국가족 복지학, 26, 63-86.
25 이영선 (2008). 결혼이민자의 부부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수도권 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26 장지혜 (2007).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자본과 생활 만족도. 전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북.
27 충남 인적자원개발지원센터 (2006.5.19.). 전북충남지역 해외이주결혼 가정 지원을 위한 인적자원개발의 정책방향. 춘계공동 심포지엄 자료, 전주.
28 정예리 (2011). 해체가족 여성결혼이민자와 그 자녀의 삶: 필리핀 여성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29 정현숙 (2001). 한국형 결혼만족 척도 개발을 위한 이론적 고찰. 대한가정간호학회지, 39(11), 89-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