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850/JKSCT.2010.34.4.628

A Study on Conspicuous Consumption and the Purchasing Motives, Selection Criteria, Satisfaction of Collaborated Fashion Products  

Choi, Jung-Won (Dept. of Clothing & Textil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Chang, Mi-Soon (Dept. of Clothing & Textil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v.34, no.4, 2010 , pp. 628-64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evance among the clothing purchase motivations, selection criteria, customer satisfaction of collaborated fashion products, and conspicuous consumption by adults located in the cities of Seoul and Incheon who have experience in collaborated fashion product shopp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Conspicuous consumption was identified with three factors: symbol of position, pursuit of fashion brand/quality, keeping up appearance. Customers were segmented into two subdivisions of a lowly involved group with conspicuous consumption and a highly involved group with conspicuous consumption. 2. Clothing purchase motivations with collaborated fashion products were identified with two factors of esthetical value and reasonable ostentation. Selection criteria with collaborated fashion products were identified with the two factors of extrinsic attributes and intrinsic attributes. Customer satisfaction was identified with one factor. 3. Highly involved group toward conspicuous consumptionpursued more into esthetics value, reasonable ostentation and considered more into extrinsic attributes through collaborated fashion products than the lowly involved groups. Customer satisfaction of a highly involved group toward conspicuous consumption was higher than the lowly involved group. 4. The symbol of position had a positive relationship and the keeping up appearance had a negative relationship in regards to both the relevance of conspicuous consumption and the clothing purchase motivations, selection criteria, and customer satisfaction of collaborated fashion products.
Keywords
Collaboration; Conspicuous consumption; Clothing purchase motivations; Selection criteria; Customer satisfac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한정혜. (1995). 주부의 의복 구매 시 고비자 관여에 따른 구매후 만족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박미정. (2001). 과시소비성향과 정장 수입브랜드 선호에 따른 의복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서울시 거주20대 여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백선영. (2000). 청소년 소비가치가 의류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4 서민애, 박광희. (2001). 수입여성의류 구매유무에 따른 의복 행동: 쇼핑성향과 구매행동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9(6), 79-92.   과학기술학회마을
5 이소정. (1997). 의류상품 구매 시 쇼핑성향과 통신판매를 통한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20대 이상의 성인남녀를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조희정, (2009), 미혼여성의 소비성향 및 소비윤리가 명품 및 명품 복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홍병숙. (1998). 기혼여성의 의복 구매의사결정과정에 관한 실증정 연구; 서울의 30-50대 여성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8 홍원표, 황진숙. (2006). 패션기업의 콜레보레이션 실태와 특성. 한국의류학회지, 30(7), 1001-1011.   과학기술학회마을
9 최선형. (2003). 지각된 제품 특성과 과시적 소비성향이 패션 명품 관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7(2), 209- 218.   과학기술학회마을
10 최왕근. (2006). TV 홈쇼핑 연예인 브랜드 마케팅이 브랜드 이미지와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편세린. (1997). 청소년의 소비지향적 태도와 과시소비성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조아라. (2009). 소비자 독특성 추구경향과 과시적 소비성향이 패션 콜레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조연심. (1996). 성인여성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 구매행동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이영선. (1991). 소비자의 의복관여와 외적 정보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5 김은정. (2005). 패션명품의 제조국 이전에 대한소비자의 태도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이영희. (2000). 청소년 소비자의 과시소비성향에 관한 변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정훈실, 김영언. (2008). 패션산업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영역 간의 콜레보레이션. 복식, 58(6), 110-123.
18 김수경. (2005). 신노년층 여성의 자아시각과 여가행동에 따른 의복 구매행동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김선영. (2000). 신세대 여성 소비자의 과시적 의복소비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이승희. (2000). 의류쇼핑동기에 따른 소비자 특성에 관한 연구: 과시소비성향과 의복 구매행동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4(8), 1242-1253.
21 서세연. (2006). 매스티지 패션브랜드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구매행동.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디자이너 브랜드 성공학. (2007, 11. 7). LG경제연구원 LG Bussiness insight. 자료검색일 2010, 2. 19, 자료출처 http://www.lgeri.com
23 석봉화. (1997). 청소년 소비자의 물질주의 가치와 소비지향적 태도가 과시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이경국. (1999). 최근 우리나라 기업의 전략적 제휴 실태. 산업경영연구, 6(12), 211-229.
25 ParKhe, A. (1993). Partner nationally & the structure-performance relationship marketing in strategic alliances. Organization Science, 4(2), 301-324.   DOI   ScienceOn
26 배이지. (2008). 백화점 로열티 프로그램이 중년기 여성의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7 Veblen, T. (1912). The theory of the leisure class. N.Y.: Macmillan.
28 김석연. (2008). 패션브랜드 동일시가 콜레보레이션 한 패션 제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9 권도희. (2008). 쇼핑가치, 패션브랜드 민감성 및 콜레보레이션 유형에 따른 소 비자 태도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Manson, R. S. (1981). Conspicious consumption: A study of exceptional consumer behavior. N.Y.: St. Martin' Press.
31 홍기연. (2008). 효율적 브랜드 콜레보레이션을 위한 디자인 협력체계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공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경기 침체속 명품만 호황. (2008, 7. 28). 패션인사이트. 자료검색일 2009, 5. 10, 자료출처 http://www.fi.co.kr
33 류마현, 이승신. (2004). 20, 30대 여성의 수입유명브랜드 제품 소비행동. 대한가정학회지, 42(2), 33-46.   과학기술학회마을
34 김지선. (2005), 브랜드 이미지에 따른 브랜드 협력(Collaboration) 전량의 소비자 태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5 간호섭. (2008). 현대 패션에 나타난 콜레보레이션의 문화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6 황선영. (2003). 명품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7 김준희. (1991). 성인여성의 성격과 의복 구매행동과의 상관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8 하수진. (2001). 의복 구매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정성적 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