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2.259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on Career Development for Nursing Students  

Park, Soon-Joo (Department of Nursing, Eulji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 v.18, no.2, 2012 , pp. 259-26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build the career education course for nursing students' career development an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education. Method: The study used a one-group pre- and post-test design and the surveys were carried out from April to June, 2011. The participants were 71 undergraduate seniors of department of nursing in E university. The data were obtained via questionnaires survey before and after taking the cours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using SPSS 19. Results: 88.7% of the subjects responded being satisfied with their major. The scores of career search efficacy (t=-2.57, p=.012), career exploration (t=-4.62, p<.001), and career adaptability (t=-3.51, p=.001)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the education. Networking (t=-2.66, p=.010) and personal exploration efficacy (t=-2.89, p=.005)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test. Between two subgroup of career exploration, only the environment exploration (t=-5.92, p<.001) significantly improved.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identity. Conclusion: From this study, career education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the career search efficacy,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adaptability of nursing stude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areer education as a subject would be an efficient way for career development of nursing students.
Keywords
Career; Development; Education; Nursing student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7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National Career Development Association (2011). National Career Development Guidelines: National Career Development Association Web site: http://associationdatabase.com/aws/NCDA/pt/sp/guidelines
2 Rottinghaus, P.J., Day, S.X., & Borgen, F. H. (2005). The Career Futures Inventory: A Measure of career-related adaptability and optimism.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3(1), 3-24.   DOI
3 Solberg, V. S., Good, G. E., Nord, D., Holm, C., Hohner, R., Zima, N., Heffernan, M., and Malen, A. (1994). Assessing career search expectation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areer Search Efficacy Scale.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2(2), 111-123.   DOI
4 Solberg, V.S., Good, G.E., Fischer, A.R., Brown, S.D., & Nord, D. (1995).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search activities: Relative effect of career search self-efficacy and human agenc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2(4), 448-455.   DOI   ScienceOn
5 Super, D.E. & Knasel, E.G. (1981) Career development in adulthood: Some theoretical problems. British Journal of Guidance and Counseling, 9(2), 194-201.   DOI
6 윤영란 (2007). 대학생의 효과적인 진로지도 방안 연구: 진로교과목 수업과 진로집단상담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7 이영대, 임언, 이지연, 최동선, 김나라 (2004). 생애단계별 진로교육의 목표 및 내용 체계 수립.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8 이지연 (2001). 고등교육단계에서의 효율적인 진로지도 방안 연구.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9 임언, 이지연, 윤형한 (2004). 이공계 대학생의 전공 및 진로 탐색프로그램 개발(II).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0 임언, 정윤경, 백순근 (2003). 이공계 대학생 전공 및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I).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최옥현, 김봉환 (2006). 대학생의 진로낙관성과 진로적응성 : Career Future Inventory(CFI)의 타당화 연구. 상담학 연구, 7(3), 821-833.
12 조희, 이규영 (2006). 간호대학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 정체감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2), 163-173.
13 최동선 (2003).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동기요인 및 애착의 관계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14 최옥현 (2007). 대학생의 애착관계 및 유형과 진로탐색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15 최은희 (2009). 간호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임상수행능력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5(1), 15-21.
16 추수경, 전은미 (1998). 간호학사 특별과정생의 직업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 한국간호교육학회지, 5(2), 250-266.   과학기술학회마을
17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0). 한국교육고용패널 기초분석보고서 (2010) - 제6차(2009)년도 자료분석.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8 Holland, J. L., Daiger, D. C., & Power, P.G. (1980). My vocational situation,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 Kovner, C. T., Brewer, C. S. Fairchild, S. Poornima, S. Kim, H. & Djukic, M. (2007). Newly licensed RNs' characteristics, work attitudes and intentions to work. Th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07(9), 58-65.   DOI   ScienceOn
20 고영지, 김인경 (2011).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진로준비 행동 간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7(1), 62-71.
21 권윤희 (2002). MBTI를 활용한 성장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및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구.
22 김정희, 박성애 (2002). 일반 간호사의 대처전략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8(10), 97-106.   과학기술학회마을
23 권윤희, 곽오계 (2010).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활용 소집단 협력학습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1(11), 4441-4448.
24 김봉환 (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25 김승보, 방혜진 (2010). 학교 진로교육의 주요 현안과 정책방향. THE HRD REVIEW, 13(2), 97-114.
26 문인오, 이경완 (2010).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탐색효 능감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6(1), 83-91.
27 박은선 (2008). 아버지 애착과 지지가 대학생의 진로탐색 자기효능감과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28 방경숙, 조진경 (2008). 일개 간호대학생과 졸업생의 전공 및 진로에 대한 인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4(1), 88-97.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29 성현란 (1978). 일부 간호학생의 여성상과 간호상과의 상관관계. 대한간호학회지, 8(2), 39-47.
30 손만익 (2006). 대학생의 진로교과목 수강여부에 따른 진로결정수준, 진로정체감, 진로준비행동 및 대학생활적응도의 차이.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