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850/JKSCT.2010.34.1.175

A New Paradigm of Fashion Merchandising as an Environmental Change of the Fashion Industry  

Chang, Sung-Hwan (Dept. of Fashion Design & Merchandising, Kyungsung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v.34, no.1, 2010 , pp. 175-18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suggests a new paradigm of fashion merchandising as an environmental change of the fashion industry. The study has the pattern of a literature study and it is analyzed through journals, professional books, fashion magazines, and newspapers. Examined are the environmental changes of the fashion industry, the condition, and problems of the merchandising process that is executed currently, as well as an examination of the concept of fashion merchandising, Concepts and changes for new fashion merchandising strategies are suggested that are helpful for academics and fashion companies. This paper defines the concept of new fashion merchandising as the integrated management activity of planning, development, and selling fashion products to create a profit for the company with the satisfaction of the target customers. This study proposes the pursuance of integrated merchandising, the change of product planning and product development, and the strengthening of store-centered retail merchandising in order to change the direction of fashion merchandising.
Keywords
Environmental change; Fashion merchandising; Fashion merchandising proces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유연실. (2000). 한국 어패럴 머천다이저의 역할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7), 995-1003.   과학기술학회마을
2 Rosenau, J. A., & Wilson, D. (2001). Apparel merchandising: The line starts here. New York: Fairchild Publications.
3 가치생산에서 가치조합으로. (2008, 7. 16). LG Business Insight. 자료검색일 2009. 8. 1, 자료출처 http://www.lgeri.com
4 원가 경쟁력 시대 Sourcing Strategy. (2009, 3). 패션채널, p.41-73.
5 유지선, 이호정. (2008). 패션비즈니스 시스템론. 서울: 교학연구사.
6 유연실, 오현정. (2000). 한국 어패럴 머천다이저 육성 교재 체제 수립에 대한 연구. 한국가정과학회지, 3(2), 101-111.   과학기술학회마을
7 진화하는 메가 리테일 숍. (2009, 8). 패션채널, p.37-67.
8 Bradley, P. S., & Hausman, A. J. (1993). Globalization technology and competition.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9 Dickerson, K. G. (2003). Inside the fashion business (7th ed.). New Jersey: Prentice-Hall.
10 Glock, R. E., & Kunz, G. I. (2005). Apparel manufacturing: Sewn product analysis (4th ed.). New Jersey: Prentice Hall.
11 Wolfe, M. G. (1998). The world of fashion merchandising. Tinley Park, II: The Goodheart Willcox Company, Inc.
12 최선형, 박혜선, 손미영, 전양진. (2005). 21세기 패션마케팅. 서울: 창지사.
13 서성무, 홍병숙, 진병호. (2002). 패션비즈니스. 서울: 형설출판사.
14 소득 최상. 최하위층 격차 사상최대. (2009, 7. 28). 위클리 경향. 자료검색일 2009, 8. 1, 자료출처 http://weekly.khan.co.kr
15 원선혜, 정성지. (2004). 국내 의류업계 머천다이저의 상품 구성 업무에 관한 연구. 패션비즈니스학회지, 8(2), 91-101.   과학기술학회마을
16 이호정. (1993). 패션 머천다이징 시스템 개발에 관한 실증적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7 불황속 패션업계 생존 전략. (2009, 2). 패션채널. p. 35-67.
18 안광호, 황선진, 정찬진. (1999). 패션마케팅. 서울: 수학사.
19 패션정보의 전략적 활용 노하우. (2004, 3). 패션마케팅, p.58-66.
20 이유순. (2002). 패션산업의 성공적인 상품기획력. 섬유기술과 산업, 6(3/4), 194-205.   과학기술학회마을
21 저니건 마리안, 이스털링 신시아. (1997). 패션 머천다이징 & 마케팅. 임숙자 옮김 (1999). 서울: 교문사.
22 Kunz, G. I. (1995). Behavioral theory of the apparel finn: A beginning.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13(4), 252-261.   DOI   ScienceOn
23 이호정. (1999). 패션 머천다이징(개정판). 서울: 교학연구사.
24 이유리. (2004). 의류상품화 과정에서 패션제품과 베이직 제품의 차이 (제2보). 한국의류학회지, 28(7), 904-915.   과학기술학회마을
25 정상길. (2002). 새로운 패션 머천다이징. 서울: 섬유저널.
26 장은영. (2008). 패션유통과 마케팅. 서울: 교학연구사.
27 Frings, G. S. (2001). Fashion: From concept to consumer (7th ed.). New Jersey: Prentice-Hall.
28 고은주, 김경훈, 문희강. (2008). 마케팅: 패션트렌드와의 만남. 서울: 박영사.
29 박혜정. (2008). 의류기업의 글로벌 소싱 모형. 복식문화연구, 16(4), 595-608.   과학기술학회마을
30 이현아. 천종숙. (2008). 국내 의류업체의 해외 생산현황에 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5(3), 461-471.   과학기술학회마을
31 전혜정. (2000). 패션 머천다이징 교육방향. 패션비즈니스, 4(1), 87-96.
32 글로벌 뉴 비즈니스 전략 숍 브랜딩. (2008, 4. 24). 텍스헤럴드신문. 자료검색일 2009, 8. 1, 자료출처 http://www.fashionn.com
33 고은주, 윤선영. (2006). 패션 머천다이징 프로세스에서의 고객정보활용 및 고객관리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0(5), 788-799.   과학기술학회마을
34 강죽형. (2002). 한국 의류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3(1), 25-38.
35 송미령 (1993). 상품개발 전문인들의 패션정보활동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6 이은영 . (1997). 패션마케팅 (제2판). 서울: 교문사.
37 장성환. (2003). 패션업체의 조직구조와 패션 머천다이징 프로세스.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8 Kotra. (2008). 세계 섬유시장 변화와 우리 해외 생산 전략. 서울: Kotra.
39 Kunz, G. I. (1998). Merchandising: Theory, principle, and practice. New York: Fairchild Publications.
40 고선영, 이은영. (2006). 우리나라 의류상품 소매유통구조의 변화요인과 방향 (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30(11), 1495-1506.   과학기술학회마을
41 안광호, 횡선진, 정찬진. (2005). 패션마케팅 (개정판). 서울: 수학사.
42 손미영. 박혜선, 전양진, 최선형, 최미영. (2008). 고객을 사로잡는 패션 MD 성공 전략. 서울: 에피스테메.
43 정구현. (2008). 한국 기업의 글로벌 경영. 서울: 위즈덤하우스.
44 패션시장 가치 vs 가격으로 양분화. (2008, 5). 패션채널, p.38-84.
45 글로벌 브랜드에 맞서는 내셔널 브랜드. (2008, 10). 패션채널 p.41-108.
46 Rosenau, J. A., & Wilson, D. (2006). Apparel merchandising: The line starts here (2nd ed.). New York: Fairchild Publications.