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374/HFS.2011.19.1.233

Acute Toxicity Study on Ssanghwa-tang Extract Fermented with Paecilomyces Japonica in Mice  

Lee, Ji-Hye (Center for Herbal Medicine Improvement Research,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Um, Young-Ran (Center for Herbal Medicine Improvement Research,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Lee, Jae-Hoon (Center for Herbal Medicine Improvement Research,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Ma, Jin-Yeul (Center for Herbal Medicine Improvement Research,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Publication Information
Herbal Formula Science / v.19, no.1, 2011 , pp. 233-24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cute toxicity and safety of Ssanghwa-tang extract fermented with Paecilomyces japonica. Methods : To evaluate the acute toxity and safety, 0(control group), 1250, 2500 and 5000 mg/kg of Ssanghwa-tang and fermented Ssanghwa-tang extracts were orally administered to 35 male and 35 female ICR mice. After single administration, we observed number of death, general toxicity, changes of body weight, and autopsy. Results :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e could not find any toxic alteration in all treated groups (1250, 2500 and 5000 mg/kg). Conclusions : $LD_{50}$ of Ssanghwa-tang and fermented Ssanghwa-tang extracts might be over 5000 mg/kg and it is very safe to ICR mice.
Keywords
Ssanghwa-tang; Fermentation; Acute toxicity; Paecilomyces japonica; $LD_{50}$;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9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기철, 김혜자, 조화은, 최윤희, 이기남, 정명수. 동충하초 균사체를 이용한 법제 유황이 STZ 유발 당뇨쥐의 혈당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23(1):144-9.
2 조수인, 김형우, 이근진. 동백 발효 추출물 단기 투여의 활성에 대한 연구. 대한본초학회지. 2006;21(2):55-62.
3 Hayes AW. Hayes Toxicology. New York: Raven press, 1984:17-9.
4 한대희, 이철완. 쌍화탕.팔물탕.육미지황탕 및 보중익기탕 전탕액의 운동부하조건에 따른 근육피로회복. 대한한의학회지. 1975;9:185-202.
5 박원경, 박순달. 쌍화탕이 백서의 운동부하후항피로와 Monoamine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제한동의학술원 논문집. 1995;1(1):130-45.
6 조태영, 심창구, 이민화, 김신근. 쌍화탕이 슬포브로모프탈레인의 간클리어란스에 미치는 영향. 약제학회지. 1987;17(2):89-93.
7 김일혁, 황규진. 쌍화탕의 항염증작용에 관한 연구. 생약학회지. 1981;12(3):131-5.
8 정지창, 박대규. 쌍화탕의 중추억제 및 항염증 작용에 관한 연구, 약제학회지. 1986;16(1):24-30.
9 한대석, 이형규, 조희재. 쌍화탕의 진통 및 항경련효과에 관한 연구. 생약학회지. 1983;14(2):60-3.
10 김용복, 권강범, 박준수, 박관하, 김복량, 이호섭 등. 구기쌍화탕 전탕액이 웅성 백서의 성행동 및 성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대한동의병리학회지. 1999;13(1):152-7.
11 이지혜, 엄영란, 심기석, 전원경, 이재훈, 마진열. 마우스를 이용한 발효쌍화탕의 급성독성 실험.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9;30(4):780-7.
12 서상숙, 정승기 발효 금은화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형에 대한 저해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9;30(3):465-80.
13 함성호, 임병락, 유가화, 가선오, 박병현. 발효에 의한 오가피의 항당뇨 활성 촉진.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22(2):340-5.
14 손미예. 버섯균사체로 발효시킨 복령과 후박의 항산화 및 항암효과. 식품산업과 영양. 2007;12(2):51-7.
15 이형범, 김혜자, 정명수, 조화은, 최윤희, 임규상, 이기남. 송이버섯과 동충하초 균사체를 혼합 배양한 한방추출물의 발효에 의한 생리활성. 대한본초학회지. 2008;23(1):1-8.
16 차월석, 조배식, 박세영. 동충하초 추출물과 균사체의 성분분석에 관한 연구. Journal of life Science. 2004;14(5):727-31.   DOI
17 조화은, 김혜자, 최윤희, 이기남, 정명수. 동충하초 균사체를 이용한 법체 유황의 항산화활성 및 항염증 효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23(2):3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