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Promoting Factors on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Kang, Se-Jin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Nam, Jin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Kim, Chang-Seok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 v.42, no.3, 2007 , pp. 107-12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lations betwen Housand those factors,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Housing Redevelopment Zone, economic indicators, etc., by assuming that those relations are Logit and VAR(vetor auto-corelation regresion) model. The chosen study areas are 183 Housing Redevelopment Zones designated to aply the Housing Joint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 o l o w s : F i r s t , i n a m i c r o s c o p i c p o i n t o f v i e w , a s a r e s u l t f r om asumption to Logit model,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Process in a zone is promoted by those 5 factors, which are lower building density, higher household density, lower rent ratio of housing o f S e o u l a n d l o w e r d i s t a n c e t o n e a r a r t e r i a l r o a d , i n w h i c h a r e. Second, in a macroscopic point of view, as a result from assumption to VAR model,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Process is sensitively responded against impulses of those 3 factors, which are actual interest, prices of edevelopment Project, on the other hand, has influence on increasing in housing stock, decreasing in rent of apartment house, increasing in prices of apartment house, increasing in population, and decreasing in rebuilding each individual house.
Keywords
Housing Redevelopment; Promoting Factors on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Logit Model; VAR Model;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남진 등(2004) '기성시가지 정비방향 -주거지를 중심으로-'. 도시정보 270: 4-22
2 민범식 등(2002) 기성시가지 정비기법에 관한 연구-주거지역을 중심으로. 안양: 국토연구원
3 이인재(1998) '개발이익 산정에 기초한 주택 재개발사업의 적정용적률 추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조덕근(2005) '도심재개발사업의 수익성과 공익성 적정화 방안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浅見泰司(2001) 住環境評価方法と理論. 東京: 東京大学出版社
6 손경환과 강미나(2003) 부동산시장 동향 및 전망체계 구축. 안양: 국토연구원
7 이정민(2004) '부동산개발업 및 건설업의 생존경영을 위한 활동기준원가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강장학(2004) '쾌적성을 중심으로 본 아파트가격 결정요인의 변화패턴에 관한 연구: 분당신 도시의 경우'.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9 강세진 외 (2006) '주거환경정비를 위한 노후 불량주거지의 유형별 물리적 특성에 대한 연구'. 국토계획 41(3): 53-67
10 서울특별시(1997) 2011 서울도시기본계획. 서울: 서울특별시청
11 권재욱(2006) '아파트가격지수 추정방법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12 윤석현과 최영일(2005) 한국은행 분기 거시계 량경제모형의 재구축. 서울: 한국은행
13 윤주현(2001) VAR모형 구축을 통한 토지 및 주택시장 전망연구. 안양: 국토연구원
14 서울특별시(2004) 2010 서울특별시 도시 . 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서울: 서울특별시청
15 김정호 등(1988) 주택시장수급체계 분석연구: 필터링을 중심으로. 서울: 국토개발연구원
16 남진(2004) '서울시 주택재개발사업의 변천과 정과 운용실태 분석'. 도시과학논총 30: 81-94
17 주택산업연구원(1998) 아파트 특성에 따른 가격결정모형 연구. 서울: 주택산업연구원
18 디파스쿠엘과 휘튼(2004) 부동산시장분석론- 도시경제학적 접근. 서울: 부연사
19 손경환과 김혜승(2002) 부동산시장 구조모형 연구. 안양: 국토연구원
20 김광중 등(1996) 서울시 주택개량 재개발 연혁 연구.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1 이영기와 남상구 역(2002) 투자론. 서울: 한국 맥그로힐
22 장정모(1999) '딜레마 상황 하에서의 주택재 개발 시기에 관한 연구: 수리모형을 중심으 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김용호(1995) 주택재개발의 이론과 실제. 서울: 사법행정문화원
24 박준용 등(2002) 경제시계열분석. 서울: 경문사
25 남진(2002) '일본 대도시 도심부에서의 지역관 리(Area Management)수법과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7(5): 49-64
26 南珍(2004) 'ソウル市における住宅再開発事業 による居住環境整備の実態及び効果分析'. 都市住宅學 47: 101-106
27 이종현(1996) '주택개량재개발사업에서 의사 결정정보가 전매시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게임모형구축을 통한 분배의 형평성 제고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8 박헌수와 김정훈(2004) 부동산 시공간자료를 활용한 부동산 가격지수 추정에 관한 연구: 서울 아파트 가격을 중심으로. 안양: 국토연 구원
29 신현주(2005) '서울시 주택재개발사업 시행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 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윤대식과 윤성순(1995) 도시모형론-분석기법과 적용. 서울: 홍문사
31 염돈민(1991) '주택 특성수요의 추정: 문헌연 구를 중심으로'. 국토연구 16: 49-66
32 남진과 이삼수(2004) '동경도 도심부에서의 재개발 유도수법 및 공공과 민간의 파트너쉽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9(4): 45-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