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977/JKASNE.2011.17.1.120

Validity & Reliability Test of a Life Respect Instrument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ang, Kyung-Ah (Department of Nursing, Sahmyook University)
Kim, Shin-Jeong (Department of Nursing, Hallym University)
Song, Mi-Kyung (Mundeok Elementary School)
An, Jin-Young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of Sahmyook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 v.17, no.1, 2011 , pp. 120-12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life respect instrum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 The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identification of the tentative content domains, items generation, test of content validity, and data collecting with a preliminary questionnaire.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Guttman split-half,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wo factors were extracted through factor analysis: 'Value about life respect', and 'Attitude about life respect.' These factors explained 58.82% of all factors. A total of 16 items belonging to 2 domains were generated. Cronbach's alpha and Guttman split-half coefficient were .82, and .84 respectively. Conclusion: The life respect instrument modified in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evaluating the effect of life respect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Keywords
Child; Life; Validity; Reliabil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Lynn, M. R. (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35(6), 382-385.
2 Mark, I. (2007). Do teenagers have less respect for human life than they used to? Community Care, 3(1), 2-20.
3 Nunnally, J. C. (1978). Psychometric therapy. New York, NY: McGraw-Hill.
4 Pope, A. W., McChale, S. M., & Craighead, W. E. (1988). Self-esteem enhancement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New York, NY: Pergamon Press.
5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2008, October 13).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Retrieved January 12, 2011, from http://stdweb2.korean.go.kr/main.jsp
6 한상숙, 이상철, 구자철 (2008). 보건,의료 통계분석. 서울: 포널스출판사.
7 황정규 (1998). 학교학습과 교육평가. 서울: 교육과학사.
8 Beck, A. T. (1967).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New York, NY: Harper & Row.
9 Coopersmith, S. (1981).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0 Gaule, J. (1993). What is Life?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14(1), 1-11.
11 정영수 (1995). 인간교육의 탐구. 서울: 동문사.
12 Kovacs, M. (1983).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A self-rated depression scale for school aged younsters.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Pittsburgh, Pittsburgh.
13 정미라 (2002). 한일 유치원,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나타난 생명존중 교육내용에 관한 비교 연구. 교육과정연구, 20(4), 159-185.
14 정완호, 차희영 (1992). 한국 초, 중, 고등학교 학생들의 생명 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0(2), 147-151
15 조수철, 이영식 (1990). 한국형 소아우울척도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29(4), 943-956.
16 최보가, 전귀연 (1993). 자아존중감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I). 대한가정학회지, 31(2), 41-54.
17 이혜경, 양영희, 구미옥, 은영 (2009). 간호연구개론. 서울: 현문사.
18 최창열 (1986). 우리말 생명 관련 어휘의 어원적 의미. 국어교육, 55, 33-49.
19 이병래 (2004). 유아기 생명존중교육의 의미와 방향. 열린유아 교육연구, 9(1), 143-163.
20 이종기 (2002). 초등학교 학생의 식물과의 상호작용과 생명윤리 의식.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인천.
21 교육과학기술부 (200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II).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2 장정훈 (2002). 중등 교육과정에서의 생명존중교육에 관한 연구-도덕.윤리 교과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23 배진희 (2010). 가치명료화 수업 모형을 활용한 초등학교 도덕과 생명존중교육. 광주교육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광주.
24 삼성생명공익재단 사회정신건강연구소 (2006). 청소년생명존중 의식에 관한 연구. 삼성생명공익재단 사회정신건강연구소.
25 슈바이처, 박병덕 역 (1989). 나의 생애와 사상. 서울: 학원사.
26 강대욱 (2004). 실과교과의 생명교육관련 단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태도.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인천
27 김신정, 강경아, 방경미 (2010).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이 인식하는 생명과 삶의 의미 내용분석. 아동간호학회지, 16(4), 287-296.
28 소광희 (1999). 생명존중과 교육. 서울: 문화과학사.
29 김성연 (2000). 도덕과교육 내용으로서 생명존중사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30 남윤주 (2009). 생태활동교육이 초등학생의 생명존중 의식에 미치는 영향 - 교실 내 동물 기르기를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