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22640/LXSIRI.2016.46.1.37

Analysis of Community Residents' Recognition on Autonomous Integration of Process : The case of Goesan-gun and Jeungpyeong-gun  

Kim, Tae-Woo (중원대학교 일반대학원(행정학과))
Han, Hyung-Seo (중원대학교 경찰행정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v.46, no.1, 2016 , pp. 37-5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awareness of citizens towards the autonomous integration process between Goesan-gun and Jeungpyoung-gun. According to the survey, the citizens of Goesan-gun agreed on the integration, but the citizens of Jeungpyoung-gun disagreed on the plan. This result is different from the findings of the opinion surveys which were conducted in 2009 and 2012. The reason why some citizens agreed on the integration is that the integration will help more with the systematic administration service and the convenience of administrative process. Also the citizens are expecting the expansion of the convenient facilities and the economic growth through the local festivals. In the political view, it will cut the operating cost of the two provinces. However, there are some reasons for the disagreement of the integration. The first reason is that the independent development will be more beneficial for each province. And it will be more effective if each province separately promotes the local festivals to be more productive. Nevertheless, the citizens in both areas admit the necessity of the population influx and elevating the local economy for both provinces. These two areas are expecting to have the autonomous local economy and the complementary and competitive relationship with the nearby metropolitan councils while building the Jungwon cultural zone which is supported by the regional association.
Keywords
Goesan and Jeungpyoung; Local Governmnet; Autonomous Integration; Citzens' Awareness; Citzen Particip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정운(2011), 지방행정구역개편의 논리 및 가치, 지역 발전연구, 한국지역 발전학회, 제11권, 제1호, pp.1-22.
2 강휘원(2009), 광역화 지방행정구역 개편 논의에 따른 시군 통합 대안 탐색, 한국정책 연구, 경인행정학회, 제9권, 제2호, pp.71-92.
3 김대원(1999), 통합시의 생산성 증대효과 분석. 한국행정학보, 한국행정학회, 제33권, 제3호, pp.327-344.
4 김동훈.정진헌(1996), 도농통합 행정구역 개편의 효과분석 및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논집,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pp.235-277.
5 김석태(2007), 세방화시대의 대도시권 거버넌스 구조 발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한국지방자치학회, 제19권, 제4호, pp.137-156.
6 김승렬(2011), 행정구역 통합의 효과분석, 지방행정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제25 권, 제3호, pp.93-124.
7 김승렬(2015), 행정구역통합에 따른 재정 효과분석, 한국지방재정논집, 한국지방재정학회, 제20권, 제3호, pp.153-181.
8 김영철.이우배(2013), 지방자치단체 행정구역 통합의 성과 평가에 관한 연구, 지방정부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제17권, 제1호 (2013 봄), pp.189-204.
9 김태우(2013), 지방자치단체간 자율통합 과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원대학교.
10 김태운.남재걸(2011), 지방자치단체 자율 통합 과정에서의 행위자간 갈등 분석, 한국행정학보, 한국쟁정학회, 제45권, 제3호, pp.149-171.
11 문영동.이시원.민병익(2009), 행정구역 개편 성과의 영향요인, 지방정부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제13권, 제1호, pp.7-25.
12 민병익(2015), 행정구역 통합 후 행정구역 개편에 대한 인식 변화의 원인 분석, 지방정부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제18권, 제4호, pp.557-583.
13 복문수(2010), 행정구역개편과정에 관한 다중합리모형 분석, 지방행정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제24권, 제1호, pp 97-136.
14 윤기찬.장한나(2008), 도농 통합에 따른 효과에 관한 주민인식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연구, 대한지방자치학회, 제9권, 제4호, pp.91-111.
15 이승종.서재호(2009), 지방행정체제 개편론(초판), 법문사. pp.24-30.
16 이홍준.남재걸(2012), 행정구역 통합 과정에서의 갈등, 한국지방자치학회보, 한국지방자치학회, 제24권, 제3호, pp.83-112.
17 임승빈(2009), 광역경제권 및 행정구역개편을 위한 이론적 논의, 한국거버넌스학회 발표논문집, 한국거버넌스학회, 2009. 4. pp. 15-28.
18 최락인(2000), 도.농 통합형 지방정부의 효과성 분석, 한국지방자치학회보, 한국지방자치학회, 제12권, 제3호, pp.169-188.
19 최흥석.정재진(2006), 지방의원 유급제 도입의 효과에 관한 연구, 지방정부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제10권, 제3호, pp.211-233.
20 하정봉.길종백(2012), 기초자치단체 통합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인식 분석, 한국거버넌스학회보, 한국거버넌스학회 제19권, 제1호, pp.51-75.
21 한국지방행정연구원(2000). "도농복합형 태의 시" 제도분석과 발전 방향, 한국지방행정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2 홍준현(1997), 시.군 통합에 의한 행정구 역개편의 효과분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한국행정연구원, 제8권, 2호, pp.59-90.
23 Ostrom, V. Tiebout, C. and Warren, R.(1961), The Organizational of Government in Metropolitan Areas : A Theoretical Inquiry,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 55. pp. 831-842.   DOI
24 Tiebout, C. M.(1956). A Pure Theory of Local Expenditures,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64(5). pp.416-424.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