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Factors Affecting Occupation Awareness for Dental Hygienist in High School Students  

Cho, Young-Sik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Namseoul University)
Hwang, Hye-Rim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Namseoul University)
Joo, Seung-Mi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Namseoul University)
Choi, Jung-Yoo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Namseoul University)
Hwang, Mi-Ra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Namseou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v.11, no.4, 2011 , pp. 293-29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recognition of occupation title for dental hygienist in high school students. Total 210 students of one high school complete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dental service utilization and occupation title awareness for health care personnels. Female and science tract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of awareness for dental hygienist but showed no differences according to dental service utilization pattern. The study showed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 recognition for dental hygienist and other health technicians. But there were no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 awareness for dental hygienist and dentist, nurse. Gender, occupation recognition for medical laboratory technologists and physical therapist affect occupation recognition for dental hygienist.
Keywords
Cognition of occupation; Dental hygienist; Occupation awarenes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통계청: 한국표준직업분류. 대전, 통계청, 2007.
2 조영식: 학사치과위생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비교연구. 치위생과학회지 5(4): 251-258, 2005.
3 조영식 등: 치과위생사의 취업지속 및 재취업 관련 요인 조사. 서울, 대한치과의료관리학회, 치과의료정책연구소, 2011.
4 오상환 등: 한국 신문에 게재된 치과위생사 관련 기사 분석: 2005-2008년 기사를 중심으로. 한국치위생학회지 9(1): 59-68, 2009.
5 라수연: 대학생들의 치과위생사에 관한 인식 조사[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용인, 2005.
6 신경선: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 정도와 이미지 조사: 내원환자와 일반인 비교분석[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용인, 2009.
7 정원균 등: 일부 지역사회 주민의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 및 업무 인지도 조사. 한국치위생학회지 6(4): 403-417, 2006.
8 유미선: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도 및 선호도 조사 연구[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보건대학원, 전주, 2003.
9 김병숙, 김소영: 대학생의 가정 문화자본과 직업인식 및 직업인지도 관계 분석. 진로교육연구 21(1): 147-165, 2008.
10 황매향, 김지현, 유정이: 중고등학생의 직업인식 발달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1(1): 3-12, 2003.
11 박정주: 잠재성장 모형을 이용한 대학생의 직업정보인지도에 관한 종단 분석. 직업교육연구 29(2): 289-303,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