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850/JKSCT.2010.34.3.540

Case Study Color Analysis of Work Clothes and Industrial Factories for Coordinating Environment Planning -Focus on Shipbuilding Companies-  

Park, Hye-Won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v.34, no.3, 2010 , pp. 540-55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research forms preliminary data for the coordination of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in industry through a color analysis of work clothes and the work environment. A digital camera was used to study the work environment of two major shipbuilding companies located in Geoje city and Goseong county. The picture data was analyzed as G (ground: environment) and F (figure: clothes), and analyzed hue, value, and the chroma value through a Muncell conversion 9.0.6 from the color cluster, number of pixel, and RGB valu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Y, Y color were mostly used in the shipbuilding environment and work clothes. The color value was used in a relatively wide range but very low chroma (0-3), dark grayish, grayish tone dominated both fields. Second, the use of limited colors cannot be secured for safety in attention of the shipbuilding field. Third, unclear and vogue colors lessened the optical tiredness of workers that helped in the prevention of industrial accidents. Color combination and color selec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a secure safety color coordination between work clothes and the work environment when it comes to complicated color principles.
Keywords
Coordinating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Color of working clothe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양정희. (2009). 빈티지 패션의 색채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홍경희, 박길순. (1996). 동작기능성 향상을 위한 작업복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0(2), 311-322.   과학기술학회마을
3 Park, H. W., & Park, G. A. (2008). The distribution condition and clothing construction factors of the working clothe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2(3), 116-135   과학기술학회마을
4 권혜숙. (2008). 현대 패션에 나타난 무채색과 유채색 코디네이션 특성. 패션비즈니스, 12(4), 73-87   과학기술학회마을
5 김영인, 조민정. (2000). 국내 패션의류업계의 활용 색채전달도구 개발을 위한 색채연구. 복식, 50(4), 55-61.
6 김화진. (1999).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작업복 색채기획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Faber, B. (1969). Principles of color. New York: Van Nostaland Reinhol company.
8 류숙희, 김보연. (2001). 성인남성의 의복색채선호와 색채관심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9(2), 308-318.   과학기술학회마을
9 만케, 프랑크 H. (1998). 색채, 환경, 그리고 인간의 반응. 최승희, 이명순 옮김 (2002). 서울: 도서출판 국제.
10 박도양. (1980). 실용색채학. 서울: 청우.
11 Park, H. W., Bae, H. S., Park, G. A., & Kim, J. K. (2009). A color analysis on working clothing in domestic machine and heavy industry.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3(6), 61-75.   과학기술학회마을
12 윤혜림. (2008). 색채관리와 색채디자인. 서울: 국제.
13 박혜원, 박진아. (2008). 공단근로자의 작업복 디자인 실태및 선호도 연구. 패션비즈니스, 12(2), 134-152.
14 박화순. (1995). 성격특성에 따른 색채의 속성별 의복색 선호도. 복식, 26, 87-100.   과학기술학회마을
15 번스, 로이 S. (2000). 색채학원론. 조맹섭, 김창순, 강병호, 김동호 옮김 (2003). 서울: 시그마프레스.
16 이금희. (2003). 한국의 색동과 이탈리아 미래주의 복식에 색채 비교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8), 33-53.
17 이춘계, 박혜령. (1995). 의복디자인 구성선에 따른 색채의 착시효과. 복식, 24, 205-216.   과학기술학회마을
18 최정화, 김소영, 이주영. (2004). 철도 차량 정비작업자의 부직포 보호 작업복 착용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8), 1165-1174.
19 김길홍, 최경실, 박정은, 이윤경. (2001). 환경색채계획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색채디자인연구소.
20 추형선, 김영인. (1997). 녹색을 중심으로 한 복식의 색채계획. 복식, 31, 33-46.
21 김미영, 이명희. (2001). 기존의 색채연구 유형과 선호 색채 연구의 분석. 복식, 51 (3), 33-50.
22 김미진, 김연희, 김혜수. (2007). 현대 패션에 나타난 청색의 배색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색채학회논문집, 21(3), 45-56.
23 김성숙, 김희은. (2008). 소재개선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복 착의기능성 평가.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0(2), 228-235.   과학기술학회마을
24 김수정. (2006). 브랜드 이미지 향상을 위한 색채계획 기초 연구. 감성과학, 9(1), 63-75.
25 김영인, 주미영, 이현주, 김희연. (2005). 개인의 색채이미지 유형에 의한 국내 색조화장품의 스토리 개발과 색채계획. 복식, 55(6), 1-14.
26 김지언. (2008). 한, 일 전통극의 색채문화 비교. 한국의류학회지, 32(10), 1629-1639.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27 김혜령, 서미아. (2002). 기계공업 종사자의 작업복 착용실태 조사연구. 복식문화연구, 10(6), 718-734.
28 김화진, 채금석. (1999).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작업복 색채기획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국제학술심포지움 및 추계학술발표회 초록집, 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