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1108/kagis.2012.15.1.052

Some Suggestions to Improve the Criteria for Subdividing the Management Zone in a Rural Area - A Case Study of Cheongsong-gun, Gyeongbuk -  

Jung, Hyun-Tae (Daeheung Engineering Inc.)
Jun, Byong-Woon (Department of Geograph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v.15, no.1, 2012 , pp. 52-6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d some problems with the criteria for subdividing the management zone in a rural area through a case study of Cheongsong-gun, Gyeongbuk and provided some suggestions for their improvement. To do this, the subdivision criteria in the guideline for developing urban management planning were firstly compared with those of Cheongsong-gun. Next,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was used to do the cross-check analysis between the results from land suitability assessment and those from the subdivision in the management zone and to grasp the spatial relationships of a zone with its neighboring zones by analyzing the zoning inventory and comparing the areas. Finally, map analysis and field survey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relevance to the actual situation of land use and focus interviews were done to analyze the civil complaint cases resulted from the subdivision in the management zone. This study found out three major categories of problems with the criteria for subdividing the management zone in Cheongsong-gun: the incomplete formalization of zoning, the inadequate decision criteria on the availability of land for development, and the biased consulting of the departments concerned. Some suggestions for their improvement were then provided in this study. The empirical results from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preliminary information for suggesting the right direction of the subdivision in the management zone within the rural areas in the near future.
Keywords
Management Zone; Subdivision; Land Suitability Assessment; GI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성길. 2007. 토지적성평가에 있어 지역별 기준의 차등성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65쪽.
2 국토해양부. 2009. 도시관리계획 수립지침.
3 금기반, 여홍구. 2006. 사례를 통해 살펴본 관리지역 세분화 기준의 개선방안 연구-대전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8(3):147-166.   과학기술학회마을
4 김태경, 이양재, 윤원근, 서순탁, 이창수, 이삼수. 2009. 비도시지역의 체계적 관리방안. 도시정보 328(7):3-13.
5 김항집. 2005. 디지털 지리정보 DB를 활용한 토지적성평가 결과의 향상을 위한 실행방법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1):1-12.
6 박창용, 박천보. 2008. 관리지역 세분화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86-93쪽.
7 이외희, 이봉석, 이지은. 2007. 관리지역세분화에 따른 비도시지역의 관리방안. 경기개발연구원. 103쪽.
8 이재준. 2003.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토지적성평가의 활용 및 개선방안. 협성논총 15:447-463.
9 이종용. 2005. 도시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관리지역 용도 세분화 방안. 한국도시지리학회지 8(2):107-118.
10 이종용, 이용범. 2004. 효율적인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격자 평가단위 적용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9(7):97-110.   과학기술학회마을
11 정현태. 2010. 농촌지역의 관리지역 세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경북 청송군을 사례로. 경북대학교 정책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8쪽.
12 청송군. 2008. 청송군관리계획보고서.
13 채미옥. 2006. 계획적 국토관리를 위한 관리지역 세분화 방향. 국토연구원: 국토정책 Brief 105:1-8.
14 채미옥, 송하승, 박미영, 이난경. 2006. 토지적성평가의 적정성 제고를 위한 평가체계 II의 개선방안 연구. 국토계획 41(7):21-36.
15 채미옥, 오용준. 2004. 국토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토지적성평가 기법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9(7):45-58.   과학기술학회마을
16 황희연, 오용준. 2004. 토지적성평가의 적정성 제고를 위한 도서지역의 고유지표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남해군을 사례로. 국토계획 39(5):73-85.   과학기술학회마을
17 황희연, 오용준. 2005. 지역특성을 반영한 토지적성평가지표 개발과 효과분석-농,산촌형 지역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40(2):93-107.   과학기술학회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